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시한지 3개월가량 지난 지금에도 데스크탑용 끝판왕이 5950X의 성능을
실사용자를 위한 기준으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본 CPU를 사용하여 이미 3개월전 셋팅을하고 간단한 테스트를 하였었으나,
메인보드의 칩셋보다 CPU가 1년이나 늦게 출시한 타이밍과,
AMD의 고객편의를 위한 정책의 하나인, 구 세대기반과의 호환성의 단점인
초기 안정화의 문제로 출시직후 시스템에서는 살짝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었는데요,
그 중에 가장 큰 문제로 너무 높은 온도를 언급할 수 있겠습니다
확인결과 본 시스템뿐( 3대의 5950X 시스템)아니라
온라인상의 다수의 시스템에서 고온이 발생하였는데요,
순정(PBO모드를 순정이라 칭하겠습니다)모드에서도 100도를 넘어 120도를 넘나들며
시스템이 셧다운되는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이후 짧은 기간에 여러 업데이트를 거친 후 안정화가 이루어졌는데요,
그 결과를 미리 말씀드리자면 온도와 성능을 효율적으로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조금 더 자세히 말씀드리자면, 출시 초기 온도와 관련없이 과도하게 치솟았던 배수(성능)가
온도에 맞춰서 상당히 제어되는 모습으로, 그러나 평균 배수는 이전처럼 유지하면서
적절한 안정화를 주는 듯 하였습니다
즉, 이 말은 온도를 강제로 낮춰주면 보다 높은 배수(성능)로 유지할 수 있다는 이론이
결과로 드러난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이번 사용기는 5950X의 실사용 온도를 중점을 컨셉으로 하였고,
편집, 방송, 장시간게임등을 하시는 유저들에게 선택의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중점을 맞췄습니다
본 사용기에 사용된 라이젠9-5950X 이며 총 3개를 테스트 하였습니다
이하 시스템사양
라이젠9-5950X (동일모델 3개)
아수스 크로스헤어8 wifi / 아수스 다크히어로 (2가지 다른모델)
NZXT Z73 3열 수냉쿨러
지스킬 트라이던트 네오Z CL14 16G *2
MSI RTX3080 게이밍트리오 / 아수스 RTX3080 스트릭스 (2가지 다른모델)
삼성 970EVO PLUS NVM.e 500G / 2TB (2가지 다른모델)
시소닉 GX1000W 풀 모듈러
리안리 ROG o11
리안리 라이저킷 (o11전용)
리안리 UNI FAN 10EA
맥스파인더 슬리빙케이블 / 맥스엘리트 슬리빙케이블 (2가지 다른모델)
삼성 오디세이G7 / 오디세이G7 페이커에디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10 HOME USB
11월달의 히어로wifi + MSI RTX3080 시스템
1월달의 다크히어로 + 아수스 RTX스트릭스 시스템
1. 아무것도 안하고 켜 놓고 있을 때
순정(PBO)시 소모전력(리안리 유니팬 10EA 30W합산값)/온도/배수/전압
4.6 고정오버시 소모전력(리안리 유니팬 10EA 30W합산값)/온도/배수/전압
*위 값은 윈도설치 초기영향으로 상주프로세서가 많은 상태입니다
이 후 위 수치는 상당폭 하강합니다
2. 레이턴시
순정(PBO)시 레이턴시 외
4.6 고정오버시 레이턴시 외
3. 슈퍼파이 1메가
순정(PBO) 슈퍼파이 1메가
4.6 고정오버 슈퍼파이 1메가
4. 시네벤치 r23
순정(PBO) 시네벤치 r23값 ( 온도, 소모전력, 배수는 맨 아래 영상을 참조, 이미지는 계산완료후)
4.6 고정오버시 시네벤치 r23 ( 온도, 소모전력, 배수는 맨 아래 영상을 참조, 이미지는 계산완료후)
추가: 4.7 오버시 시네벤치 실패시
5. 3DMARK 타스
순정(PBO) 타임스파이 (소모전력과 배수, 온도는 계산완료후)
4.6 고정오버시 타임스파이 (소모전력과 배수, 온도는 계산완료후)
6. 3DMARK 파이어스트라이크
순정(PBO) 파이어스트라이크 (소모전력과 배수, 온도는 계산완료후)
4.6 고정오버시 파이어스트라이크 (소모전력과 배수, 온도는 계산완료후)
7. 프리미어 프로 40개의 파일 20GB FHD@60p 인코딩시간
순정(PBO) 프리미어 인코딩 13분소요
4.6 고정오버 프리미어 인코딩 12분소요
4790K @4.7 / DDR3 2400 프리미어 인코딩 26분소요
6800K @4.2 / DDR4 쿼드채널 프리미어 인코딩 60분오버
8. 레데리2 게임(미친최고옵션) 프레임 (프레임 영향없는 모니터촬영)
순정(PBO) 레데리2
4.6 고정오버시 레데리2
결론
1. 5950X 의 성능은 제온을 데스트탑화할 필요없이 작업/게임 모두 우수하다
2. 찐으로 작업용으로 사용하실때에는 커수텀 수냉 설계를 강력 추천한다
3. 8~40 만원대의 짭수의 성능은 거기서 거기이며, 순간고온을 제어하지 못한다
(자켓의 성능이 매우 중요)
4. 소모전력이 예상보다 매우 준수하다 (리안리 유니팬X10=30W 포함참고)
5. 극악의 게임 레데리2에서 오버시 무려 10프레임을 추가한다
6. 제온(E5-2680V4), 4790K, 6800K 등 기존의 괴물들을 완전히 압도한다
그 외 테스트영상 및 실물영상은 유튜브를 참고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