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할 일이 많기 때문에 차로 이동하는 운전자들은 스마트폰 충전과 동시에 운전대를 잡는 일이 흔합니다.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방식은 케이블을 찾아 직접 연결해야 하고, 거치할 곳이 마땅치 않아서 상당히 번거롭습니다.
하지만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차량용 무선충전거치대를 사용하면 이런 번거로움이 사라지면서 운전중에도 충전이 가능하고, 사용도 가능해서 여러모로 편리한 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스마트폰 배터리 잔량을 항상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죠.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차량용 무선충전거치대는 스마트한 기능과 높은 충전효율, 안전 보호 장치, 고속 충전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짧은 시간에도 빠르게 충전할 수 있어 효율적인 제품들이 많습니다. 오늘 소개할 제품들도 차량용 무선충전거치대로 4만원대의 고급형 무선충전기 주파집 CWC01과 2만원 중반대의 뛰어난 가성비의 감성공장 HD-HG-A02입니다.
1. 스펙
차량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선충전거치대 2종은 최대출력이 15W로 고속 충전을 지원하여 보다 빠르게 충전할 수 있습니다. Qi 인증을 받은 모든 스마트폰이 사용 대상이 되며, USB 타입 C 포트를 통해 충전이 진행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편의 기능으로는 FOD 디지털 인식 기능으로 휴대폰 만을 인식하여 인식 오류없이 정확하게 작동하며 예비전력을 위한 리튬이온 배터리를 탑재하여 시동이 꺼져도 일정 시간 동안 작동합니다. 또한 저소음 모터를 사용하여 정숙하며, 안전호보회로 탑재로 운전중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선충전기들입니다.
다나와 최저가 기준으로 두 제품은 차이가 있는데, 주파집 CWC01 무선충전기보다 저렴한 감성공장 HD-HG-A02는 가성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충전 패드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라 6인치 이하의 스마트폰 충전에 적합해 보입니다.
2.패키지, 구성품
주파집 CWC01, 감성공장 HD-HG-A02의 패키지는 깔끔하며 콤팩트하게 포장되어 있습니다. 4만 원, 2만 원대의 제품들 답지 않게 포장 박스는 무난하며 전반적으로 가벼운 특징을 가지고 있네요.
그럼 먼저 두 기종의 언박싱을 시작으로 구성품, 디자인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단독기술특허의 자동가로 모드를 지원하는 주파집 CWC01 무선충전기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어 내부 패키징이나 구성품에 상당히 신경을 쓴 모습입니다. 구성품으로 차량용 무선충전거치대
본체, 스윙암, 송풍구 거치대, 고속충전을 위한 C 타입 케이블, 사용설명서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담한 크기의 감성공장 HD-HG-A02의 구성품은 주파집 CWC01 제품과 동일합니다. 차량용 무선충전거치대 본체, 스윙암, 송풍구 거치대, 고속충전을 위한 C 타입 케이블, 사용 설명서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진에서 사용설명서가 누락되어 있지만 기본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으니 걱정하지 마세요~
3. 디자인 비교
두 무선충전기의 컬러의 블랙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색상입니다. 크기를 보면 주파집 CWC01이 크고 충전 패드가 넓게 자리하고 있어 대화면 스마트폰도 안정적으로 거치, 충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감성공장 HD-HG-A02는 상대적으로 작은 편으로 스마트폰에 범퍼 케이스를 씌운다면 부피와 크기가 커져서 안정감은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게 차이점입니다.
디자인을 조금 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주파집 CWC01의 크기는 65(W )x 113(H) x 35~48(D)mm로 좌우 및 하단 길이 조절부는 뺀 사이즈이니 참고하세요. 길이 조절부 안쪽에는 스마트폰에 흠집이 생기지 않게 완충 역할을 하는 고무패드가 부착되어 있어 안심하고 거치할 수 있습니다.
좌우, 상하 길이 조절 최대치를 알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기종을 알 수 있습니다. 좌우로는 100mm까지 늘어나며 상하로는 10mm 길이를 확장할 수 있는데, 하단부 길이 조절은 수동으로 그러니까 손으로 늘리고 줄어야 합니다.
좌우 길이 조절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기준으로 사용 가능한 스마트폰 기종을 보면 삼성 갤럭시 노트10, 갤럭시 노트20 울트라, 애플 아이폰 12 전기종을 모두 지원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특별한 기능으로 특허 반동 자동 가로 모드 기능을 지원하여 뒷면 상단에 위치하여 가로 / 세로
버튼을 누르면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활성화시켜 놓으면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것과 동시에 자동으로 작동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가로 모드는 내비게이션이나 동영상, 유튜브와 같은 영상을 시청할때 유용하죠.
