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량 포터블 스피커 비교
JBL GO 2 vs SONY SRS-XB12
일상의 답답함을 벗어나고 싶을 때 떠나는 여행은 코로나 사태의 심각성으로 인해서 나중을 기약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니...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하며 나 자신과 상대방의 안위를 위해서 스스로가 노력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그리고, 이럴 때일수록 마음을 위로하고 치유받을 수 있는 음악이 우리에게 많은 힘이 되어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음악을 통해 힐링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다 보면 부담 없는 가격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또는 노트북 등의 사운드를 보다 풍성하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포터블 스피커로 눈을 돌려볼 수도 있습니다.
포터블 스피커도 정말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이 존재합니다만... 오늘 이 글은 그중에서도 경량형 제품에 속하는 가성비를 따져도 만족할 수 있는 저렴한 가격대에 방수 기능까지 제공하는 JBL GO 2와 SONY SRS-XB12에 대한 비교 리뷰를 준비했습니다.
비교 2종 제품
이번 비교 리뷰에 사용된 경량 포터블 스피커는 아래의 2종 제품입니다.
Specification
ㅣJBL GO 2
JBL GO 2는 2018년 9월에 출시된 지향성 포터블 스피커로 블루투스 4.1을 지원합니다. 스피커의 최대 출력은 3W며 최대 재생 시간은 약 5시간입니다. 제품의 크기는 86 x 71.2 x 31.6 mm, 무게는 약 184g입니다. 배터리 용량은 730mAh, 충전 포트는 micro 5Pin USB 포트를 사용하며 방전 후 완충까지 약 2시간 30분 소요됩니다. JBL GO 2의 특징으로는 손바닥 사이즈의 크기와 IPX7 방수 기능, 핸즈프리, AUX 단자 지원을 꼽을 수 있습니다. 2018년 reddot 수상작이라는 점과 하만오디오 전문 서비스센터에서 AS를 받을 수 있으며 삼성전자서비스를 통해서 AS 접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재 다나와(2020년 12월 23일 기준) 최저가 31,900원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ㅣSONY SRS-XB12
SONY SRS-XB12는 2019년 4월에 출시된 무지향성 포터블 스피커며 블루투스 4.2를 지원합니다. 스피커의 최대 출력은 10W, 최대 재생 시간은 약 16시간입니다. 제품의 크기는 74 x 74 x 92 mm, 무게는 약 243g입니다. 배터리 용량은 1400mAh, 충전 포트는 micro 5Pin USB 포트를 사용하며 방전 후 완충까지 약 4시간 30분 소요됩니다. SONY SRS-XB12의 특징은 한 손으로 그립 가능한 크기와 IP67 방진방수, 멀티페어링, TWS 기능을 꼽을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핸즈프리와 AUX 단자를 지원하고 바이크 크래들에 장착이 가능하며, 탈부착이 가능한 스트랩이 기본 적용되어 있습니다. 현재 다나와(2020년 12월 23일 기준) 최저가 57,150원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Unboxing
l 제품 포장
ㅣJBL GO 2
JBL GO 2의 제품 포장은 얇은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포장되어 있어서 내부에 제품의 색상과 외형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만오디오 전문 서비스 센터를 통한 AS와 삼성전자서비스를 이용한 AS 접수에 대한 안내 및 정품 스티커가 제품 박스 후면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워낙에 인기 제품이기에 가품이 많다고 하니 구입하실 때 정품을 구매에 대한 내용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2018년 reddot 어워드 수상에 대한 안내도 제품 박스 측면에 표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ㅣSONY SRS-XB12
SONY SRS-XB12는 두께감이 있는 빳빳한 종이 박스 안에 제품이 포장되어 있습니다.
