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날씨는 여름에 덮고 습하며, 겨울에는 건조하고 추운 온대성 기후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며칠 전부터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고 바람까지 불면서 체감온도는 영하 10도가 넘어가고 있는데요. 방 커튼을 치지 않으면 그 추위가 그대로 느껴질 정도로 매서운 한파하고 연인 계속되고 있죠.
보일러를 틀지 않고, 옷을 껴 입지 않으면 강한 한기가 느껴질 정도의 강추위에 봄날의 훈풍처럼
따뜻하게 해주는 난방 기구가 더욱더 절실해지는 것 같습니다.
많고 많은 난방 기구 중 전기를 덜먹으면서도 무난한 난방 효율의 컨벡터가 새로운 겨울철 난방
아이템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컨벡터는 대류 현상을 이용하여 방, 침실 등의 공간의 온도를 높여주는 난방기기로 보통 3평에서 최대 6평 정도의 공간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오늘은 다양한 컨벡터 중 가장 인기가 많은 MILL 1200M과 SK매직 CRH-C200HL 2종을 비교, 테스트하여 나에게 적합한 제품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스펙
MILL 1200M, SK매직 CRH-C200HL 컨벡터 종은 같으면서도 다른 제품인데요. 사용 공간을 보면 SK매직 CRH-C200HL 컨벡터의 소비전력이 800W 정도 더 높으며, 사용 공간 크기에서도 1평이 큰 것으로 스펙으로 알 수 있습니다.
뒤에서 보면 알겠지만 크기도 조금 큰 편이며, 조작 방법이나 디자인, 통풍구의 위치가 조금씩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외에 컨벡터 특징상 비슷한 면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색상도 백색가전처럼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다 보니 깨끗한 화이트 색상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스탠드, 벽걸이 겸용으로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구매 예정자분들이 관심이 많은 가격은 MILL 1200M 컨벡터가 13,000원 정도 비싸게 판매되고 있습니다.
2. MILL 1200M 패키지 및 받침대 조립
북유럽 스타일의 MILL 1200M 컨벡터는 2중 포장으로 고급진 패키지가 우선 눈에 들어옵니다. 컨벡터는 전기 히터처럼 어느 정도 부피가 있기 때문에 박스도 큰 편이며 내부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티로폼으로 견고하게 포장하였습니다.
MILL 1200M 컨벡터 구성은 컨벡터 본체를 비롯하여 사용 설명서, 이동식 다리 받침대 2개, 벽걸이용 거치대, 벽걸이용 나사 홈 및 나사 4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컨벡터 본체 하단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2개의 이동식 다리 받침대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아도 걸쇠 형태로 조립할 수 있습니다. 바퀴가 기본으로 달려 있는 형태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으면 작은 원 모양이 앞쪽으로 튀어나오면서 결합되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나사로 고정하지 않아도 단단하게 결합되어 곧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SK매직 CRH-C200HL 패키지 및 받침대 조립
SK매직 CRH-C200HL 컨벡터도 2중 포장으로 되어 있지만 MILL 1200M처럼 속 박스가 고급스럽지는 않고 겉박스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졌으며 크기만 다를 뿐입니다. 매직 컨벡터 히터라는 이름으로 출시하였으며 모델명과 간단한 정보가 겉박스 전면에 표기되어 있습니다.
SK매직 CRH-C200HL 컨벡터의 구성품도 MILL 1200M 컨벡터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컨벡터 본체, 사용 설명서, 타원형 다리 받침대 2개, 벽걸이용 거치대, 벽걸이용 나사 홈 및 나사, 그리고 다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나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SK매직 CRH-C200HL 컨벡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받침대를 조립해줘야 합니다. 받침대는 본체 바닥면의 홈에 끼운 후에 3개의 나사를 십자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각각 고정해 줍니다.
MILL 1200M 컨벡터처럼 이동식 바퀴가 없기 때문에 고정형으로만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이동 손잡이는 적용되어 있지 않습니다. 받침대를 장착한 상태에서 높이를 측정해 보면 MILL은 45cm, SK매직은 48cm로 의외로 3cm 밖에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4. 크기 비교
2종의 컨벡터에 받침대를 장착한 상태에서 크기를 비교해보면 SK매직 CRH-C200HL 기종이 조금 큰 편입니다. 정확한 사이즈는 MILL 1200M이 650 x 400 x 85mm이며, SK매직 CRH-C200HL이 795 x 525 x 130mm로 수치상으로도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 MILL 1200M 디자인, 조작부
컨펙터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난방기기로 스탠드 & 벽걸이 사용이 모두 가능하며 벽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동식 받침대를 연결하지 않아도 됩니다. 스탠드 형태로 이동하면서 사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받침대를 연결해야 세울 수 있으며 편하게 원하는 장소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심플하고 세련된 화이트, 블랙 컬러의 투톤이 보면 볼수록 고급스러워 보이며 라운딩 마감이 더해져 디자인, 인테리어 소품으로써는 MILL 1200M이 더 낫습니다.
