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한 번의 혁신이라고 불린 애플의 실리콘 M1 맥북이 등장한지 어언 2년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2020년 4분기, 애플은 자체 개발한 실리콘 M1 칩셋을 발표했고 자사의 맥북에어와 맥북프로에 먼저 탑재했습니다. 공식적으로 인텔과의 결별을 선언하고 모바일리티 최강자의 등장을 알리는 순간이었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사람들은 실리콘 M1 맥북의 미친 수준의 모바일리티를 경험하며 크게 열광했습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ARM 기반으로 제작된 실리콘 M1 프로세서의 말도 안 되는 전성비로부터 시작됩니다.
실리콘 M1 칩은 프로세싱 성능이 매우 뛰어납니다. 실리콘 M1은 시스템 온 칩(SoC) 방식으로 하나의 칩에 CPU와 GPU, 뉴럴엔진과 통합 메모리를 구성하여 직전 세대의 맥보다 훨씬 뛰어난 머신 러닝 성능을 제공합니다.
그런데 더 뛰어나고 더 놀라운 건 바로 ‘전성비’입니다. 실리콘 M1 칩의 CPU는 불과 4분의 1수준의 와트만 사용해도 바로 이전 세대가 낼 수 있는 최대 퍼포먼스를 도달할 수 있었습니다. 이전 세대에서 40W를 사용하여 1분 만에 완수했던 작업을 M1은 10W만 사용하고도 동일하게 할 수 있다는 겁니다.
그리고 이 ‘전성비’는 애플이 이후에 어떤 짓이든 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큰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조금만 전력을 더 사용하면 더 강력한 성능으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고, 배터리 효율이 엄청나게 증가하여 충전 없이도 하루 종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발열도 줄어 들었기 때문에 맥북에어 시리즈는 쿨링 팬마저 제거해 버리면서, 엄청난 얇기로 그때는 상상할 수도 없던 고성능 노트북을 만들어버렸습니다.
이게 더 대단한 건 전력 효율이 좋기 때문에 어댑터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최대 성능을 낼 수 있다는 겁니다. 선을 연결하지 않아도, 언제든지, 어디서든, 무엇을 하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건 노트북의 사용 목적이자 근본이라고 여겨지는 ‘모바일리티’의 혁신을 가져왔습니다.
그 후 2년이 흘러, 우리는 이 대단했던 프로세서의 차기작인 애플 M2 칩을 보고 있습니다. M1의 혁신을 봐서 무뎌졌는지 큰 감동보다는 애플의 가격정책에 대한 불만 섞인 목소리도 많이 보입니다.
기존 M1을 완전히 대체하지 않고 공존하면서 M1과 M1 Pro 사이에 M2의 라인업을 추가했습니다. M1 출시 때와 같이 가격적 메리트를 느낄 수 없었던 게 가장 큰 아쉬움이라고 생각됩니다.
▲ 2020 13인치 M1 맥북프로, 2022 13인치 M2 맥북프로
그래서 이번 사용기에서는 13인치 M1과 M2 맥북프로를 준비하여 성능이 얼마나 좋아졌는지 비교해 보고, 기존 사용자라든지 신규 구매 유저들은 어떤 결정을 내리면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 가격 비교
13인치 M1 맥북에어는 10만 원의 가격을 인상했고, 13인치 M1 맥북프로는 단종하면서 그 자리에 13인치 M2 맥북에어와 M2 맥북프로를 넣었습니다. 전과 비슷한 가격대에서 라인업을 세분화하면서 선택의 폭이 늘어난 만큼, 마음에 드는 제품을 선택하기가 더 어려워졌습니다.
지난 콘텐츠에서는 13인치 M2 맥북에어와 13인치 M2 맥북프로를 비교해 보았는데요. 플랫폼을 완전히 변경한 M2 맥북에어와 플랫폼을 재사용한 M2 맥북프로 간에 전체적인 사용성에 대해서 비교해 보았다면, 반대로 이번 콘텐츠에서는 플랫폼이 완전 동일한 M1 맥북프로와 M2 맥북프로 간의 비교를 통해 M1과 M2의 순수 성능 차이를 비교하는 리뷰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 플랫폼 비교
13인치 M2 맥북프로는 13인치 M1 맥북프로의 플랫폼을 그대로 가져다 사용했기 때문에 칩셋 등의 극히 일부 사양을 제외하고 전부 동일합니다.