개봉 과정 자체는 JBL GO 2보다 더 쉽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제품 박스의 후면에는 스크랩을 활용한 모습과 SONY SRS-XB12의 기능과 특징에 대해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소개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l 제품 구성
ㅣJBL GO 2
JBL GO 2의 제품 구성은 포터블 스피커 본체, micro 5Pin USB 케이블, 퀵 스타트 가이드, 주요 안내사항, 제품 보증서를 제공합니다. 작은 제품 박스 안에 안내서들을 돌돌 말아 담아 넣었기 때문에 제품을 개봉해서 보면 위의 사진처럼 설명서들이 돌돌 말려 있는 상태라서 보기가 불편합니다. 그리고, 사용 설명서에는 한글로 된 안내는 전혀 없고 제품 규격에 대한 안내가 담긴 부분만 한글 번역이 들어가 있습니다. 한마디로 국내 소비자들에게는 상당히 불친절한 설명서를 제공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원에서 지원 프로필에 대한 내용은 제공하지만 지원 코덱에 대한 부분은 누락되어 있습니다.
ㅣSONY SRS-XB12
SONY SRS-XB12는 포터블 스피커 본체, micro 5Pin USB 케이블, 정품 보증서, 그림 안내서, 참고 설명서가 제공됩니다. 소니의 경우 제품 사용에 대한 부분을 그림 안내서에서 그림만으로 친절하고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어서 이해에 어려움이 없습니다. 그리고, 정품 보증서와 제품 규격에 주의 사항 및 사용 중 참고해야 할 내용들을 담은 참고 설명서까지 모두 한글을 지원합니다. 다만, 여기서도 제품 규격에 대한 내용들을 몇 가지 찾아보면 안내가 생략된 경우가 몇 가지 보입니다. 예를 들어 스피커의 최대 출력과 배터리 용량 등에 대한 내용이 빠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esign
l 외형
ㅣJBL GO 2
JBL GO 2는 직사각형의 외형에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처리되어 있으며 바닥에는 앙증맞은 크기의 돌기가 4군데 배치되어 본체 하단이 바닥에 쓸리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전면의 그릴은 메탈이며 그릴의 중앙에는 JBL 로고가 인쇄되어 있고, 로고 위에는 LED 표시등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전면 그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실리콘 재질로 코팅되어 있으며 만지는 질감이 물이 묻지 않은 포장된 미용 비누를 막 개봉했을 때 만져지는 부드러움과 손에 밀착되는 그립감을 동시에 제공해 줍니다. 후면에는 JBL 로고가 음각 형태로 각인되어 있으며 위의 사진처럼 제품을 손에 쥐고 있는 모습 자체도 비누를 손에 쥐고 있는 듯한 모습이 연상됩니다.
ㅣSONY SRS-XB12
SONY SRS-XB12는 동그랗지만 조금은 짤막한 원통 형태로 포터블 스피커에서 흔히들 마주하게 되는 모습에서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상단에 46m의 풀 레인지 스피커가 탑재되어 있고 그 위에 메탈 재질의 그릴이 보호하고 있는 형태이며 하단에는 4개의 큰 구멍이 존재하고 그 안에는 패시브 라디에이터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탈부착 가능한 기본 스트랩은 포터블 스피커에 체결된 상태로 제공됩니다. SONY SRS-XB12 역시 상단의 그릴은 메탈 재질이며 원통의 경우 실리콘으로 마감되어 있어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바닥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패드가 중앙에 원형으로 둘러져 있습니다. 실내에서 사용할 때는 볼륨을 높여서 듣더라도 자기 출력에 스피커가 이동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아서 좋은 구조지만, 야외에서 사용한다면 해당 부분에 먼지가 쉽게 묻을 수 있습니다.
ㅣ 두 제품의 코팅에 대한 질감 차이는?
JBL GO 2 제품의 코팅이 조금 더 단단한 느낌을 제공하며 SONY SRS-XB12 제품의 코팅은 조금 더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합니다.
l Size
ㅣJBL GO 2
JBL GO 2의 제품 크기는 86 x 71.2 x 31.6 mm로 손바닥 정도의 크기로 설계된 제품이기에
직사각형이지만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되어 그립감이 양호한 편입니다.
ㅣSONY SRS-XB12
SONY SRS-XB12는 74 x 74 x 92 mm 크기의 제품으로 포터블 스피커 전체를 한 손으로 감쌀 수는 없지만 한 손으로 무난하게 그립 할 수 있는 사이즈입니다.
l 무게
ㅣJBL GO 2
JBL GO 2의 본체 무게는 약 186g.
전용 micro 5Pin USB 케이블의 무게는 약 10g.
두 개를 모두 합한 무게는 약 195g.