측면에서 보면 슬림한 편으로 이동식 받침대를 장착하면 거치 공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습니다.
무게에 비해 받침대가 큰 편입니다.
우측면에는 전원 ON/OFF 스위치가 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하단에 온도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심플합니다.
상단의 전원 스위치는 비닐이 씌어져 있어 물기가 묻어도 안전하며, 전원을 켜면 LED 램프에 불이 들어옵니다. 측면에 전원 버튼과 램프가 위치하여 정면에서 보면 보이지 않아 수면에 방해가 되지 않지만 작동 여부를 바로 알 수 없는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뒷면에는 벽걸이용 브라켓을 설치할 수 있는 홈이 위치해 있는 단순한 구조로 내부의 열을 방출하기 위한 통풍구가 곳곳에 타공되어 있습니다. 냉방기기도 마찬가지지만 난방기기는 특히 겨우내 사용해야 해서 전기 요금에 대해 상당히 민감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에너지 소비 효율이 높은 제품을 구입하게 되죠. MILL 1200M의 소비전력은 1180W로 일반 가정에서 사용 시 월 109,000원으로 부담에 되는 전기 요금이 나오고 있습니다.
후면 상단에는 열기 방출구와 온도 조절 다이얼 버튼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조작부의 온도 조절기는 다이얼 형태로 약 ~ 강 구조로 강에 가까울수록 온도가 올라가는 것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앞에서 보면 보이지 않게 숨겨진 위치에 자리하고 있어 깔끔하게 보일 수 있어요.
온도를 높이면 내부의 발열체에서 열기가 나면서 뜨거워지며 그 열기는 하부와 상부를 통해서 순환되는 공기 형태로 실내 공간을 데웁니다.
자연 대류 방식을 사용하는 컨벡터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공간의 차가운 공기를 따뜻하게 데우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6. SK매직 CRH-C200HL 디자인, 조작부
SK매직 CRH-C200HL 컨벡터 또한 MILL 1200M과 마찬가지로 스탠드, 벽걸이 형태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동식 바퀴가 없어 이동할 때는 본체를 손으로 잡고 들어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사용 중 위치 변경을 할 때 본체보다는 열기가 느껴지지 않는 플라스틱 다리를 잡고 짧게 이동하야 합니다.
전도 안전장치가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중 넘어져도 불이 옮겨붙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온도 조절 장치는 정면 우측에 위치해 있으며 단계별로 구분되어 있는 점이 MILL 1200M 컨벡터와 다른 점입니다. 조절 로브는 큰 편으로 마치 마디를 밟아 나가는 것처럼 1단, 2단, 3단을 순차적으로 올릴 때 구분감이 느껴지며 0에서 1단으로 올리면 아래쪽에 위치해 램프에 빨간색 불이 점등됩니다.
램프가 큰 편이라서 멀리서도 점등되었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무선 리모컨이 있으면 원거리에서도 편하게 사용할 텐데 두 제품 모두 리모컨은 지원하지 않네요.
이동식 받침대는 타원형으로 컨벡터를 조금 높게 위치시키는 효과가 있어 받침대를 장착해 놓으면 높이가 3cm 정도 밖에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측면 두께는 MILL 1200M 보다 두꺼운 편이며 안쪽으로 들어간 형태로 설계되었습니다.
사용 공간이 1평 정도 더 크고, 소비전력도 2000W에 가까워서 가정에서 사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월 177,000원을 부담해야 합니다. 가정 이외 사용 시는 월 52,000원으로 줄어들기는 하지만 여전히 높은 사용요금으로 MILL 컨벡터보다 68,000원 정도를 더 부담해야 합니다.
후면에는 벽걸이용 거치대를 장착하는 홈이 상단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하단 좌우에는 온도 센서로 추정되는 검정색 장치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열기 배출구는 MILL 1200M과 마찬가지로 후면 상하단에 직선으로 뚫려 있으며, 추가적으로 전면 방향으로 토출구를 3분의 1 정도 배치하여 난방 효과를 높이고 있습니다.
2종의 컨벡터의 열기 배출구의 다른 점은 수에서도 찾을 수 있지만 형태와 크기에서 다릅니다. MILL 1200M 컨벡터는 배출구를 거의 전체를 타공하여 외부의 공기가 빠르게 순환되는 구조이지만
먼지나 이물질이 쉽게 들어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SK매직 CRH-C200HL 컨벡터는 작으면서도 아래 방향으로 눈을 감는 형태로 천공하여 외부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순환시키면서도 먼지, 이물질이 쉽게 들어가지 않도록 설계된 점이 눈에 띕니다.
