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전에 올린 WD Elements 10TB 개봉기를 읽고
이 글을 보시면 더 이해가 빠를겁니다.
WD Elements 10TB 하드 적출 사용기
사실 이 제품을 구입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입니다.
지금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10TB 하드의 최저가를 알아보면
30만원이 넘는 가격대에 판매가 되고 있는데
그러다보니 더욱 더 외장하드를 구입 후
하드만 따로 빼서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 글을 보고 저도 직접 제가 해보기 위해
구입을 하였던 이유도 있습니다.
일단 시작하기에 앞서
외장하드를 보시면 이렇게 모서리에 틈이 있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안쪽에 카드들을 넣어서 살살살 긁으면
무언가 안쪽 걸쇠 같은게 빠지는 소리와 함께
이렇게 벌어지게 됩니다.
양쪽을 비교하기 위해 사진을 찍었습니다.
이렇게 양쪽을 모두 뜯으면 기본 작업은 끝이 나게 됩니다.
인쪽 걸쇠를 제거하면 이런식으로 외부 커버가 제거 가능합니다.
커버를 제거한 외장하드입니다.
커버를 벗긴 외장하드의 뒷 편을 보면 이렇게
LED 광섬유와 외장하드용 기판, 하드가 연결되어 있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
LED 핀은 이런 식으로 손으로 가볍게 뺄 수 있습니다.
또한 외장하드 커버와
하드는 고무패킹으로 고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가볍게 하드를 밀면 분해가 가능합니다.
적출한 하드입니다.
이제 여기 있는 외장하드 단자 기판을 제거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상단에 있는 나사를 제가 한다음
옆면에 있는 기판 고정 단자를 제거하면
이런식으로 외장하드 단자 기판을 손쉽게 제거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이렇게 외장하드 기판까지 제거 한 뒤
하드에 있는 핀을 테이핑 하고 난 뒤
연결을 해야 한다고 했는데
wd101emaz하드의 경우 비헬륨 하드 제품이고
테이핑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해서
테이핑 없이 진행을 하였습니다.
혹시 이렇게 제거 후 연결이 안되는 분이 있으시다면
하드와 본체를 연결하는 단자에 핀의 세번째를 테이핑 하면
작동한다고 하니까 다른 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저는 테이핑을 안하고 연결 해 봤는데 이렇게
연결이 되었습니다.
연결 했을때 Elements 하드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기본 용량은 9.09TB로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크리스탈 인포
(https://crystalmark.info/en/software/crystaldiskinfo/)
를 이용하여 확인을 해봤습니다.
이걸 이용해 오류나 문제가 있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PM은 5400
전송속도는 220 정도입니다.
사실 wd101emaz 하드의 속도가 빠른건 아닌듯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대용량 제품을 저렴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건
큰 장점이라 생각됩니다.
긴 글을 끝까지 봐주신 분들에게 다시한번 감사 말씀을 드리며
WD Elements 10TB 외장하드 적출 후 사용기를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