(저울의 측정 단위가 1g 단위라서 약간의 오차는 존재합니다.)
ㅣSONY SRS-XB12
SONY SRS-XB12는 기본 스트랩 착용 무게가 약 247g.
전용 micro 5Pin USB 케이블의 무게는 약 21g.
두 개를 모두 합한 무게는 약 268g.
ㅣ 두 제품의 전용 micro 5Pin USB 케이블은?
JBL GO 2의 전용 micro 5Pin USB 케이블의 색상은 스피커와 동일한 오렌지색이며 얇은 사이즈의 플랫 케이블이며 길이는 약 320mm입니다.
SONY SRS-XB12의 전용 micro 5Pin USB 케이블은 AWM 방식의 케이블로 두께감이 있으며 길이는 약 520mm입니다.
l 버튼
ㅣJBL GO 2
JBL GO 2는 스피커 상단에 컨트롤 버튼들이 음각과 양각된 2 종류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제공되는 버튼은 [전원 버튼 - 페어링 버튼 - 볼륨 감소 - 볼륨 증가 - 재생/정지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볼륨 감소/증가 버튼은 양각된 형태이기 때문에 음각 처리된 나머지 버튼들에 비해서 누르기가 쉬운 편이지만 JBL GO 2의 버튼들은 조금은 뻣뻣하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ㅣSONY SRS-XB12
SONY SRS-XB12의 컨트롤 버튼은 측면 하단부 쪽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제공되는 버튼은 [전원/페어링 - 볼륨 감소 - 볼륨 증가 - 재생/정지 - ADD ]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ADD 버튼 아래에는 SONY SRS-XB12 포터블 스피커를 TWS 형태로 사용할 때 L or R 중 어느 것으로 구성되는지 LED 표시등을 통해서 좌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ADD 버튼의 우측에는 충전 표시등과 내장 마이크가 배치되어 있는데, 해당 부분이 가끔 스트랩에 가려져서 시야에서 차단되는 경우가 가끔 있어서 이 부분이 조금 불편했습니다. 제공되는 버튼들이 모두 양각 처리되어 있고 실리콘 코팅이 조금 부드러운 편이기 때문에 버튼의 클릭감이 좋습니다.
다만, 스크랩을 손에 끼우고 SONY SRS-XB12 포터블을 손에 그립 할 때 간혹 전원/페어링 버튼을 실수로 누르는 경우가 가끔 생기는 것을 보면 클릭 감도가 너무 좋아도 마냥 편한 것은 아닌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l CAP
ㅣJBL GO 2
JBL GO 2는 IPX7 방수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각종 포트들을 물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지요. 그래서, JBL GO 2에는 이중캡 방식으로 단단하게 체결되는 보호캡을 마련했습니다.
캡 자체가 두께감이 있고 단단하기 때문에 오픈하는 과정 자체 조금 힘을 주고 오픈해야 하는 만큼 방수 기능이 필요 없는 분들에게는 불호의 대상이 되겠지만, 방수 기능이 필요하신 분들에게는 안전한 체결 방식에 호가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보호캡을 오픈하면 내부에는 micro 5Pin USB 포트와 AUX 단자를 지원하며 보호캡을 오픈하기 위한 틈새에 내장 마이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ㅣSONY SRS-XB12
SONY SRS-XB12는 방진방수 IP67 등급을 지원하는 제품입니다. 그러니 물기로부터 포트를 보호하기 위해서 보호캡이 제공됩니다. 해당 보호캡도 이중으로 내부 포트를 보호하는 형태로 제공되지만 보호캡이 부드러워 분리가 손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보호캡 내부에는 micro 5Pin USB 포트와 AUX 단자 및 RESET 홀이 제공됩니다. 블루투스 제품이기 때문에 사용 중에 가끔 먹통이 되거나 정상 작동이 안 된다면 해당 RESET 홀에 이쑤시개 같은 얇은 도구로 눌러주면 기기가 초기화됩니다.
