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게임은 잘 안하는 편이라 고사양이 필요없어서 그동안 컴퓨터 구매안하고 이것저것 조합해서 만들어서 사용했었는데
신상 구매는 10년 만이네요 그사이 컴퓨터도 많이 발전한것 같군요
인텔 i5-12세대 12400(엘더레이크)
+ ASRock B660M Pro RS D4에즈원(이벤트 상품)
+ Memory 삼성 DDR4-3200(16GB)
+ XFX 라데온 RX 6600 SWFT 210 CORE D6 8GB
+ SSD 삼성 PM9A1 M.2NVMe(512GB) - (2280)/PCIe4.0x4 (64GT/s)/순차읽기:6,900MB/s/순차쓰기:5,000MB/s/읽기IOPS:1,000K/쓰기IOPS:850K/MTBF:150만시간/방열판 미포함/두께:2.38mm/9g
+ HDD Western Dgital WD BLUE 7200/256M(WD20EZBX,2TB)
+ 케이스 아이구주 VENTI J100(블랙)
+ 마이크로닉스 COOLMAX VISION II 500W 구성
조립 후 남아 있는 부품 사진 밖에 없네요.
운영체제는 1xHyper M.2 소켓(M2_1,Key M) - PCIe4.0x4 (64GT/s)에 삼성 PM9A1 M.2NVMe(512GB)끼워(보드에 방열판이 있어서 좋아요 ^^)
윈10 Pro 깐뒤 정품인증받고 윈도우 11 업그레이드 하였습니다
그래픽카드 표준성능으로
배그 울트라 모드 옵션 최상으로 게임시 에어컨 24~5도 틀었을때 CPU온도와 그래픽카드 GPU온도 50대 초반 나오고 프레임 60정도나옵니다
굳이 사제쿨러나 수냉구성할필요 없을것 같아요
조립해 놓은 사진입니다.
보드 기판에 내장된 RGB 조명이 구성되어 있어 불끄고 보면 이쁘네요 ^^
이외에 온보드 RGB헤더랑 addressable RGB 헤더도 있으니 폴리크롬 RGB Sync 인증 액세서리에 RGB LED를 동기화하면 자신만의 고유한 조명효과도 만들수 있다고 합니다
윈도우 11 잘 깔리고 (CMOS 셋업에 보면 TPM 2.0 지원하는것 확인되고) 윈도우 깔때나 프로그램등 구동시에 특별한 버그없이 깔끔하게 잘 돌아갑니다
CPU나 그래픽카드를 좀 저전력으로 구성하니 파워도 500W로도 충분한것 같고
주문 업체에서는 650W 사용하라고 하는데 전력량 게임 돌려도 300W 초반정도 나오니(윈도우창 여러게 띠우고 이것저것 다중작업 안함) 굳이 용량큰 파워쓸 필요가 없어서 ^^;;
보드 후면 포트에 USB C TYPE 없는것이 아쉽지만 케이스에서 지원하면 보드에 USB3.2 GEN1헤더가 있어 연결할수 있으나
내가 구매힌 저가 케이스에는 USB C TYPE 포트가 없어
*PCle Gen3x1 슬롯에 NEXT USB3.2 GEN2X2 외장카드 별도 구매해서 사용중 - USB3.1 type C GEN2 외장 하드 케이스를 케이블(DY Type-C 20Gbps 케이블 PD100W 연장 60hz USB3.2Ge)로 연결하여 충전용 및 고속데이터 복사용으로 사용중이고
이벤트 응모해서 받은 AX211(와이파이 블루투스)는 은 M.2 WIFI 소켓(Key E)에 장착하기 전에 안테나 단자(MHF4 female)와 기판 단자(MHF4 male) 연결하다 눈이 침침해서(단가가 작아서 나이가 들어 보이지도 않음 ㅠ.ㅠ;;; ) 단자 파손되서 버리고 돈 주고 새로 구매 ㅠㅠ;;;;;; 잘 연결되고 드라이버 잘 잡혀 문제없이 쓰고있음
컴퓨터 잘 사용하다 아침에 다시켜니 본체도 켜지고 모니터도 켜져있는데 윈도우 진입도 되고 있는것 같은데 모니터 커서없는 블랙스크린현상있어 램, 그래픽카드, PCIE슬롯 카드들 재조립후 나사로 잘 조여주고(케이스가 너무 저가여서 허접해서 생긴일 다음엔 좀 고급케이스를 써야할것 같네요 ^^; )