완전히 동일한 껍데기를 사용해 일부 칩만 변경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카메라, 키보드, 스피커, 사이즈, 무게, 포트 구성까지 100% 동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디자인은 간단하게 비교하고, 성능 위주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13인치 M1 맥북프로 (좌) | 13인치 M2 맥북프로 (우)
외관상 완전히 동일한 디자인의 두 제품입니다.
▲ 13인치 M1 맥북프로 (좌) | 13인치 M2 맥북프로 (우)
디스플레이도 13.3인치 레티나 디스플레이, 해상도 2560x1600, 밝기 500니트로 완전히 동일한 사양입니다. 육안 상으로 비교해 보아도 차이점을 전혀 느낄 수 없었습니다.
▲ 13인치 M1 맥북프로 (좌) | 13인치 M2 맥북프로 (우)
키보드의 배열과 터치 바, 심지어 각인 폰트까지 완전히 100% 판박이로 동일합니다.
사이즈는 가로 30.41cm, 세로 21.24cm, 두께 1.56cm로 같아서 어떤 제품인지 외관상으로 분간할 수 없습니다.
▲ 왼쪽 사이드 포트 구성 (좌) | 오른쪽 사이드 포트 구성 (우)
왼쪽 사이드에 썬더볼트 3 단자 2개, 오른쪽에 3.5mm 오디오 단자 1개로 두 제품 모두 포트의 구성과 위치까지 정확하게 일치합니다.
▲ 2020 13인치 M1 맥북프로 (좌) | 2022 13인치 M2 맥북프로 (우)
두 제품의 무게를 실제 측정했을 때 13인치 M1 맥북프로는 약 1.41kg, 13인치 M2 맥북프로는 약 1.38kg으로 측정되었습니다. 13인치 M1 맥북프로에는 스크래치 방지용 필름을 앞뒤로 붙여 놓은 상태인데요. 따라서 실제 차이는 이보다 작고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실제 성능 비교
실리콘 M2는 기존 M1 칩 보다 CPU의 성능이 18% 향상되었고, GPU 35%, 뉴럴엔진은 40% 향상되었다고 합니다. 기본 사양에서 GPU 코어 수로만 비교하면 M1 맥북에어 7코어, M1 맥북프로 8코어, M2 맥북에어 8코어, M2 맥북프로가 10코어로 GPU에서 차이가 가장 많이 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두 제품의 성능 비교는 동일한 맥OS 몬터레이 12.6 버전에서 진행하였습니다.
<긱벤치 스코어 결과>
먼저 긱벤치 애플리케이션으로 총 3회에 걸쳐 평균 스코어를 냈습니다. 스코어를 비교한 결과 싱글과 멀티 코어 점수에서 모두 13인치 M2 맥북프로가 앞섰으며, 멀티 코어는 약 16%로 비교적 큰 성능 차이를 보여 주었습니다. CPU 성능에서 확실히 M1보다 좋아졌음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Cinebench R23 1회 테스트 결과>
다음은 시네벤치 R23 벤치마크 툴에서 횟수를 1회로 설정하고 여러 번 측정했습니다. 긱벤치 스코어 보다는 스코어 격차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뚜렷하고 큰 차이를 보여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M2 맥북프로가 싱글 코어에서 약 4% 정도 좋고, 멀티 코어에서는 약 12% 정도 크게 앞섰습니다. 긱벤치와 시네벤치 모두 멀티 코어에서 12~15% 정도의 성능 차이를 보여 줌으로써 실제 작업을 할 때도 효율적으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걸로 기대됩니다.
<Cinebench R23 10분, 30분 연속 테스트 결과>
시네벤치 R23에서 시간을 10분, 30분 연속으로 설정하고 풀로드로 장시간 테스트 할 때 쓰로틀링 현상이 발견되는지 확인했습니다.