l 탈부착 스트랩
SONY SRS-XB12는 기본 구성으로 장착되어 있는 스트랩의 경우 어렵지 않게 본체와 분리해서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스트랩의 사이즈가 조금은 애매합니다. 손목에 스트랩을 착용하려고 해도 스트랩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폭이 좁아 손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이지요. 그렇다고, 귀찮게 스트랩을 풀었다 잠갔다 하는 불편함을 감수할만한 정도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아마도, 이 스트랩은 야외 레저 활동 중에 가방이나 다른 캠핑 장비 등, 또는 나뭇가지 등에 매달아 두고 사용할 목적이 우선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블루투스 연결
ㅣJBL GO 2
페어링 할 모바일 기기의 블루투스 검색 기능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JBL GO 2의 전원을 켜고 블루투스 버튼을 클릭하면 빠른 속도로 검색이 완료되고
검색된 JBL GO 2를 모바일 기기에 등록하면 간단하게 블루투스 페어링 작업이 완료됩니다.
ㅣSONY SRS-XB12
SONY SRS-XB12의 경우 제품 수령 후 처음 전원/블루투스 버튼을 켠다면
버튼 원클릭 만으로도 쉽게 블루투스 페어링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 다른 모바일 기기로 전환하고자 한다면 전원 버튼 클릭 후 블루투스 버튼을 3초간 눌러
다시 페어링 과정을 진행하면 됩니다.
ㅣJBL GO 2의 블루투스 연결은 ver 4.1을 사용합니다.
ㅣSONY SRS-XB12의 블루투스 연결은 ver 4.2를 사용하며 TWS와 멀티페어링을 지원합니다.
ㅣTWS란?
Truly Wireless Stereo의 약자로, 1개의 SONY SRS-XB12 외에 하나의 SONY SRS-XB12 제품을 추가해서
두 포터블 스피커끼리 묶어 스테레오 오디오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합니다.
블루투스 최대 연결 거리 TEST
- 테스트 방식 : 포터블 스피커의 연결 상태에 끊김이 심해지는 순간까지 거리 벌리기
- 사용한 곡 : Fredji - Happy Life (Vlog No Copyright Music)
산책로 부분에 놓인 의자에 블루투스와 연결된 스마트폰을 올려두고 산책로와 이어지는 아파트 안의 보도를 뒷걸음으로 이동하면서 블루투스의 끊김 상태가 심해질 때까지 거리를 이동해봤습니다. JBL GO 2와 SONY SRS-XB12, 두 제품 모두 사람들이 오가는 와중에 계속해서 거리를 늘려가도 블루투스의 수신율이 상당히 우수한 편에 속하며 14m 거리 정도는 가볍게 지나가도 직선거리에서의 수신율은 여전히 우수했습니다. 그리고, JBL GO 2보다 SONY SRS-XB12 제품의 블루투스 이동 거리가 더 좋은 모습을 보입니다. 그렇다면, 영상에서 체크한 블루투스의 최대 연결 거리는 어떻게 결과가 나왔을까요?
ㅣJBL GO 2
야외에서 직선거리 82m에서 처음 연결이 살짝 끊겼으며, 직선거리 88m에서는 끊어짐이 심해집니다.
ㅣSONY SRS-XB12
야외에서 직선거리 90m에서 처음 연결이 살짝 끊겼으며, 직선거리 100m에서는 끊어집니다.
ㅣ소감 한마디...
보통 블루투스의 연결 거리를 10m에서 14m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두 제품 모두 야외에서 직선거리 80m를 넘어가는 모습에 테스트 당시와 이후 거리 체크하는 과정에서 야외의 직선거리에서 체크했다고는 하지만 성능이 너무 좋아서 조금 당황스럽더군요. 하지만, 실내에서 사용하게 된다면 다양한 전자기기들의 간섭과 벽 등으로 인해서 야외에서만큼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할 것 같습니다만... 가격 부담도 좋은 경량 포터블 스피커의 수신 성능으로는 더할 나위 없는 것 같습니다.
최소/최대 볼륨 TEST
- 사용한 곡 : Fredji - Happy Life (Vlog No Copyright Music)
- 체크 사항 : 사용 전 주변 환경 소음과 최소 볼륨 및 최대 볼륨의 소리와 데시벨을 측정했습니다.
- 소음 측정 : 소음측정기는 포터블 스피커의 50cm 앞에 배치해둔 상태로 측정했습니다.
