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스테이션이나 서버급 컴퓨터는 논외로 고가의 PC 장비들은 게임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성능의 잣대로 3D 게임이 얼마만큼 원활하게 구동되는지에 따라 높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죠. 이 부분에서 가장 큰 존재감을 드러내는 건 바로 그래픽 카드입니다. 그리고 그래픽 성능이 충족된 환경이라면 키보드, 마우스, 헤드셋 등을 통해 촉감과 청감에 집중하게 되죠.
그리고 게이밍 모니터로 시각적 측면의 부자연스러움을 최소화하고 쾌적한 플레이 환경을 구성하게 됩니다. 이는 게이밍 유저들의 장비 소비 패턴이기도 합니다.
한편 고수는 장비를 탓하지 않는다지만 고수가 좋은 장비를 사용한다면 상대하기 힘들어지겠죠. 그래서 말씀드릴 'MSI MPG 아르테미스 273CQRX-QD'(현재 최저가 798,980원) 모니터는 현시점 완성형에 가까운 게이밍 지원을 담고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게임을 선호한다면 이후 내용에 집중해 보셔도 좋으리라 예상됩니다.
▲ MSI MPG 아르테미스 273CQRX-QD 게이밍 모니터
MSI MPG 아르테미스 273CQRX-QD 퀀텀닷 240 게이밍 HDR 400
사람의 눈은 시야의 외곽으로 향할수록 왜곡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곡률형 모니터로 이 같은 왜곡을 잡아주게 되면 정확하고 제대로 된 몰입감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한편 MSI MPG 아르테미스 273CQRX-QD는 1000R 곡률의 커브드 모니터로 제작되었습니다.
스탠드는 상기 이미지의 ①~④까지 조립된 형태로 판매되면 좋았을 거 같지만, 유저가 직접 한 땀 한 땀 조립해야 하는 점 참고 바라겠습니다.
▲ 선 정리 홀 제공
높이 조절은 100mm까지 조절되며, 좌우 회전 30도, 상하 기울기 -5~20도까지 제공됩니다.
여기서 피벗 기능까지 담았다면 완벽하겠으나, 1000R 곡률 커브드 모니터의 경우 정면 그리고 가로로 거치할 때 최적의 시인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피벗 기능이 빠진 걸로 보입니다. 즉 제작자의 의도된 설계로 볼 수 있습니다.
MSI MPG 아르테미스 273CQRX-QD 후면은 게이밍 모니터답게 ARGB 조명이 탑재되었습니다. 모니터 사용 중 그 존재감이 크게 드러나는 건 아니지만 전체 디자인 컨셉과 포인트를 주기 위해 적용된 걸로 보입니다.
▲ 조명은 MSI Center 프로그램의 미스틱 라이트로 조율할 수 있습니다.
부가 지원으로는 헤드셋 걸이와 마우스 번지를 제공합니다. 헤드셋 거치대는 책상에 두는 거보다는 깔끔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우스 번지의 경우 책상 바닥에 선을 두는 것에 비해 케이블 간섭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래서 마우스가 보다 더 잘 움직이게 됩니다.
메뉴는 조그 다이얼 조이스틱으로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적응이 된다면 매우 편리하게 쓸 수 있는 방식입니다.
▲ msi OSD 메뉴
입/ 출력은 HDMI 포트 2개, DP 포트 1개, 그리고 USB-C 타입으로 총 4개의 장치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고, 깨알같이 USB 2.0 포트 2개를 제공하여 보조 저장 장치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USB 3.0급 플랫폼이었다면 더욱 좋았을 거 같네요.
▲ USB-C 포트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을 직결하면 곧바로 미러링이 가능합니다.
소비전력은 최대 밝기에서 47W이며, 530cd/㎡ 사양이다 보니 통상 60~80%대에서 실사용하기 적절한 수준입니다.
퀀텀닷 WQHD VA 디스플레이 패널
▲ 안티 글레어 저반사 코팅과 수직, 수평 178도 시야각.
MSI MPG 아르테미스 273CQRX-QD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퀀텀닷이 적용되었습니다. 퀀텀닷은 VA 패널의 장점인 명암비와 광색역을 극대화하기 위해 나온 기술입니다.
이는 백라이트에 퀀텀닷 필름을 씌운 LCD 패널로 높은 색감 표현력이 이점으로 꼽히는 기술이죠. 다만 아직은 양산하기 이른 시기라 가격이 비싼 편 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VA 패널과의 시너지는 무시 못 하며, 그에 따른 색감 표현력이 높은 부분은 명확합니다.
색재현율은 DCI-P3 95%, sRGB 128%로 전문적인 그래픽 작업을 염두에 두더라도 크게 부족한 사양은 아닙니다. 다만 게이밍 기술 지원에 집중된 모니터다 보니 팩토리 캘리브레이션과 색감 프리셋 등이 게임에 최적화된 인상입니다.
