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 라이젠 3600 CPU와 ASUS TUF B450M-PRO GAMING 메인보드 조합으로 오버클럭 및
사용기를 작성하겠습니다.
ASUS TUF B450M-PRO GAMING 메인보드는 바이오스(버젼 2409 이후) 업데이트를 통해 AMD
젠3 5000번대 라이젠 CPU를 정식 지원합니다. 일단 저는 5000번대 라이젠 CPU가 없기 때문에
기존에 가지고 있는 가성비가 가장 좋은 라이젠 3600 CPU를 장착했습니다.!!!
ASUS TUF B450M-PRO GAMING 메인보드는 M-ATX 규격 크기로 B450 칩셋이 내장되어 있고,
뛰어난 내구성의 전원부 10페이즈에 메모리 슬롯 4개(64GB)를 지원합니다. TUF 초크 및 TUF
캐퍼시터 장착으로 높은 수명성에 전원부 히트 싱크 장 착으로 강력한 전원부 발열 억제 능력
을 가지고 있습니다. CPU와 메모리는 PBO 및 수동 오버 클럭까지 지원합니다.
측면 하단 TUF GAMING에서 RGB LED가 나오는데 다소 심심했던 찰나에 약간의 튜닝 포인트로
분위기가 사네요! ^^ RGB LED 면적이 작기는 하지만, ASUS Aura 프로그램으로 9가지의 다양
한 효과를 더욱 화려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라이젠 3600 수율은 브론즈부터 다이아까지 다 다르기 때문에 PBO 부스트만 잘 터지면 이상
없습니다. 부스트는 4.2Ghz 입니다.
CPU는 43~44배수로 맞춥니다. 메모리는 3600(FCLK=1800 : 절반 셋팅)으로 합니다.
참고로 CPU는 43배수, 메모리는 3200~3400 권장합니다.
PBO 설정은 최대치로 해 놓아도 되고, AUTO나 Disable 해도 상관은 없습니다.
메모리 타이밍은 3600 클럭 기준 18-20-20-40-62 정도면 대부분 들어갑니다.
잘 안되면 클럭을 낮추던가 수치를 좀 높여서 풀어주면 됩니다.
전력 라인은 최대치로 해 놓습니다.
가장 하단에 CPU(SOC) 및 메모리 전압 메뉴 입니다. 메뉴얼로 바꿔놓고 수치를 올리거나 내려
주면 됩니다. 참고로 CPU : 1.35~1.40V, 메모리 1.30~1.35V 정도 입니다.
나머지 항목들을 셋팅합니다.
마지막으로 전력 관리 Disable 설정합니다.
저장하고 재부팅 했는데 먹통 되면 오버클럭 실패로 시모스 클리어(점퍼 클리어) 합니다.
메모리 안정화 프로그램으로 TestMem5 입니다. 주기 20 정도는 되야 통과입니다. 아래에 에러
표시나 주기가 안 올라가면 실패입니다.
CPU 안정화 프로그램으로 PRIME95 입니다. Small FFTs(AVX OFF) 기준으로 최소 2시간동안 아
무 에러 없이 통과해야 합니다. 참고로 안정화 프로그램으로 리얼벤치도 있기는 합니다만, 약간
가벼워서 위의 2개 프로그램 더 추천합니다.
안정화가 통과됐으면 본격적으로 사용기에 돌입해 봅니다. 일단 시네벤치로 정상 작동이 되는지
간단히 테스트를 해 줍니다. 점수는 4000점 근접하게 좋게 나오는군요!
AIDA64 프로그램으로 캐쉬 및 메모리 벤치 마크를 해 봤습니다. 레이턴시는 60대로 나왔네요!
4K 유튜브 시청도 원활합니다. 온도도 괜찮네요!
배틀그라운드 게임시 프레임 드랍이나 프리징 현상 전혀 없습니다. 온도도 50도 근처로 양호하
게 나오는군요.
오버워치도 무난하게 즐겼고, 안정적으로 라이젠 CPU는 44배수로 고정되서 잘 나오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시네벤치보다 더 타이트한 OCCT 프로그램으로 10분 정도 테스트 해 봤습니다.
별 다른 이상 없이 마무리 했습니다.
라이젠 3600 CPU와 ASUS TUF B450M-PRO GAMING 메인보드는 가성비가 매우 훌륭해 아직
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멀티 및 고사양 작업은 물론, 게이밍에서도 출중한 성능을 가지
고 있기 때문에 저는 아직도 만족하면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 보다 더 좋은 CPU와
메인보드가 나올 수가 있을까 싶네요! 이상으로 ASUS TUF B450M-PRO GAMING + AMD 라이
젠 3600 조합의 오버클럭 및 사용기 마무리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