- 소리 측정 : 포터블 스피커로부터 1m 떨어진 거리에 마이크를 세팅하고 녹화했습니다.
ㅣJBL GO 2 (1/15 볼륨)
- 최대 볼륨 : 15/15,
- 최소 볼륨 : 1/15
- 주변 소음 : Max 43.7 dBA
- 최소 볼륨 : Max 44.3 dBA
SONY SRS-XB12와는 다르게 1/15 단계의 최소 볼륨도 작지만 소리를 인지할 수 있습니다.
화이트 노이즈가 캐치가 되긴 하지만 역시나 SONY SRS-XB12보다는 나은 모습을 보입니다.
- 최대 볼륨 : Max 86.9 dBA
스피커의 출력은 3W로 낮은 편이지만 최대 볼륨의 데시벨은 높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ㅣSONY SRS-XB12
- 최대 볼륨 : 100/100
- 최소 볼륨 : 6/100
- 주변 소음 : Max 43.4 dBA
- 최소 볼륨(6/100) : Max 43.7 dBA
스피커에 귀를 가져가 확인하지 않는 이상 거의 느끼지 못할 정도로 미약한 소리가 나며
오히려 화이트 노이즈가 더 크게 체감됩니다.
- 볼륨(24/100) : Max 44.1 dBA
스피커에 귀를 대지 않아도 주변 소음에서 벗어나 소리를 인지할 정도의 볼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볼륨(50/100) : Max 46.7 dBA
포터블 스피커를 사용하는 목적이 기존의 모바일 기기에서 들려주던 소리보다 업그레이드된 사운드를 원하기 때문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최소 볼륨 50/100 정도는 세팅해야 그나마 납득이 가는 정도의 출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최대 볼륨 (100/100) : Max 79.6 dBA
스피커의 출력이 높다고 소리가 크게 들리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리의 지향성에 대한 여부와 다양한 요건들을 챙겨봐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l 코덱 비교
ㅣJBL GO 2는 SBC를 지원합니다.
ㅣSONY SRS-XB12는 SBC, AAC를 지원합니다.
- SBC : Subband Codec
- AAC : Advanced Audio Coding
l 지원 프로파일 비교
ㅣJBL GO 2는 A2DP, AVRCP, HSP, HFP를 지원합니다.
ㅣSONY SRS-XB12는 A2DP, AVRCP, HSP, HFP를 지원합니다.
- A2DP (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 AVRCP (Audio Video Remote Control Profile)
- HSP (Headset Profile)
- HFP (Hands-free Profile)
음질 비교 TEST
- 소음 측정 : 소음측정기는 포터블 스피커의 50cm 앞에 배치해둔 상태로 측정했습니다.
- 소리 측정 : 포터블 스피커로부터 1m 떨어진 거리에 마이크를 세팅하고 녹화했습니다.
- 볼륨 설정 : JBL GO 2 (10/15) vs SONY SRS-XB12 : (81/100)
※ 볼륨 설정은 두 제품의 성능을 잘 이끌어 내면서도 32평 아파트 실내를 채워줄 수 있는 정도에서 선택했으며 비교 콘텐츠인 만큼 소음 측정기를 활용해서 두 제품이 조금은 비슷한 데시벨을 제공하는 볼륨으로 각각 설정했습니다.
l 힙합 비교
- 사용한 곡 : 아무 노래 - 지코
- 음악 링크 : https://youtu.be/UuV2BmJ1p_I
- 재생 타임 : 0:00~0:44
l POP 비교
- 사용한 곡 : Do What You Have to Do - Sarah McLachlan
- 음악 링크 : https://youtu.be/l-6pPCkq-ek
- 재생 타임 : 0:00~0:58
l 발라드 비교
- 사용한 곡 : 겨울 사랑 - 더 원
- 음악 링크 : https://youtu.be/bvKB2JGFSi0
- 재생 타임 : 1:10~2:05
l 클래식 비교
- 사용한 곡 : Serenade In G Major Kv 525 "Eine Kleine Nachtmusik": Allegro
- 음악 링크 : https://youtu.be/40ZbV6jmKlg
- 재생 타임 : 0:00~0:42
l 일렉트로닉 비교
- 사용한 곡 : Alone - Alan Walker
- 음악 링크 : https://youtu.be/1-xGerv5FOk
- 재생 타임 : 1:45~2:38
Charge
ㅣJBL GO 2
JBL GO 2의 배터리 용량은 730mAh며 최대 충전 시간은 약 2시간 30분 소요됩니다.