두 제품 모두 1회성 테스트와 동일한 퍼포먼스를 보여 주면서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두 제품 모두 쿨링 팬으로 발열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쓰로틀링 현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 참고로 쿨링 팬이 없는 M2 맥북에어는 1회 테스트에서는 M2 맥북프로와 비슷하지만, 30분 테스트 진행시 20% 가까운 점수 하락을 보여주었습니다. |
<풀로드 시 온도 비교>
실제 쓰로틀링 현상 없이 일정한 퍼포먼스로 작동했는지 확인을 위해 시네벤치를 연속으로 돌리면서 온도와 CPU 클록 스피드도 함께 확인해 보았습니다.
▲ 효율 코어 2개와 성능 코어 6개로 표기되는 건 앱 호환성 오류로 보입니다.
온도는 M2 맥북프로가 M1 맥북프로보다 같은 구간에서 높았습니다. M2 맥북프로의 경우에는 시스템 쿨링 팬 설정을 수동으로 조금 높게 설정해서 발열 관리를 해 주는 게 좋아 보입니다.
클록 스피드는 M1 맥북프로의 경우 효율코어 2064MHz, 성능코어 3204MHz의 최대 퍼포먼스를 보여 주었고, M2 맥북프로는 효율코어 2423MHz, 성능코어 3504MHz로 더 빨랐습니다. M2 맥북프로의 부스트 클록 스피드가 더 높았기 때문에 온도도 좀 더 높았던 것 같습니다.
두 제품 모두 쓰로틀링 현상 없이 최대 성능으로 작업을 지속할 수 있었습니다.
<동영상 인코딩 테스트 비교 결과>
▲ AMEEncodingLog.txt 로그 파일 내용
다음은 Adobe Media Encoder를 이용하여 실제 동영상 인코딩 속도를 비교했습니다. 4K, 10bit, HEVC 포맷의 ts 확장자 파일 여러 개를 H264 형식의 mp4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테스트를 연속으로 진행 하였고, 인코딩 후 생성된 로그(Log) 파일로 정확한 시간을 계산했습니다.
7개의 영상을 모두 인코딩하는데 걸린 시간은 M2 맥북프로 17분 20초, M1 맥북프로는 17분 24초의 경과를 보여 주었습니다. 렌더링 테스트에서 제법 큰 차이를 보여줬던 것과 반대로 단순 영상 압축 작업인 인코딩 테스트에서는 동일한 성능을 보여 주었습니다.
참고로 지난 번 콘텐츠에서 측정한 M2 맥북에어와 M1 Pro 맥북프로 기본형 모델의 결과도 함께 비교해 보았습니다.
<블렌더 Cycles 엔진 렌더링 비교>
마지막으로 GPU 성능을 확인해 볼 겸 블렌더를 사용하여 Cycles 엔진으로 데모용 파일 하나를 렌더링 했습니다.
▲ 13인치 M1 맥북프로 블렌더 Cycles 렌더링 (20분 44.93초)
▲ 13인치 M2 맥북프로 블렌더 Cycles 렌더링 (18분 21.08초)
13인치 M1 맥북프로는 렌더링을 완료하는데 20분 45초의 시간이 걸렸으며, 13인치 M2 맥북프로는 18분 21초의 시간으로 약 2분 24초 정도 빠르게 렌더링 작업을 완료했습니다. 인코딩 성능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GPU 성능이 많이 들어가는 블렌더 작업에서는 다시 10% 넘는 성능 차이를 보여 주었습니다.
확실히 M1 맥북프로의 8코어 GPU와 M2 맥북프로의 10코어 GPU의 성능 차이를 실감할 수 있던 부분입니다.
종합해 보면 전체적으로 M2 맥북프로가 앞서는 성능을 보여 주었으며, 멀티 코어를 활용한 작업에서는 많게는 15%까지 높은 성능을 보여 주었습니다. 특히 GPU 코어 개수에 따라 렌더링 작업에서 더 큰 차이를 보여 주었기 때문에, 평소 작업 시 실시간 렌더링 작업이 많은 사용자일수록 M2 맥북프로를 사용함으로써 얻는 이점이 클 거라고 예상됩니다.
