라이젠 3600 + MSI B450 게이밍카본 AC 제품을 사용하다가
인텔 시스템으로 변경을 하게 되면서 이제품을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일단 이제품 구매를 고려중인 분이시거나 관심이 있으신분들이
대략적으로 알고 계시는.. XMP 문제와 전원부 발열 문제에 대해서 사용기를 써보겠습니다.
사용기를 쓰기에 앞서 이제품을 평이 안좋은데도 왜샀는지 변명을 해보자면..
1. 기존에 사용하던 램에 XMP 4133 CL19 램 입니다.. 기존에도 AMD 시스템이다 보니..
기본값인 4133을 사용을 못했습니다. .수동으로 3800으로 설정하고 사용했거든요.
그래서 제가 가진 램이 QVL 있는 보드여야 했는데 이제품이 QVL에 제 램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미 퀘존에서 XMP잘안되는거 알았기에.. 큰기대 없이 사긴했음 안되면
수동으로 4133은 들어가겠지? 이런생각 하고 샀지만.. 오산이었습니다..)
2. 어느정도 가격이 저렴한 Z490보드 중에 그나마 사운드칩이 리얼텍 1200이상에
Nahimic << 이게 되길 바랬습니다.. 이유는 기존에 사용하던 보드에서 저 사운드 효과를
사용했었고 제가 배그를 하는데 만족했기 때문입니다.
근데 nahimic 사운드가 MSI 제품에만 있는걸로 알아서 MSI Z490보드를 확인했는데
이번 Z490시리즈에서는 중고가 라인인 MEG라인업 즉 유니파이제품부터 Nahimic 지원이
가능하더군요. 그러던중 이번 시리즈부터 에즈락도 Nahimic 지원하는걸 보게되고
이제품을 구매 하게 되었습니다.
3. 어느정도 RGB효과가 가능하고 확장성이좀 있으면 좋겠다..
이제품뭐.. 5v ARGB 전원도 2개나 있고 나름 가격대비 보드 확장성과 기본 RGB효과가
좋다고 판단해서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4. WIFI가 지원이 되어야함.. (원래 와이파이 모듈이 기본제공은 아니지만 이벤트로
디앤디에서 인증사진 올리면 보내주기때문에 구매함 <<이거아녔음 안샀음)
p.s 전원부 발열 이슈는..(탄내가 날정도라는 유투버의 실험결과가 있음)
어차피 논K 제품을 가성비로 살생각이기에 별상관 없다 생각했습니다.
K버전 구매해서 오버할꺼면 유니파이 구매했겠죠.. ㅎㅎㅎ
일단 구매하게된 이유?동기는 위와 같습니다..
자 이제 XMP 관련.. 제가 가진 램이 XMP가 먹느냐... 입니다.. 현시간으로 제가 QVL을 열어보니
제가 가지고있는 램이 리스트에서 사라졌습니다.. 분명히 있었는데 말이죠?
사라진 이유는 제가 에즈락 본사로 XMP가 안먹는다 나는 된다고 QVL나와서 이보드 삿는데
이러면 어떻게하냐고 물어봤습니다..
메일로 답변이 왔습니다.
캡쳐 사진 올려드립니다.
개인정보는 지웟습니다. ㅎㅎ 답변은 번역기 돌려보니 대략 이런 내용입니다..
이 RAM의 경우 Z490 Extreme4로 4000MHz 이상을 실행해도 괜찮습니다.
오버 클럭킹은 전체 시스템 구성, CPU (메모리 컨트롤러가 CPU에 빌드 됨) 및 메모리 자체와 관련 될 수 있습니다.
시도해 볼 수있는 몇 가지 제안을 제공하고자합니다.
테스트 할 CPU, RAM, 쿨러, PSU 만 설치하십시오.
A1 / B1 또는 A2 / B2 슬롯에 메모리를 차례로 설치하여 문제가 특정 RAM 슬롯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BIOS / OC Tweaker / DRAM 구성으로 이동하여 XMP 프로필을 활성화하고 "tRCDtRP / tRAS"를 위로 조정 (21, 24)하여 시도해보십시오.