ㅣSONY SRS-XB12
SONY SRS-XB12는 배터리 용량은 1400mAh며 최대 충전 시간은 약 4시간 30분 소요됩니다.
최대 재생 시간 TEST
ㅣTEST 조건
- 완충 상태
- 볼륨 : JBL GO 2 볼륨 1/15 단계(최소) / SONY SRS-XB12 볼륨 (윈도우 10의 볼륨 기준 : 24/100)
※ 최소 볼륨의 경우, JBL은 1/15 단계에서 미약하지만 소리를 캐치가 가능하지만 SONY SRS-XB12의 경우 1/30 단계에서는 귀를 스피커에 밀착시키고 유심을 체크해야지 확인 가능한 정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재생시간 측정이라는 실측 환경에 전혀 어울리지 않는 소리 설정이며 소음 측정기를 활용해서 SONY SRS-XB12의 볼륨을 JBL GO 볼륨과 유사한 데시벨을 제공해 주는 볼륨을 찾아서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이때 사용된 볼륨인 윈도우 마스터 볼륨 기준 24/100입니다.
- 사용한 곡 : Fredji - Happy Life (Vlog No Copyright Music)
- 테스트 방식 : 완전방전까지 측정
ㅣJBL GO 2의 볼륨 1/15 단계는 완충 상태에서 방전까지 총 21시간 18분이 소요되었습니다.
ㅣSONY SRS-XB12는 윈도우 10의 볼륨 기준(24/100)으로 43시간 50분 후에 방전되었습니다.
방수 TEST
ㅣ방진/방수 등급 비교
ㅣJBL GO 2는 방수 기능을 제공하며, 등급은 IPX7입니다.
ㅣSONY SRS-XB12는 방진/방수 기능을 제공하며, 등급은 IP67입니다.
ㅣ방수 TEST
ㅣ 물세척
JBL GO 2와 SONY SRS-XB12, 두 제품 모두 방수 성능은 동일합니다. IPX7의 방수 등급은 일정 조건 하에서 물에 잠겨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벼운 물 세척 정도는 무난하게 가능합니다. 단, 두 제품 모두 보호캡을 잘 닫아두었는지 확인 후에 사용하세요.
담수, 수돗물, 수영장 물을 제외한 비눗물, 세제, 입욕제가 섞인 물, 샴푸, 해수, 뜨거운 온천수 등에서는 사용하면 안 됩니다. 또한,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지 않았으니 샤워실 등 수압이 높은 곳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오작동을 방지합니다.
ㅣ 후기
물 세척이 끝난 두 제품은 물기가 완벽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그릴 방향을 아래로 향하고 그 아래에는 물기를 흡수할 수 있는 수건을 하나 놓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난로 근처에서 말리거나 드라이어를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햇빛이 아닌 그늘에서 건조해야 하며 물기가 완벽히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고장 발생의 우려가 있으니 완전 건조 전까지는 삼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총 평
ㅣ휴대성
ㅣJBL GO 2
JBL GO 2는 너비와 높이 대비 폭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직사각 형태임에도 그립하기 편하고 작은 사이즈라는 장점이 외투의 포켓 속에 넣어두고 보관하기도 괜찮고, 실내에서 다양한 장소에 올려두고 사용하기에도 부담이 없어 휴대성이 나쁘지는 않지만 액티브한 아웃도어용은 아니고 글램핑이나 실내에서 이동하면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제품입니다.
ㅣSONY SRS-XB12
SONY SRS-XB12에 달려 있는 스트랩 하나로 액티브한 아웃도어용이라고 말하기는 애매합니다. 하지만, IP67 방진방수 등급의 제품이기 때문에 야외 활동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는 것도 사실이지요. 제품 자체가 한 손으로 그립은 가능해도 액티브한 영역에서 들고 뛰어다닐 정도는 결코 아니며 바이크에 체결한 크래들에 장착해서 사용하기에 좋고 등산용으로 등산 가방의 한편에 스트랩으로 걸어두고 활용하기 좋으며 실내에서 사용하기에도 매력 있는 디자인입니다.