메인보드 베터리(CR2032)교체, CMOS 업데이트, 모니터 케이블 상위 규격으로 변경, 램(지우개로 지우고 에탄올 83% 거즈로 닦은뒤) 램 슬롯변경 해주니 이상없이 잘되고 있고
혹시 몰라 램 16G 1개 추가
650W 파워도 여분으로 구매해 놓은상태
**보드에 썬더보트 5핀 헤더가 있어 ASRock 썬더볼트4 AIC 확장카드를 사서 Gen3x4(PCIE3)슬롯에 끼워 사용중이고 드라이버 잘 잡히고 작동 잘하고(외장글카 DP1.4 포트 2개를 각각 썬더볼트 AIC 카드의 DP포트와 연결해 놓은 상태로 추후 4K x2 및 8Kx 1 추가모니터 장착 가능하게 하였고 평시에는 케이블(썬더볼트4 충전 케이블 C to C 100W PD UMCA-TB4-100W)로 충전용도로 활용 하지만 아쉽게도 ASRock 썬더볼트4 AIC 확장카드는 Supports USB PD 2.0 Charging up to 9V@3A(27W) 까지만 지원 하지만 딱이 9V이상의 제품 사용하는게 없어 굳이 100W까지 지원필가 없을뿐더러 100W PD3.0 지원하는 기가바이트 GC-MAPLE RIDGE 썬더볼트4 AIC 카드처럼 2x6-pin PCIe power connectors를 연결할 필요도 없으니 큰용량의 파워도 필요없어서 선택한것도있고 에즈락보드는 에즈락 썬더볼트4 AIC를 가장잘 지원하니 조합에 문제가 없어 선택함
***추가적으로
삼성 32인치 4K 모니터(U32J590 :
후면포트 DP1.2 단자 <-----> 외장그래픽(RX6600)의 여분 DP1.4 단자에
공유하기DP1.4케이블(벤션 20핀 더미 울트라 8K DP TO DP V1.4케이블 1.5m)을 연결하고
동시에
삼성 32인치 4K 모니터(U32J590 :
후면포트 HDMI1.4(사용X), HDMI2.0(사용O) 단자 <--------> 보드에 있는 HDMI2.1단자[Intel i5 12세대 12400 CPU 내장그래픽(인텔 UHD 그래픽스 730) - AV1 동영상 규격 지원으로 유튜브8K 영상 하드웨어 가속 재생이 가능]에 HDMI2.1케이블(마하링크 Ultra HDMI Ver2.1 8K케이블 1.8M ML-H8K018)로 연결하니 내장 외장 모두 8K 동영상 끊김없이 재생 잘됩니다(확인 결과 cpu 온도 gpu온도 cpu사용량 높지 않은데도 잘 돌아갑니다) 물론 4K 모니터이므로 8K는 4K로 표현되어 보여지지만 ***라데온 그래픽 드라이버 최신버전말고 충돌안하는 안정버전(whql-amd-software-adrenalin-edition-22.5.1-win10-win11-may10) / 내장사운드 드라이버 안정버전(AUD-Win10_Win11-6.0.9285.1) / 내장 인텔 그래픽 드라이버 안정버전(gfx_win_101.3222_101.2111) 깔았고 특이설정은 윈도우 설정-게임-그래픽 설정에서 앱에 대한 옵션 사용자 지정메뉴에서 크롬과 팟플레이어 특정gpu사용(intel(R)UHD graphics 730)으로 강제 설정 했습니다 팟플레이어는 재생시 필터 설정 - 내장 비디오 코덱 DXVA 사용(H/W 가속설정) , 크롬은 설정-시스템 에서 가능한 경우 하드웨어가속 사용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AV1 VIDEO EXTENTION 코덱 설치,VP9 VIDEO EXTENTION 코덱 설치하니 버벅거림 없이 CPU(10~15%)+내장그래픽(60~70%)+외장그래픽(20~30%) 연동되듯 적정 배분되면 부드럽게 재생되네요