7. 전원 케이블 비교
두 제품의 사용 전압은 220V / 60Hz로 통일된 규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원 케이블 길이는 MILL 1200M이 1.6m, SK매직 CRH-C200HL이 1.5m로 0.1m 차이가 납니다.
8. 작동 모습 비교
인기 컨벡터 2종의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시킨 모습입니다. 두 제품의 장점 중 하나가 냄새, 연기, 소음이 없는 친환경 난방기기라는 점으로 연기나 그을림이 생기는 가스, 기름 제품들보다는 쾌적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작동 모습은 첨부한 동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MILL 1200M은 앞에서 보면 작동 상태를 알 수 없지만 SK매직 CRH-C200HL는 조작 노브와 램프가 전면에 위치하여 이를 통해서 작동 상태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
9. 성능 테스트 1 : 30% 온도 출력
30% 세기 온도 조절
시작 전, 60분 경과 후 발열체 온도
시작 전, 60분 경과 후 실내 온도
30% 출력 소비전력
동일한 공간, 실험 조건에서 시간당 난방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2가지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첫번째 테스트는 3.2평의 공간에서 온도 세기(출력)를 30%에 설정한 후에 10분 단위로 발열체와 실내 온도의 변화를 체크하였습니다.
60분 구동이 경과한 후에는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원래의 온도로 돌아가는 시간을 측정하여 표로 정리했구요. 마지막으로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소비전력까지 측정하여 한달 전기요금을 계산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테스트 1의 결과는 위와 같으며 조금 더 디테일한 결과는 아래 표를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30%의 온도 세기에서 테스트한 온도 변화를 보면, SK매직 CRH-C200HL 컨벡터가 적은 소비전력을 사용함에 있어 2.7도가 상승하여 2.3도 상승에 그친 MILL 1200M 컨벡터보다 효율적인 난방 성능을 보여 주었습니다.
그리고 최고 온도는 50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두 제품 모두 60분에 가까워질수록 0.1 ~ 0.2도의 미세한 수치로 움직이며 60분에는 최고 온도가 고정되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최고 온도에 도달하면 컨벡터 반경 1미터 내외가 따뜻해지고, 실내 온도가 천천히 상승하여 공간 전체의 온도가 유의미하게 올라갑니다.
하지만 급격하게 온도가 상승하는 효과는 크지 않았으며, 충분히 시간을 두고 온도를 끌어올리는 컨벡터의 특성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소비전력은 MILL 1200M 컨벡터의 경우 온도 세기에 관계없이 모든 구간에서 1010W가 넘지 않았으며 1000~1010W 사이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입니다. 반면에 SK매직 CRH-C200HL 컨벡터는 단계별로 소비전력이 다른데, 스펙에서는 1단 900W, 2단 1100W, 3단 2000W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실제 측정한 소비전력은 최대 652W 이하에 머물렀습니다. 실제 사용 전력은 예상했던 것보다 높지 않은 만큼 전기요금에 대한 부담감도 덜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0. 성능 테스트 2 : 100% 온도 출력
100% 세기 온도 조절
시작 전, 60분 경과 후 발열체 온도
시작 전, 60분 경과 후 실내 온도
100% 출력 소비전력
두 번째 테스트는 동일한 공간, 실험 조건으로 설정한 후에 온도 세기(출력)을 100%로 올려 10분 단위로 컨벡터 그릴과 실내 온도 변화를 체크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소비전력과 처음 상태의 온도로 돌아가는 시간을 측정하였고요.
자세한 테스트 결과는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두 컨벡터의 출력을 100%로 했을 경우의 결과입니다. 실내 온도는 30% 출력 때보다 빠르게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발열체 그릴 온도도 급상승하여 전체적으로 실내 온도와 컨벡터의 온도가 동시에 높아지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60분 사용 후 온도 변화는 MILL 1200M의 경우에는 3.8도가 상승했고 SK매직 CRH-C200HL는 5.2도가 올랐습니다. 실제 사용하는 전력이 각각 1000W대(MILL), 1500W(SK매직)대라는 것을 생각하면 충분히 설명이 되는 온도 변화라고 할 수 있으며, 상승폭은 상대적으로 SK매직 CRH-C200HL 컨벡터가 높지만 그만큼 전기를 많이 먹기 때문에 전기 요금에 대한 부담이 커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2종의 제품은 그릴의 재질이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어 열전달 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작동 시 빠르게 열을 전달하고, 전원을 차단하면 빠르게 식히는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11. 전기요금 및 기타 비교
실제 측정된 소비전력을 기준으로 한 달 전기 요금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MILL 1200M 컨벡터의 전 구간에서의 소비전력을 1000W로 잡고 하루 5시간을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가정용 저압에서는 월 12,390원, 고압에서는 11,330원이 나와 스티커에 표기된 사용 요금보다 적게 나옵니다.