ㅣ한 줄 평
자유로운 도시 영혼과 집콕족은 JBL GO2, 바이커와 등산족은 SONY SRS-XB12
ㅣ음질
ㅣJBL GO 2
JBL GO 2는 지향성 제품이고 소리에 대한 직진성이 묻어나며 조금은 단단한 느낌을 받게 됩니다.
중음에 대한 표현력은 SONY SRS-XB12 대비 나은 모습을 보이지만 고음과 저음 파트는 아쉽기도 합니다. JBL GO 2는 출력 대비 높은 데시벨을 제공하지만, 데시벨만 높다고 해서 마냥 좋은 것도 아닙니다.
적당한 선에서 제품이 받아들이고 뿜어낼 수 있는 정도로만 볼륨을 세팅하는 것이 나아 보이며 일반 모바일 기기의 사운드의 부족함을 JBL GO 2의 가격만큼 업그레이드하는 음감 환경을 제공한다 보면 되겠습니다.
ㅣSONY SRS-XB12
SONY SRS-XB12는 무지향성 제품다운 모습을 보이며 32평의 실내 공간을 적당히 채워주는 정도의 매력이 있습니다. 작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표현할 수 있는 음역이 JBL GO 2 대비 넓은 편이며 청음 환경이 조금 더 편안한 느낌을 받습니다. 그리고, 하단에 배치된 패시브 라디에이터를 통해 약간의 저음이 더해졌다는 느낌은 가질 수 있습니다. SRS-XB 시리즈 라고 해서 작은 체구에서 강화된 강력한 저음을 경험하실 수 있다고는 상상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SONY SRS-XB12의 저음은 넓게 희석된 형태의 느낌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상단의 46mm 풀 레인지 스피커가 제공하는 고음에 대한 표현력도 경량형 포터블 스피커라는 점을 고려하면 괜찮은 편입니다. 다만, 낮은 출력에서의 화이트 노이즈가 JBL GO2 대비 더 잘 관찰되는 모습을 보이며 무지향성에 체구가 작고 음역이 넓은 만큼 깊이감에 대한 부분과 해상도에 대한 한계는 명확합니다. 경량형 포터블 스피커지만 다양한 장르를 가성비 영역에서 즐기고 싶다면 고려해볼 만합니다.
ㅣ한 줄 평
JBL GO 2는 크레용, SONY SRS-XB12는 수채화...
ㅣ편의성
ㅣJBL GO 2
JBL GO 2에 핸즈프리 기능이 제공되긴 하지만, 크게 사용할 정도로 대단한 기능은 아니고...
그 외에 따로 편의성이랄 것이 떠오르지는 않습니다.
ㅣSONY SRS-XB12
SONY SRS-XB12는 바이크 크래들에 장착 가능하다는 점과 스트랩이 기본 구성으로 제공된다는 점 정도일까요? 하지만, 실사용에 폭이 좁은 스트랩이 딱히 편하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습니다.
ㅣ한 줄 평
JBL GO 2는 딱히 편의성이랄 게... SONY SRS-XB12은 스트랩? 글쎄?
ㅣ내구성
ㅣJBL GO 2
JBL GO 2는 2018년 reddot 어워드 제품다운 훌륭한 마감 상태를 제공하기 때문에 일주일 사용해보고 내구성을 이야기할 정도는 아니지만 뛰어난 마감 상태가 내구성으로 연결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 정도는 해보게 됩니다. 다만, 조금은 뻣뻣한 버튼 클릭과 단단한 보호캡이 충전마다 개방할 때 너무 불편해서 나중에도 여전히 잘 보존될까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방수 등급 IPX7을 제공하는 만큼 물기에 대한 불안감은 해소가 되기 때문에 좋아 보입니다.
ㅣSONY SRS-XB12
SONY SRS-XB12는 방진방수 등급 IP67을 제공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물과 먼지로부터 더 안전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연히 내구성도 더 잘 보존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다만, 스트랩은 나중에 어떻게 될까?라는 생각과 바닥면이 4개 방향에서 크게 뚫려 있는 디자인이기에 사용에 주의는 필요할 것 같고, 보호캡을 빼는 과정에서 본체와 보호캡을 연결하는 부위가 오래도록 유지될까에 대한 고민도 해보게 되는군요.