좌측면에는 LED 표시등과 분리 개폐버튼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개페버튼은 좌우에 위치하여 동시에 누르면 좌우 길이를 조절하는 오토 슬라이더를 손쉽게 열고 닫을 수 있습니다. USB Type C 케이블을 연결하는 단자부는 자동 가로 모드 구현을 위하여 360도 회전하기 때문에 거치시 단자 위치가 바뀔 수 있어요.
감성공장 HD-HG-A02의 크기는 58(W) x 95(H) x 35~45(D)mm로 주파집 CWC01 무선충전기보다 확실히 작습니다. 길이 조절부 안쪽에서 스마트폰에 흠집이 생기지 않게 완충 역할을 하는 고무패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좌우 자동 슬라이더를 끝까지 벌리면 85mm를 늘릴 수 있으며 상하 길이는 15mm까지 확장이 가능합니다. 15mm를 더하면 상하 전체 길이는 110mm가 되어 대부분의 스마트폰을 장착할 수 있습니다.
좌우, 상하 길이 조절부는 모두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스마트폰을 장착할때는 최대 길이로 조절된 상태에서 거치할 수 있게 됩니다.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대부부의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는데요. 아이폰 12 전기종, 삼성 갤럭시 S20 / 노트20, LG V50 시리즈 등 최신 기능의 스마트폰은 모두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넓은 공간을 제공합니다.
감성공장 HD-HG-A02 무선충전기의 LED 표시등은 뒷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USB Type C 충전 단자는 뒷면 하단에 고정되어 있습니다. 슬라이더를 개폐하는 방법은 주파집 CWC01처럼 버튼을 눌러 하는 것이 아니라 뒷면 상단의 터치센서를 가볍게 터치하는 것으로 작동시킵니다.
5. 장착 방법 비교
두 제품 모두 설치하는 곳은 바람이 나오는 송풍구입니다. 기본 구성으로는 송풍구에 그립형태로 설치만 가능하기 때문에 먼저 무선충전기에 스윙암, 송풍구 거치대를 조립해 주워야 합니다.
송풍구의 날개처럼 생긴 부분에 결합하는 갈고리 모양은 형태는 같지만 길이가 다릅니다. 주파집 CWC01 무선충전기 쪽이 짧으며, 감성공장 HD-HG-A02 무선충전기 길고 이중락킹 방식으로 설계되어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요.
주파집 CWC01 무선충전기의 송풍구 거치대는 손으로 잡고 있는 부분을 돌리면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처음 길이를 늘릴수도, 짧게도 할 수 있도 있답니다.
송풍구에 설치하는 방식은 그립형으로 집게 방식이 아닙니다. 이중락킹 형태로 스윙암 유무에 따라 짧게 혹은 길게 송풍구에 설치할 수 있으며 조금 더 자유롭게 움직이려면 스윙암을 중간에 장착하여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스윙암 없이 사진처럼 짧게 해서 설치하셔도 무방하지만 이번 리뷰에서는 모든 구성품을 활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6. Qi 3.0 시거잭
15W 고속 충전을 위해서는 Qi 3.0이나 PPS 기능을 지원하는 포트의 시거잭이 필요합니다. 이번 테스트 사용된 시거잭은 주파집 CWC01 무선 충전기에서 세트로 제공하는 퀵차지 3.0 PD 듀얼 포트의 고속충전 시거잭입니다.
7. 설치 및 구동
스윙암 포함하여 완성한 무선 충전기를 송풍구에 안전하게 설치한 모습입니다. 고속충전을 지원하는 듀얼포트 시거잭은 A 타입과 C 타입 각각 한 개씩을 지원하며 USB 포트 타입에 따라 유무선 충전 방식이 결정됩니다.
차량 내부의 USB 포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센서 오작동 및 충전 끊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9V 이상의 고속충전 시거잭과 고속충전 케이블을 사용해야 하며, USB to C 타입의 케이블은 충전 효율에 있어서 무선 충전에 적합하며, USB 타입 C to C 케이블은 빠른 충전을 위한 유선 충전에 적합합니다.
8.스마트폰 결합 테스트
스마트폰을 거치대에 결합하는 방법은 하단의 충전 패드에 닿을 수 있도록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밀어 넣는 것입니다. 그러면 슬라이더들이 자동으로 작동하면서 스마트폰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충전을 시작합니다.