SK매직 CRH-C200HL 컨벡터는 단계별로 소비전력이 다르기 때문에 최대 출력에서 하루 5시간씩 사용한다고 가정하고 사용전력을 1490W로 잡았습니다. 가정용 저압에서는 월 27,940원, 고압에서는 월 23,080원으로 역시 표기된 전기 요금보다 많이 줄어 부담감을 덜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네요.
최고 온도, 작동전 온도 도달 시간은 50분 이후에부터 시작되며 60분이 되면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물이 튈 수 있는 주방, 화장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IPX4 방수 등급을 지원하며 두 제품 모두 벽걸이 형태로 설치 가능합니다. IPX4 등급의 의미는 전방향으로 비산되는 물로부터 보호하지만 X가 들어감으로써 방진 기능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12. 실생활 활용, 관리방법
2종의 컨벡터는 자동온도조절 기능을 비롯 다중 안전 장치를 내장하고 있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 일은 거의 없겠지만 만약에 넘어지는 경우에도 안전사고가 나지 않도록 전도 안전장치를 탑재하여 아이들이 많은 가정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컨벡터는 공간 난방에도 효과가 있지만 추운 날씨에 잘 마르지 않는 빨래를 건조할 때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답니다.
최고의 사용은 실내 공간을 난방시키는 기능으로 특히 최근 며칠처럼 보일러를 틀어도 실내 공간이 금방 따뜻해지지 않을 때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소파나 의자에 앉는 경우 하체 부분, 특히 발 쪽에 한기를 느낄 때 바닥에 거치해 놓고 컴퓨터를 하거나 책을 읽을 때, 아이들이 공부를 할 때 사용하면 은근하게 따뜻하게 해줘 좋더라고요.
컨벡터 관리는 먼지 청소 시에는 부드러운 천으로 닦아주면 되고 오염이 심할 경우에는 50도 이하의 물에 중성세제를 풀어 닦아주면 깨끗해져서 관리도 쉬운 편이에요.
13. 결론
약 5일에 걸쳐 테스트한 위 결과들은 어떤 제품이 좋다기보다는 각각의 특성에 맞게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가격 차이도 많이 나지 않을뿐더러 디자인, 성능, 편의성, 안전성, 부가 기능, 가성비 등에서 한쪽으로 확 기울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컨펙터 디자인은 어느 정도 비슷할 수밖에 없는데 2종의 컨펙터는 표면 처리나 마감이 살짝 다르게 하여 차별화시키고 있습니다. MILL 컨벡터는 부드러운 모서리 라운딩 마감을 통해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강조했으며 SK 매직 컨벡터는 모서리를 라운딩 처리한 것은 같지만 더 사각형에 가깝고 큰 편이라서 인테리어 소품으로는 MILL 컨벡터가 나은 모습입니다.
두 컨벡터는 난방기기이기 때문에 난방 성능과 전기 요금, 그리고 제품 가격의 상관관계를 따져봐야 합니다.
난방 효율(성능)이 좋으면 그만큼 전기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 요금에 대한 부담감이 커질 수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난방 성능이 중요하다면 전기 요금(사용 전력)은 부가적인 요소가 될 것이며 반대로 적당한 난방 성능에 소비 전력이 낮은 난방기기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런 점들을 종합해 보면, 전기 요금은 많이 나오지만 난방 성능이 좋으면서 조금 더 넓은 공간에서 사용하고자 한다면 SK매직 CRH-C200HL 컨벡터가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적당한 난방 성능에 소비 전력도 낮은 난방기기를 원한다면 MILL 1200M 컨벡터를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하지만 최대 사용 평수가 전자는 6평, 후자는 5평이기 때문에 난방 효율을 체감하는 데는 약간의 시간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사용 공간을 보면 7평 이상의 거실에서 사용하기에는 성능이 부족하며 침실, 아이들 방, 개인 서재, 원룸 등의 한정된 공간에서 사용하기 좋은 컨벡터라고 생각됩니다.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난방기기라는 특성을 고려하면 실내 공간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30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지나치게 넓지 않은 공간에 최적화되어 있는 제품들이며 창문이 많고 외풍이 심한 공간에서는 난방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위 평가표는 지극히 주관적인 판단이며 사용자의 취향, 난방 효율(성능), 사용 공간, 여러가지 환경적인 요소로 인하여 다양한 선택이 있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