즉 4000으로 실행해도 된다? 저는 4133을 물어봤는데 4000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라고만
답변이 왔습니다..
제가 가진 램의 XMP프로필1이 4133이고 프로필2가 4000 인 제품입니다..
그리고 부팅이 안되거든 tRAS값을 21이나 24로 바꿔보라고 써있네요..
실제로도 XMP 프로필2로 설정하고 부팅하면 부팅이 됫다가 블스가 뜨거나 아예 메모리 오버
잘못됬다고 바이오스들어가라고 뜹니다..
그래서 tRAS값을 21 24로 바꿔가면서 테스트 하니 부팅도 되고 MEMTEST5도 돌아갑니다..
근데 계속 오류가 생겨서 이틀동안 지겹게 이것저것 다해봤는데 안되더군요..
Non K 제품이라서 LLC도 자동으로 두고 SA전압도 자동 IO전압만 조금씩 올려서 테스트 했었는데
몇주간 틈나는대로 램오버 안정화하려고.. 생쇼하다가 포기하기직전 SA전압 수동으로 잡아주고
LLC를 자동에서 레벨3으로 설정하니 XMP 프로필2 타이밍값으로 성공했네요.. ㄷㄷㄷ
구매 후 오버해보려고 전압도 1.5까지 줘보고 램타 풀었다 IO전압 바꿔가면서 했었는데..
계속 오류가 떳습니다.. 그런데..
가장큰 원인이.. LLC 레벨 수동설정 이였다니.. ㅠㅠ
애초에 CPU는 오버를 할 수 없으니 LLC도 안건드렸는데
이걸 자동에서 수동으로 레벨3 설정하고.. 바로 오류없이 MEMTEST5 20회가 돌더군요...
어이가 없었습니다.. 결국은 XMP 프로필2 4000Mhz CL 18 19 19 전압 1.35v 기본으로
한번에 안정화 됬습니다. SA전압의 경우 오토로 설정했다가 수동으로 잡아줬습니다.
서론이 길었는데 XMP적용하시거나 저처럼 논K 구매해서 램오버만 해서 사용할분들은
고클럭 램일경우 LLC 레벨3으로 수동설정하시고 IO 전압이랑 SA전압 늘려가면서
테스트 해보시면 XMP가 성공할 수 있습니다. ㅎㅎ물론 그냥 디폴트 상태에서 XMP프로필만
설정하고 부팅해도 작동이 잘되야 하지만.. 이제품은 좀.. 그런 문제가 있는거같습니다.
추가로 CPU멤컨 문제도 있을테구여.. ㅠㅠ 근데 제시퓨가 멤컨이 그렇게 안좋은거 같지는
않습니다.
램클럭 4000에 CL 18 19 19 1.35v 이고.. SA전압 1.27v IO전압 1.2v 인가 하였습니다.
그리고 지금 글을 쓰면서 공식 홈페이지 QVL을 확인하니 제가 문의한 램이 리스트에서
삭제 됬습니다. ㅎㅎ제가 문의글 넣고 자기들도 테스트해보고 XMP 안되니깐 바로 삭제하네요.
애초에 무슨근거로 QVL에 XMP적용이 된다고 올린건지 모르겠습니다.
신뢰성 바닥입니다.. 그러니 퀘이사존 XMP 테스트에서 꼴등 보드가 됬겠지요.. 흑흑..
그리고 전원부 발열.. 일단 저의경우 논K 제품이기에.. 링스를 돌릴 일이 없었지만
그냥 궁금해서 MEMTEST5 20회 돌리고.. LINX 0.9.7을 돌려 봤습니다.
역시 10700에 램오버만 되있는 상태인데도.. 쓰로틀링이 생깁니다.. 4600mhz 유지하다가 4100
까지 다운클럭했다가 다시 4600 됬다가를 반복하더군요..
혹시나 Linx 레거시도 돌려보고 파스 타스도 다돌려보고 게임도 다해봤는데 쓰로틀링
다행히도 일반적인 부하 상황에서는 쓰로틀링이 없었습니다..