**** 처음에는 외장그래픽 단자와 삼성4K 모니터 단자를 아무렇게나 케이블 규격 생각 안하고 연결했더니 8K 동영상 끊기고 버벅되서 위와 같이 상위버전의 케이블을 구매하고 보드와 그래픽카드 모니터 단자 규격등 확인후 다시 이중으로 연결(모니터로 외부입력 선택을 dp로 선택하면외장글카사용 외부선택을 hdmi로 선택하면 내장글카사용 - 윈도우에서는 모니터1 2 복제로 세팅)하니 내장 외장 모두 8K 재생 끊김없이 아주 잘돌아갑니다(물론 유투브 설정, 팟플레이어 설정, 그래픽 유틸(AMD 소프트웨어 및 내장 INTEL 그래픽 소프트웨어도 설정도 좀 잡았줬습니다 자세한건 기억이 안나요 ^^;;) 지금은 4K 영화 영상 및 8K 유투브 직캠 영상등 다운(유로 프로그램 mp4형식으로 다운로드됨 사용제한, 무료프로그램 webm 형식으로 다운로드됨 사용제한 없음)받아 잘보고 있구요
삼성 M.2NVMe(512GB) SSD에 Win11 OS 단독으로 부팅 사용하고 VMware Workstation 16 이용 MacOS 설치 구동후 네트워크 공유폴더 만들어 상호 파일 이동용으로 사용(리얼맥 없이도 맥이미지 생성시에 사용가능)
Ventoy 이용해서 멀티 OS 부팅 USB[(Win11, Win7)윈도우계열, (하모니카,Ubuntu,centos등 최신판)리눅스계열, (Ventura, Monterey등 최신판)MasOS 계열, (Prime OS 최신판)안드로이드 계열]에 드라이버 및 커스텀맥(해킨토시)부트로더 OC(오픈코어), 클로버등 최신판들과 최신 ISO 이미지 확보후 저장하여
별도로 기존에 있던 2T SATA3 HDD에 연결하여 파티션 구성하고 별도로 다중, 멀티 OS 구성 테스트해 보고 있네요 ^^;;;
처음에 모니터없이 배송비 포함 107만원에 본체 맞췄는데
다음이 추가되어
USB3.2 케이블, HDMI2.1 케이블, 썬더볼트4 케이블, DP1.4케이블 및 추가로 16기가램, 여분으로 650W파워, 눈도 나빠지고 모니터가 작고 오래되서 삼성4K 32인치 모니터로 변경, 이벤트 응모해서 받은AX211 무선 와이파이 블루투스 단자 망가져서 버리고 돈주고 구매ㅠ.ㅠ, USB3.1 type C GEN2 외장하드케이스, ASmedia(ASM3242칩셋) NEXT USB3.2 GEN2X2 확장카드, 에즈락 썬더볼트4 AIC 확장카드[JHL8540 썬더볼트 컨트롤러 칩셋) 기가바이트 GC-MAPLE RIDGE와 같은 칩셋이지만 PD 3.0(97W) 아니고 PD 2.0(27W) 지원임]등 추가 하여 80만원(모니터가 37만원 나머지가 43만원) 정도 추가로 더 들었네요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는 기존것 사용 ^^;;;;;; 모니터랑 추가 램 여분 파워 빼면
본체만 135만원으로 이가격에 이정도 퍼포먼스와 확장성 구성으로 만드니 활용성등에서 대만족
컴퓨터 집에 게임 켜놓고 파섹 원격프로그램으로 배그등도 좀 하고
다중, 멀티 인스턴스 앱플레이어(nc퍼플, 와쿠, MSI앱, 녹스, 미뮤 등)돌려놓고 원격(애니데스크나 파섹)으로 휴대폰 게임 플레이 할수도 있겠고
멀티미디어용도 업무용 게임용도로 두루 활용가능한 가성비 좋은 조합이라고 생각됩니다
현재 해킨토시 몬테레이 12.4 설치후 안정화 사용중 맥 패러렐즈 18 에 win11 설치 유튜브4k 동영상시청 워드 엑셀 파포작업 파이널컷 프로 편집작업 애플tv시청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한번에 실행 버벅임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