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전기 하면 일본 히오키나 플루크 그리고 얼마전에 제품에 이상이 있어 리콜예기가 있었던 크레인 제품이 좋고 비싸긴 하지만... 싼맛에 올해 봄에 구매를 했는데 사용빈도는 많지 않지만 간간히 잘쓰고 있습니다.
제품명입니다.
중국산이긴 한데 가격때문 이기도 하지만엘씨디창이 있고 직관적으로 볼수 있어 구매를 했습니다.
건전지는 AAA건전지 2개 들어가고요 안에 포함되어있습니다.
전원을 누르면 엘씨디창이 저렇게 뜨는데 한번더 누르면 꺼지기도 하지만 안쓰면 자동으로 꺼지기도 합니다.
S적힌 스위치는 짧게 누를때는 민감도 조절을하고(민감도가 될때는 불이들어옴)
길게누를때는 앞쪽에 불이 들어오거나 끄거나 할때 쓰입니다.
어두운곳에서 사용할때 저렇게 불을 켤수가 있습니다
(글쓰다보니 중성선에서 빨갛게 경고창뜬걸로 사진이 나왔는데
인접한데서는 가끔 중성선에서 저렇게 상선처럼 빨갛게 켜지는 경우도 있으니 가능하면두개가 떨어진곳.. 그리고 이곳저곳 찍어봐야할듯 합니다)
검전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기가 통하는지 확인하는것도 있지만 전기선이 두가닥 들어오는것중 하나는 상선이며 하나는 중성선인데 어떤게 상선인지 중성선인지 찾기위함이 아닌가 싶습니다 저도 이거 알려고 산건데.. 보통 가정에서 업자 불러 하는 사람도 있지만 간단한 전선작업은 직접 하시는분도 있죠..
이럴때 콘센트는 상선 중성선 관계없는데 전등같은거 결선할때는 상선을 항상 스위치쪽으로 가게 결선해야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야지만 전기가 많이 흐르는 상선을 스위치에서 끈어주기때문에 LED등을 껏는데도 은은하게 들어온거 같은 LED 잔광이 생기는거를 막을수가 있고(이걸로도 안되면 콘덴서 달아야함) 전구를 갈면서 스위치 꺼놓으면 전기가 통하는 사고를 그나마 줄일수 있기 때문으로 아는데... 전기전공이 아니라 자세히는 모르겠군요..
위 두개의 사진에서 보면 차단기밑의 전선에 검전기를 갖다댔을때 파란색전선은 녹색창이 뜨면서 삐비빅 소리를 내는 반면에 흰색전선은 빨간 경고창이 뜨면서 삐비빅 거립니다.
이럴경우 파란색전선은 중성선.. 흰색전선은 상선이 되며 아래 차단기에 결선해서 전등과 스위치를 달경우 흰선은 무조건 스위치로 가게하고 파란선은 전등으로 가게하면됩니다.
인증사진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가격도 저렴하고... 집안에 콘센트갈고 전등달고 정도 하시는분들은 가정에 하나쯤 있으면 유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품의 장점:
가격이저렴하다
엘씨디창이 있다.
어두운곳에서는 불이들어오게 할수있다.
제품의 단점:
유명메이커가 아닌 중국산이다.
(유명업체 제품이 아닌 안알려진 중국회사제품이라 신뢰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