240Hz 고주사율과 1ms MPRT 응답속도
주사율은 사무용 모니터 60Hz의 4배 수준인 240Hz 고주사율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여타 게이밍 모니터는 120~165Hz 사양을 지니지만 MSI MPG 아르테미스 273CQRX-QD는 보다 높은 사양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1초에 240장의 이미지를 재생하며, 240 게임 프레임을 표현할 수준입니다. 이를 통해 빠르게 움직이는 사물의 찰나의 잔상을 줄이고 부드럽고 매끄럽게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색감 모드
프리셋 게임 모드는 장르에 따라 색감, 명암, 그리고 응답속도가 달리 적용됩니다.
먼저 FPS 모드는 어두운 부분이 밝아지고 색감 및 명암이 진득해지며 빠른 응답속도로 설정됩니다.
레이싱 모드는 FPS에 비해 명암이 사실적인 명도로 변화하며, 색감 표현력이 높게 설정되고 응답속도가 빨라지게 됩니다.
RTS 모드는 FPS와 레이싱 모드에 비해 정적인 장르다 보니 응답 속도는 한두 스텝 낮아지며, 채도가 높아집니다.
RPG 모드는 시네마틱 한 게임 장르에 맞춰 색감 표현력에 집중이 되며 몰입감 높은 디테일과 사실적인 명암비로 재생됩니다.
이처럼 각각의 게임 장르에 맞춰 요구되는 응답속도와 컬러가 변화하는 부분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게이밍 및 실사용 소감
대부분의 게이머들이 모니터에 바라는 건 크지 않습니다. 먼저 몰입감 높은 색감과 잔상이나 끊김 없이 플레이되는 화면입니다.
그에 따라 MPG 아르테미스 273CQRX-QD는 Adaptive Sync 프리싱크 기능을 기본 제공합니다. 사용하는 그래픽 카드의 수직동기화 옵션과 OSD 메뉴, 게임의 설정 탭에서 프리싱크를 활성화하게 되면 설정이 마무리됩니다.
통상 정적인 3D 게임에선 수직 동기화를 쓰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FPS처럼 화면 전체가 빠르게 바뀐다면 일시적인 수직 싱크 틀어짐을 막기 위해 활용이 되죠. 즉 화질적인 측면에서 정확한 화면을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술입니다.
한편 총을 다루는 게임은 겨냥을 할 때만 조준선이 나타납니다. 이같은 불편은 아르테미스 273CQRX-QD의 조준선 모드를 통해 지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실제 플레이 해보니 보다 빠르게 대상을 타게팅 할 수 있어 유용했습니다.
간혹 게임의 극적인 몰입감을 위해 야간 전투가 종종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나 적이 어디 숨어 있는지 식별하기가 까다롭죠. 이때 '나이트 비전' 기능을 통해 어두운 환경을 밝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게임 타이머 기능으로 기록 달성이나, 외출 계획 등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MPG 아르테미스 273CQRX-QD의 게이밍 지원 중 가장 만족스러웠던 부분은 바로 '옵틱스 스코프'입니다. 이 기능은 FPS 게임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멀리 위치한 대상을 확대해서 보여주는 기능인데요. 마치 망원경으로 사물을 보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게 왜 유용하냐 물으신다면 총구의 조준 정확도를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크게 확대된 대상이다 보니 치명타를 입힐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집니다. 실제 써보시면 기대 이상이라 느껴지실 거라 예상되네요.
▲ 옵틱스 스코프 시연 영상
이처럼 게이밍 지원뿐 아니라 HDR400을 지원하고 있어,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미지를 표현하게 됩니다. 이는 게임보다는 영화나 드라마를 시청할 때 활용도가 높아지겠죠. 참고로 윈도우 11 유저라면 자동으로 설정이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MPG 아르테미스 273CQRX-QD는 게이밍 모니터로 매우 좋은 사양을 담고 있습니다. 먼저 인체의 시력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1000R 곡률 커브드 화면과 퀀텀닷 VA QHD 패널로 높은 몰입감과 수준급의 색상 표현력을 갖추고 있죠. sRGB 128% 색재현율은 전문적인 디자인 작업자가 쓰더라도 손색이 없을 수준입니다.
이처럼 기본적인 화질과 색감뿐 아니라 게임 장르에 따라 최적화되어 응답속도 및 컬러 세팅을 제공합니다. 거기에 초당 240Hz의 높은 주사율과 어댑티브 싱크를 통해 부드럽고 깨짐 없는 화면 재생이 가능한 게이밍 모니터입니다.
부가적으로 HDR 400, 조준선, 나이트 비전, 타이머, 옵틱스 스코프, KVM 스위칭, USB-C 포트까지 제공하고 있어 다방면으로 활용하기에도 좋죠. 대체로 사양 제한 없는 여유로운 게이밍과 멀티미디어 환경 구축을 원하신다면 고려해 봐도 좋을 모니터가 아닐까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