■ 저장 장치 속도 비교
저장 장치의 속도는 PCIe 3.0 기반 SSD가 탑재되어 오차 범위 안에서 동일한 성능을 보여 주었습니다. 아쉽게도 M2 맥북프로는 512GB 제품이어서 동일한 용량에서 테스트하지 못한 점이 아쉽습니다.
참고로 256GB 모델은 메모리 모듈이 하나여서 성능이 절반 밖에 나오지 않는다는 이슈가 있습니다.
▲ M1 맥북프로 (좌) | M2 맥북프로 (우) 부팅 속도 비교
부팅 속도는 로그인 화면이 뜨는 시간 기준으로 M2 맥북프로가 약 1초 정도 빨랐습니다.
■ 배터리 비교
두 제품의 전성비를 비교하기 위해 두 종류의 케이스로 배터리 효율을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1. 풀로드 시 배터리 효율 비교
2. 동영상 감상 시 배터리 효율 비교
참고로 두 제품의 배터리 용량은 58.2Wh로 동일합니다.
배터리를 완충한 상태에서 최대 성능 사용 시 배터리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시네벤치 R23을 연속으로 1시간 돌려 보았습니다.
약 1시간의 시간 동안 시네벤치 R23을 연속으로 돌린 결과 13인치 M1 맥북프로는 54%의 배터리가 남고, M2 맥북프로는 55%의 배터리가 남았습니다. 두 제품은 최대 성능에서의 소비 전력이 동일하다고 볼 수 있으며, 최대 성능은 M2 맥북프로가 앞서기 때문에 좀 더 전성비가 좋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다음은 모니터 밝기를 100%로 동일하게 설정하고, 유튜브에서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면서 배터리 변화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약 3시간 45분 뒤 M1 맥북프로는 66%의 배터리가 남았으며, M2 맥북프로는 74%의 배터리가 남아 있었습니다. 계산하면 M1 맥북프로는 11시간 정도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고, M2 맥북프로는 14시간 이상 연속으로 재생할 수 있는 배터리 효율을 보여 줍니다.
M2 칩이 탑재된 맥북프로는 고성능 작업 시에는 동일한 소비 전력으로 더 높은 성능을 보여 주었으며, 가벼운 작업을 수행할 때는 더 낮은 전력으로 동일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종합해 보면 애플에서 말한 대로 M2 칩이 확실히 전력 효율에서 크게 개선된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 종합
현재 M1 제품으로는 M1 맥북에어가 139만 원부터 판매 되고 있으며, M2 제품으로는 맥북에어가 169만 원, M2 맥북프로가 179만 원부터 판매되고 있습니다.
가성비로 생각한다면 M1 맥북에어 > M2 맥북프로 > M2 맥북에어 순이 되겠지만, M2 칩이 탑재된 맥북 시리즈는 렌더링 성능과 배터리 지속 시간에서 확실히 좋아진 모습을 보여주면서 M1 보다 높은 가격이지만 그 만큼 지불할 가치는 있어 보인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M1 칩이 탑재된 맥북 시리즈의 전성비를 한층 더 강력하게 끌어올린 제품이 M2 맥북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다만 단순 동영상 인코딩 작업에서는 큰 차이를 보여준 게 없는 걸로 보아 라이트 유저라면 가성비의 M1 맥북에어를 구매하는 게 좋겠고, 블렌더나 어도비 애프터이펙트 등의 GPU 가속 작업이 필요한 유저라면 확실히 M2 칩이 들어간 맥북 시리즈를 구매하는 게 모든 면에서 좋겠습니다.
또한 M2 맥북에어냐? M2 맥북프로냐를 두고 추가적으로 고민 중이라면 제가 처음으로 작성했던 아래 콘텐츠에서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https://dpg.danawa.com/bbs/view?boardSeq=28&listSeq=5147285
여기까지 4번의 사용기를 통해 모든 맥북 시리즈의 비교 사용기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