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금부터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3080 EX Gamer WHITE OC D6X 10GB'의
사용기를 적으려 합니다.
PC 화이트 감성에 있어 가장 큰 임팩트를 줄 수 있는 그래픽카드
그중에서도 역시 화이트감성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갤! 럭! 시!
※이 사용기는 '갤럭시 2080 Super HOF White 10주년 에디션'과 성능 비교도 포함합니다.
- 제품명 -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3080 EX Gamer WHITE OC D6X 10GB
-제원-
GPU : RTX 3080
쿠다 프로세서 : 8704 개
부스트 클럭 : 1755MHz
메모리 : GDDR6X 10GB / 19000MHz / 320-bit
최대 사용 전력 : 340W
권장 파워 용량 : 정격파워 750W 이상
전원 포트 : 8핀 x 2
출력 : DP 3개 / HDMI 1개
크기 : 316mm x 124mm x 58mm
무게 : 1376 g
- 박스 및 패키징-
박스샷 입니다. 갤럭시 특유의 후드티 입은 아저씨가 딱!
이건 확실히 호불호가 있어 보이네요.
겉 박스를 열면 박스 안에 박스가 나옵니다.
검은색 박스 가운데 'GEFORCE RTX'가 멋지게 새겨져 있습니다. 이건 좀 괜찮네요.
개봉하면 그래픽 카드가 안 나오고 카드 거치대가 나오네요.
저는 라이저카드를 사용하기에 이 거치대는 사용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LED 라이트가 들어가는 것 같은데 못 보여드릴 것 같네요.
거치대를 걷어내면 드디어 그래픽카드가 영롱한 자태를 보입니다.
엄청 고민하고 샀는데 이때 사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ㅋㅋ
구성은 이렇게 되어있습니다.
메뉴얼은 안 읽는 것이 국룰 이기에 본체와 RGB라인만 빼고 바로 다시 박스 안으로~
-본체 외관-
짜잔~ 지금 보니 밀봉샷을 안 찍었네요. 뭐 상관없고
외관은 이렇습니다. 갤럭시 그래픽카드 디자인은 점점 좋아지는 것 같네요.
뒷면 방열판 부분도 멋지게 디자인 돼 있습니다.
옆면입니다. 이번 3080은 전체적으로 두께감이 상당하다고 들었는데
실제로 보니 두껍긴 하네요.
But! 전에 사용하던 그래픽카드가 워낙 큰 '2080 Super HOF'다 보니
솔직히 '음... 이게 큰건가?'가 제 첫 인상이었습니다.
※제원을 보니 '2080 Super HOF' 조금 더 크네요. ㅎㄷㄷ
출력 포트 부분이고 뭐 그렇습니다.
-장착샷-
드디어 장착샷 입니다. 화이트 감성 마니아라 조금이라도 싸게 하려고
해외 사이트에서 드래곤볼을 찾아 다녔던 지난 날이 대견해 지는 순간입니다.
3080도 멋지긴 한데 역시 '2080 Super HOF'가 더 멋지긴 하네요.
뭐 이건 '2080 Super HOF'가 워낙 디자인과 볼륨감이 좋았으니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 생각되네요.
그래도 '2080 Super HOF'는 LED가 아쉬웠는데 3080은 LED가 기대 되네요.
전원이 들어가면 이녀석이 더 멋지겠죠?
이렇게 보고 있으니 메인보드가 화이트가 아닌 게 정말 아쉽아쉽 하네요.
Asrock에 화이트 수냉 보드가 있긴 한데 그건 가격이 말도 안돼서 ㅋㅋ
-전원 온!-
캬~ 멋지긴 정말 멋지네요~
사실 이 3080이 제가 구입한 4번째 갤럭시 제품입니다.
1070 -> 1080TI -> 2080 Supper -> 3080
1070과 1080TI 때는 솔직히 화이트 감성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샀던 기억이 있었는데
2080 Super 부터는 고민 없이 갤럭시로 가고 있어요.
커세어 시스템팬과도 정말 잘 어울리네요.