테스트에서 사용된 스마트폰 기종은 삼성 갤럭시 노트 20 울트라로 내부 배터리 용량이 4500mAh입니다.
9.안정감 테스트
갤럭시노트 20 울트라의 무게는 208g으로 케이스 무게까지 더하면 220g이 넘습니다. 동영상을
보시면 알겠지만 안정적인 거치는 두 제품 모두 가능하지만 주파집 CWC01은 거의 흔들림이 없는 반면에 감성공장 HD-HG-A02는 흔들림이 보이는 것이 조금 불안정해 보입니다.
충전 본체가 작다보니 어쩔 수 없는 부분 같아요.
9.충전 속도 테스트
USB 테스터기를 통해 전압과 출력을 살펴보면 두 기종의 충전 속도를 알 수 있습니다. 가장 대중적인 무선 규격인 Qi를 기준으로 일반 무선 충전(5V/5W), 고속 무선 충전(9V/10W~15W, 아이폰 7.5W)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주파집 CWC01 무선충전기의 경우에는 9V, 10W로 출력되어 고속 무선 충전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전압과 출력이 높으면 높을수록 충전 속도가 빨라지지만 무선 충전기 기종에 따라서 받아들일 수 있는 속도가 다르며 주파집 CWC01의 능력치는 9V / 10W입니다.
감성공장 HD-HG-A02 무선 충전기의 충전 속도는 9V / 10W로 주파집 CWC01과 동일하지만 출력은 10W에서 12W까지 유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고정된 값이 아닙니다. 하지만 최대치가 12W이므로 9V / 12W를 가장 높은 출력이라고 봐야합니다.
고속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의 경우 15W 출력까지 지원하지만 두 제품은 12W가 한계치라 온전한 충전 속도를 끌어낼 수 없다는게 아쉬운 부분입니다. 이론상으로는 15W를 지원해야 하지만 어떤 이유에서인지 최대 출력이 12W밖에 나오지 않았습니다.
갤럭시노트 20 울트라를 기준으로 두 기종에서 동일하게 보이는 현상입니다.
10.온도 테스트
날씨가 풀려 외부 기온은 영상 5도를 기록, 차 내부는 에어콘이나 히터를 가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파집 CWC01은 25.2도, 감성공장 HD-HG-A02는 24.2도로 측정되었습니다. 겨울임에도 날씨가 비교적 따뜻하고 햇빛이 강하게 내리 쬐는 날에 테스트해서 그런지 온도가 높은 편입니다.
히터를 가동한 상태에서 충전과 주행을 30분 동안 했을때 스마트폰 온도의 변화입니다. 히터 온도는 27도에 맞췄으며 풍량은 최대가 10칸이라면 7칸에 맞춰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간단하게 말해서 고온에서 히터를 빵빵하게 틀어놓은 상태라는 것입니다. 두 무선충전기의 유선 고속충전 출력은 최소 10W에서 최대 12W에서 유동적으로 변화하며 최대 출력은 12W 초반대에서 움직입니다.
그리고 히터를 위와 같은 조건으로 가동하고, 30분 주행 후에 스마트폰 온도를 측정해 보면 기본적으로 35도가 넘게 나옵니다. 겨울철임에도 불구하고 날씨가 풀려서 따뜻했고, 히터 목표 온도와 세기를 높여서 그런지 스마트폰 온도가 대체적으로 높게 측정되었습니다.
11.실제 충전 테스트
이번에는 충전 속도 테스트를 조금 더 디테일하게 해봤습니다.
갤럭시노트 20 울트라의 배터리 10% 미만, USB 테스터기를 이용한 현재 출력, 남은 충전시간, 히터를 틀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폰 온도를 측정하여 표로 정리하였습니다.
충전 속도는 이론상 출력인 15W가 나오지 않았지만 10W 아래로도 떨어지지 않은 무난한 수준입니다. 10W에서 12W 사이를 유동적으로 왔다갔다하며 걱정했던 10W 아래로의 성능 저하 현상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10W에서 고속 무선 충전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남은 충전 시간을 비교적 빠르게 단축시키고 있으며 주파집 CWC01에서 충전중인 스마트폰 온도는 충전 시간에 비례하여 23.4도를 시작으로 30분 시점에서는 27.4도까지 올라가 4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감성공장 HD-HG-A02 무선충전기는 최대 출력이 12W로 30분 동안 꾸준하게 유지되며, 충전 시간은 30분 동안 33분을 단축시켰습니다. 온도는 24.1도에서 27.3도까지 올라가 3.2도가 높아졌습니다.