ㅣ한 줄 평
일주일 사용하고 내구성을 확인할 수 있을까? 그래도 둘 다 마감이 좋아서...
ㅣ가격 대비 만족도
ㅣJBL GO 2
2018년 reddot 어워드 제품다운 만족스러운 디자인과 색감. 그리고, 특유의 물기 없는 새 비누를 만지는 듯한 코팅 재질의 마감이 사용자를 즐겁게 해주며 실내에서 사용하기에도 좋고 화장실에서 샤워하며 한편에 놓아두고 사용하기에도 나쁘지 않을 것 같은 IPX7 등급에 대한 부분이 매력 있습니다. 다만, JBL GO 2의 바디 무게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의 높은 볼륨 세팅은 제자리에 있지 못하고 마구 돌아다니는 JBL GO 2를 경험하게 됩니다.
ㅣSONY SRS-XB12
SONY SRS-XB12는 다양하게 선택 가능한 색상을 판매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취향을 저격합니다. 스트랩 하나로 등산객들도 관심을 가지게 되고, 바이크 크래들에 장착 가능하다는 부분도 특정 소비자를 끌어모을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IP67 방진방수 등급이 제공하는 물기와 먼지로부터 보호된다는 점도 만족도는 높습니다. 그리고, 작은 체구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활용도와 조금은 희석되었지만 넓은 음역과 맑은 베이스 조합이 제공하는 소리는 경량형 포터블 스피커라는 점에서는 분명 매력 있습니다.
ㅣ한줄평
JBL GO 2, 깜찍하고 이쁜 거 좋아하면 만족! 방수 등급도 만족!
SONY SRS-XB12, 모바일 기기의 사운드 업그레이드를 원한다면 만족! 방진방수 대만족!
ㅣ이 글을 마치며
지금까지, 경량형 포터블 스피커 2종 비교로 JBL GO 2와 SONY SRS-XB12에 대한 내용을 살펴봤습니다.
항상 리뷰를 작성할 때는 신중해지는 편인데, 블루투스 연결거리 측정과 최대 재생 시간 테스트는 도출된 결과를 보면서 더 신중해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보통 블루투스 연결 제품들의 가동 범위가 10m~14m 안팎으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야외 직선거리에서 80m가량 떨어져도 작동이 되는 부분에서는 제가 잘못 테스트했나 싶어 다음날 다시 재측정까지 했을 정도였습니다.
그리고, 최대 재생 시간의 경우 테스트를 JBL GO 2의 최소 볼륨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측정하다 보니
상품 소개에 안내되어 있는 최대 연속 재생시간이 JBL GO 2가 5시간, SONY SRS-XB12가 16시간으로 소개되어 있음에도 테스트된 볼륨 설정의 차이 때문에 JBL GO 2가 최소 볼륨에서 21시간 18분이 소요되었고, SONY SRS-XB12는 윈도우 10의 볼륨 기준(24/100)으로 43시간 50분 후에 방전되는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었습니다.
문제는 제시된 제품의 성능 안내보다 더 성능이 좋게 나오는 부분이 리뷰하는 입장에서는 세팅이나 환경 변수에 문제가 있어서 재작업을 하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하다 보니 피곤할 수밖에 없는 부담감이기도 합니다만... 어쨌든 결과적으로 두 제품은 성능에 있어서는 좋은 모습들을 보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소리에 대한 만족도는 두 제품이 서로 다른 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지만 이를 떠나서
가성비보다는 가격만큼의 소리를 들려준다고 생각하면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모바일 기기들의 귀를 피곤하게 만드는 소리보다는 확실히 좋은 소리들을 제공해 주고 있으니...
작고 깜찍하고 이쁘면서 방수 기능이 있는 제품을 찾으신다면 JBL GO 2를... 작지만 소리에 대한 일정 수준의 만족도와 방진방수 기능이 있는 제품을 찾으신다면 SONY SRS-XB12를... 선택하시는 것이 좋은 선택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