LED라이트 색은 그냥 화이트로 하면 재미없을 것 같아 블루로 했는데
화이트에 가까운 블루로 바꿔봐야겠네요.
제 컴퓨터 책상의 풀 샷입니다.
멋지죠?? 선정리는 좀 더 해야겠네요.. 쩝...
측면에서 찍어봤습니다.
정말 오랜만에 게임을 켜 봤네요.
튜닝 포함 400만 짜리 유튜브 플레이어 입니다. ㅋㅋ
여러분들도 다 마찬가지 시죠??
이 사진은 '2080 Super HOF White 10주년 에디션' 사용 당시의 사진입니다.
정면에서 찍은 사진이 없어서 다시 설치해서 비교 사진을 올릴까도 했는데
귀찮아서 포기하고 그냥 이렇게 하나 던져놓고 갑니다.
-Xtreme Tuner-
갤럭시 그래픽카드용 프로그램입니다.
오버클럭, RGB 세팅, 펜 속도 설정등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 입니다.
사용법이 어렵지 않게 잘 만들어진 편이라 생각됩니다.
프로그램 상단 오른쪽에 있는 스마트폰 모양을 클릭하면
가운데 QR이 나오는데 이걸 스마트폰으로 스캔하면
스마트폰으로도 그래픽 카드 제어가 가능해 집니다.
※스마트폰에도 Xtreme Tuner 앱이 깔려 있어야 함
위 사진이 스마트폰에서 앱을 켜면 나오는 화면입니다.
가운데 START 버튼을 터치하면 스캔 화면이 나옵니다.
연결된 화면은 이렇습니다.
사진을 보시면 현재 그래픽 카드의 상태를 볼 수 있습니다.
이 사진은 LED를 제어하는 모습입니다.
PC 프로그램에서 할 수 있는 설정 변경을 앱으로도 할 수 있습니다.
오버클럭, LED 제어, 펜 설정 등등.
-벤치마크-
그래픽 카드 바꾸면서 벤치도 한번 해봤습니다.
막 대단한 것은 아니고 제가 갖고 있는 몇몇 게임과 벤치툴로
이 글을 보시는 분들께 도움을 드리고자....
사실 자기 만족을 위한 겁니다. 돈을 썼으니 돈 쓴 기분은 느껴봐야죠.
비교군은 'Galax RTX 2080 Super HOF White 10주년 에디션' 입니다.
제 PC 사양도 올려드릴게요
씨피유 : RYZEN 3700X - 전력 제한 해제(아~ 바꾸고 싶다 5900X)
메인보드 : ASRock X570 Taichi
램 : 커세어 DDR4 32G 3600MHz (8G x 4, CL18)
파워 : SuperFlower 850W Gold
오른쪽 사진이 3080입니다. (스마트폰의 경우 아래쪽이 3080)
타임 스파이
그래픽 점수
2080 Super : 11,738
3080 : 17,484
총점
2080 Super : 11,426
3080 : 15,738
파이어 스트라이크
그래픽 점수
2080 Super : 28,188
3080 : 40,987
총점
2080 Super : 23,646
3080 : 30,102
게임 환경은 4K(3840 x 2160) 최고 사양 입니다.
쉐도우 오브 툼레이더
평균프레임
2080 Super : 65
3080 : 93
어크 오리진
평균프레임
2080 Super : 53
3080 : 78
어크 오디세이
평균프레임
2080 Super : 44
3080 : 60
총평 입니다.
확실히 RTX 3000 시리즈는 역대급 성능 향상을 보여주네요
덕분에 제 2080 Super는 갈 곳을 잃었습니다.
GPU 온도를 따로 체크해 보지 않아서 좀 아쉽지만
안전성은 괜찮아 보입니다. 나중에 4K 게임시에 GPU 온도도 한번 체크해 봐야 겠네요.
갤럭시 그래픽 카드는 AS의 강점과 멋진 LED만으로도 충분히 선택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욱이 화이트 감성의 PC라면 무조건이라고 봐여죠!
다만 LED 효과가 좀 더 다양하지 못한 것이 아쉬운 부분이었습니다.
이렇게 사용기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보신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