확실히 고부하가 아니면 실사용에는 전혀 지장이 없습니다..
그래도 제눈으로 고부하시 쓰로틀링을 봐버리니 뭔가 찜찜해서 보드를 손을 좀 봣습니다..
일단 IO커버를 제거합니다..
이커버만 없어도 온도 엄청 떨어집니다.. 이커버가 히트싱크를 덮고 있기때문에..
열이 배출이 안되서 온도가 한번 상승하면 떨어지질 않습니다..
당연히 부하가 들어가면 냉각이 전혀 안되니 쓰로틀링이 걸릴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IO커버 안쪽에 LED가 다이렉트로 히트싱크를 비추기 때문에 온도가 더더더더
안떨어집니다.. 작은 LED 여도 지속적으로 켜져있으면 따듯합니다..
그래서 IO커버를 탈거했습니다.. 어차피 디앤디 측에서 사은으로 제공하는 WIFI모듈을 장착
하려면 한번빼야하는데.. RGB에 목숨거실분 아니라면 커버를 탈거한채로 사용하시는걸 추천
합니다.. 부가적인 쿨링 없어도 냉각 효율이 좋아집니다.. 저는 이미 조립전 WIFI모듈을
달았었기에.. 이번에 커버 뺄려고 시스템을 전부 해체했네여 ㅠㅠ.. 그리고 탈거 후 전원부
보조 쿨러도 달았습니다.
약간의 팁을 드리자면 보조쿨러는 그래픽카드용
이제품을 사용했고.
링크 http://prod.danawa.com/info/?pcode=2121604&cate=11336862
하이패스용 내열 양면테이프로 히트싱크와 쿨러뒷면에 붙여서 고정하였습니다..
하이패스나 차량용블랙박스를 차량에 붙여도 한여름철에도 안떨어질 정도로 접착력도
우수하고 제거시에도 깨끗하게 제거 됩니다. 내열이기때문에 문제도 안되고여..
링크:
알려드린 쿨링팬은 투명인데 제 본체사진에 쿨러가 검정인 이유는 제가 검정색으로
도색을 했기때문입니다.. ㅎㅎㅎ
혹시나 해당쿨링팬을 저 처럼 전원부 히트싱크에 부착시에 후면 배기팬 프레임에 살짝
간섭이 있을수 있습니다.. 저같은경우는 살짝씩 닿아서 쿨링팬 모서리를 살짝 칼로 도려냈습니다.
이점은 참고하시거나 좀더 작은 쿨링팬을 선정하셔서 부착하시는걸 권장합니다.
그냥 40mm~60mm 일반 시스템팬을 사용하시는게 좋을거같습니다.
신성조님 유투브에서 z490보드 리뷰하실때 이제품 부하테스시 전원부에서 탄내가 나서
테스트를 중지 했다고 하셧는데..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게..프라임을 돌렸기때문에
전원부가 일단 100도를 넘게 찍을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
열이 방출을 할 수 없기때문에.. 점점 온도는 상승하고 결국
덮고있는 IO커버 플라스틱 부분이나 LED케이블 고무 부분이 히트싱크에 접촉이 있었다면
살짝 플라스틱 타는 냄새가 날 확률이 다분합니다.. ㅎㅎ 그정도로 커버가 히트싱크에 가깝게
붙어서 감싸고 있습니다..
탈거 한 후 쿨링팬을 달아준 모습입니다.. Linx 0.9.7 돌려도 모니터링 프로그램으로(HWINFO)
전원부 온도 맥스 56도 찍혔습니다.. 캡쳐화면 오른편 항목중 VR VCC TEMP 항목 입니다.
쓰로틀링도 없었구요 아주 만족스럽습니다.. 흐흐
10회 진행 후 캡쳐를 안해서.. 2회만 돌리고 정지 후 다시 캡쳐해서 올립니다.