12.번외 1 : 케이스 두께에 따른 충전여부 비교
무선 충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 있다면 스마트폰 케이스를 어떤 것을 사용했느냐 일 것입니다. 특히 케이스 두께나 재질이 큰 영향을 주죠.
저같은 경우에는 무선충전, 배터리 공유라 가능한 슈피겐 러기드아머를 갤럭시노트20 울트라에
착용한 상태에서 모든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두 무선충전기 모두 모든 상황에서 완벽하게 충전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주파집 CWC01에서 충전도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바로 충전이 되었으며, 감성공장 HD-HG-A02 무선 충전기에서도 딜레이 없이 바로바로 반응하면서 충전 상태로 들어가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케이스 종류에 따라서 충전이 잘 되지 않고 중간에 끊김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케이스 선택에 있어서 더욱더 주의가 필요합니다.
13.번외 2 : FOD 인식 테스트
두 제품에서 볼 수 있는 하나의 공통점은 FOD 센서를 탑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FOD 센서를 탑재함으로써 기존 적외선 센서의 동작 감지 방식이 아닌 스마트폰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오류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손을 움직여도 인식하지 않았지만 스마트폰을 충전패드 가까이 가면 스마트폰만을 선택적으로 정확하게 인식하여 작동합니다. FOD 센서의 인식 정확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14.번외 3 : 예비전력, 시동 꺼짐 후 몇회 열리고 닫힐까?
시동이 꺼진 후에도 무선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거치대 후면에 예비전력이라고 (감성공장 HD-HG-A02의 경우) 45mAh 용량의 작은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배터리는 충전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 충전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완충시 주파집 CWC01은 약 30회, 감성공장 HD-HG-A02은 약 40회 정도를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이 숫자의 의미는 열리고, 닫히는 일련의 과정을 1회로 세지 않고 열리면 1회, 닫히면 1회 하는 식으로 제가 직접 세면서 확인한 것입니다. 예비전력에 의한 사용 횟수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서 줄수도 늘수도 있습니다.
14.결론
가격적으로 보면 고급형이라고 할 수 있는 주파집 CWC01 차량용 무선충전거치대, 가성비 좋은 감성공장 HD-HG-A02 무선충전거치대는 가격만큼 확실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외형, 기본 구성으로 설치하는 방법은 유사한 면이 있지만 충전효율, 거치할 수 있는 공간 크기, 스마트폰을 장착하고 고정하는 방식, 예비전력 사용시간 등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충전효율을 보면 주파집 충전기가 85% 이상으로 70% 이상인 감성공장 충전기보다 15% 이상 높습니다. 그리고 주파집 충전기는 무겁고 큰 스마트폰을 더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며 단독특허로 등록한 자동가로모드라는 특별한 기능 지원으로 내비게이션, 동영상 감상에 유리한 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두 기종의 공통적인 장점중 하나가 스윙암 적용 송풍구 마운트를 사용한다는 점으로 송풍구와의 거리 조절을 통해 송풍구 냉기 및 열기를 회피하면 360도 회전하는 암을 통해 원하는 위치, 방향, 지점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송풍구 마운트만 사용하면 스윙 암을 분리하여 송풍구에 직접 거치할 수 있어 운전자가 취향에 따라 때로는 길게, 때로는 짧게 설치할 수 있는 유연함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고속무선충전 출력은 이론상 12V / 15W입니다. 하지만 어떤 이유인지 모르겠지만 9V / 12W로 제한되어 최대 출력을 낼 수 없다는 것은 두 무선충전기의 아쉬운 점이라고 하겠습니다.
스마트폰 거치 공간, 설치방법, 작동방법, 충전효율 등을 기준으로 평가한다면 6.7인치 액정, 208g 무게, 4500mAh의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한 갤럭시노트 20 울트라 기종을 잘 어울리는 무선충전기는 주파집 CWC01 제품입니다.
충전효율, 거치시 안정감, 자동가로모드까지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인 기능이 잘 갖춰져 있으며 무엇보다 크고 무거운 스마트폰을 감성공장 HD-HG-A02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결정적으로 스마트폰에서 내비게이션 기능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가로 보기 모드를 지원하는 주파집 거치대가 저에게는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감성공장 HD-HG-A02 무선충전거치대는 스마트폰이 작고, 배터리 용량이 4000mAh 이하의 모델에 잘 어울리는 것 같은 거치대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가성비 좋은 제품이라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작고 아담해서 여성분들이 좋아할만한 타입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