아쉽게도.. IO커버 탈거한 상태로만 측정을 했어야했는데.. 원래는 사용기를 적을 생각이 없었
기에.. 바로 전원부 보조 쿨러를 달아버려서.. ㅠㅠ 보조 쿨러없이 진행했을때 온도는 모르겠네여
일단 사진입니다.
생각해보니 전원부 쿨링팬 스탑시키고 측정하면 되는 부분이네요 ㅎㅎㅎ
그래서 전원부 쿨링팬 부착된상태로 쿨링팬 RPM 0 으로 바이오스상에서 돌지 않도록 한다음
링스 0..9.7 돌려봤습니다. 이것도 귀찮아서 3회차만 돌리고 정지했는데
1회차에 잔차가 튀었네여 .. 10세대가 잔차가 잘튀는데 링스 스타트 후에 HWINFO를 실행 시켜서 튄거 같습니다. ㅎㅎ 어차피 온도가 목적이니 잔차틀어짐따위는 신경쓰지마시고 온도만 확인
하시면 될거같습니다.. 즉 IO커버만 탈거 후 링스같은 고부하 프로그램또는 고부하시에도
IO커버 탈거만으로도 쓰로틀링이 안생깁니다.
IO커버 있을때는 링스 1회차부터 쓰로틀링이 발생했습니다.
IO커버 탈거 후 전원부 쿨러장착시 링스 0.9.7 구동시 전원부 온도 최대 56도를 기록했고
전원부 쿨러 없이 IO커버만 탈거된 상태의 링스 0.9.7 구동시 전원부 온도는 최대 58도를
기록 했습니다.
이걸로 봐서는 전원부 쿨링한거와 안한거의 차이가 온도가 2도밖에 차이가
안나기 때문에 큰 효과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면 어려울것이고.. 잘모르겠습니다..
판단은 사용자분들이.. ㅎㅎㅎ 10700K 이상 CPU를 오버했을경우에는 전원부 쿨링이 필요할거
같긴합니다. 실제로 퀘이사존에서 이보드 리뷰를 했는데 거기서도 기본상태로는 10900K 오버가
실패했지만 자체적으로 전원부 쿨링을 시도해서 오버를 진행했을때는 성공했다고 써있거든요..
근데 10900K 쓰시는분중에 이가격대를 구매고려를 하실지는 모르겠네여 ㅎㅎㅎ
전원부 발열문제 결론은..
이제품을 구매하셔서 IO커버를 벗기고 쓰는걸 추천 IO커버때문에 히트싱크 열이 방출이 안되어
상승하기만 함.. (왜이렇게 만든지 모르겠음)
근데 논K 시퓨 사용하고 게임정도만 하면 그냥써도 쓰로틀링은 없음..
단지 고부하 안정화 프로그램또는 고부하 작업하시는분들만 문제가 될 수준임..
하지만 IO커버 벗기기만해도 온도가 엄청 떨어짐.. 게임시 약20도 차이남 한번 온도가 올라가면
잘안떨어짐..
어차피 디앤디에서 사은으로 제공하는 와이파이 모듈을 설치하려면 조립하기전에 IO커버
뜯어야 하기때문에 그때 뜯어버리고 그냥 사용하는걸 추천함..
RGB성애자가 아니라면 논K던 뭐던 그냥 IO커버 벗기고 쓰는걸 강추함..
IO커버를 제거만 해서 사용하거나 또는 제거 후 전원부 보조쿨러 DIY 해서 사용할경우
극오버를 진행하지 않는이상 충분히 가격대비 괜찮은 보드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같은 가격대에 타사 괜찮은 보드들이 있기는 하지만..
저한테는 제가 필요한 부분들을 이 가격대에서는 이보드만 제공을 했기때문에 만족스럽습니다.
20만 초반 가격대.
WIFI모듈(사은제공)
RGB 확장성 및 기본 RGB 가격대비 괜찮음..
(물론 IO커버 탈거해야하지만.. 흑 사이드 LED EXTREME 글자에 불들어오는거 만족)
Nahimic 사운드 지원
사운드칩 리얼텍 1200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