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HWBOT 해외 오버클럭사이트에서 활동중인 필립박이라고합니다.
기가바이트 보드관련 리뷰를 2번째 하게되네요
기존에 다나와상품 관련 내용에 기재된 상세한 내역은 자료를 보시고 참고해주시고
등록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 리뷰를 해보겠습니다.
먼저 본제품은 직접 내돈주고 내가산 리뷰임으로 협찬업체가 없음으로 타의 눈치를 보지않고
솔직한 내용을 담아서 리뷰해보겠습니다.
메인보드쪽 전원부 입니다 18페이즈로 알고있는데 전원부는 사실 12페이즈면
13900K기준으로 60배수까지 충분히 낼수 있기에 더크다고 무조건 좋다는 편견을 버리셔도
됩니다 타사틔 A보드 A모델과 S모델간의 성능차이는 전혀없습니다 다만 4DIMM 슬롯과
2DIMM 램슬롯에 따른 램오버 성능 차이는 극과 극으로 차이가 많이납니다만
이번에 소개하는 기가바이트 Z790 PRO X 에서는 4DIMM 슬롯 최초 8266CL34까지 가능함을
직접 테스트해보았습니다.
이부분에 있어서는 A사의 최고성능 4DIMM 슬롯제품보다 더 성능이 좋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원터치 개봉이 가능한 SSD 두곳의 방열판 분리모습입니다.
더이상 드라이버로 조이고 풀지 마세요 작은 나사 떨어지는경우 많이들 경험하셨는데
위부분은 정말 신경써서 만들어주신점에 감사드립니다.
제끼고 끼워서 놓으시면 끝납니다. 1초컷
총 SSD는 5곳에 설치가 가능합니다.
오늘은 지난 주말에 구입한 GIGABYTE AORUS Z790 PRO X 모델에 대하여 리뷰를 해보겠습니다.
먼저 보드를 선택하게된 가장 큰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Z790 화이트보드
2. Z790 램오버클럭이 진화된 보드에서 가장 가격대가 저렴한 Z790보드임 ( B760 AX 모델이 있기는함 )
3. 13900KS CPU를 사용하고있기에 CPU까지 함께 오버클럭을 하기위하여서 구입하게되었습니다
4. 다만 가장 크게 걱정되는 부분이 Bios설정 문제입니다 이전에 z790 AERO 보드를 사용해본
느낌으론 매우 불편함이 사실 많았던 부분이 있습니다.
테스트 환경은 본체 케이스로 이전하기전에 먼저 편리한 오픈벤치테이블에서 테스트
해봤습니다 .미리 구입해놓은건데 이렇게 처음 사용해보게 되었습니다.
시스템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CPU : 13900KS SP 113 MC 69 ( 기가바이트 바이오스 BISCUITS 측정 환경에선 93~92가나옵니다 )
메인보드 : GIGABYTE AORUS Z790 PRO X
RAM : V-COLOR 8200CL40 48GB X 2 XMP - QVL 리스트에 있는 제품입니다.
GPU : GTX 1650 ( 메인 4090 )
SSD : SK P41
POWER : SUPER FLOWERS 1000W PLATINIUM
CPU 쿨러 : 알파쿨 CORE 1 수랭워터블럭 + 모라 420PRO
램쿨러 : 공랭 스팟쿨링 120MM 리안리 P28 1개
모니터 : GIGABYTE AORUS FI27Q-X QHD 240HZ 1MS
실온 측정환경 : 22~23도
모라 수온외부베란다 : 13~17도 사이
최초 바이오스는 F3 2023년 9월 바이오스가 등록되어져있으며
아래 기가바이트 홈페이지 웹사이트에서 각종 유틸리티및 바이오스 최신 2023년 12월
F4버젼을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 기가바이트 홈페이지에는 PRO X 1.0버젼에서
바이오스및 유틸관련을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
바이오스는 FAT32변환 포맷된 USB메모리에 해당 바이오스를 압축해제하시고
저장하신후에 랜포트 하단에 꼽아서 바이오스 윈도우상에 들어가셔서 QFLASH클릭하여
설치가 가능합니다.
공식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위와같이 보드명 검색하시면
상이한부분이 있습니다.
PRO X 모델에도 X1.0 X1.1 X1.2 라고 나와지는데 모두다 동일한 바이오스입니다.
3가지를 모두 테스트해서 바이오스 플래시 업데이트를 해보았는데요
이중에서 단한번도 플래시 업데이트 진행과정이후에 컴퓨터를 재시작하겠습니다라는
문구가 나와 꺼진후에 다시 자동으로 재부팅을 시도하는데
바이오스상으로 다시 복귀하지 않고 그냥 꺼진채로 무응답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원칙적으로 F3에서 단 한번의 성공한 사례를 보면 분명 바이오스로 복귀하여서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습니다라는 메쎄지가 꼭 떠야할것으로 생각됩니다.
위사진이 뜨고난뒤에 컴퓨터가 꺼지면서 다시 재부팅을 시도합니다.
여기서 큰 문제가 있습니다. 컴퓨터가 다시 재부팅 시도를 할때가 있으며,
컴퓨터가 다시 재부팅을 시도조차 안하고 그냥 꺼져있으면서 무반응 인경우가 많습니다.
필자는 약 바이오스를 13회정도 F3 > F4 > F3 > F4를 반복 셋팅하면서
13번중에 마지막으로 딱 1번이 성공하여 다시 바이오스로 부팅되어 들어와져서
성공되었다는 메쎄지를 딱 한번 보았습니다.
그외에는 모두 위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문제는 위사진이
자동으로 바이오스 업데이틑 이후 바이오스로 진입하여 보여지는 문구가 아닌
무반응인 상태의 PC를 수차례 전원을 누르고 파워OFF끄고 잔류전원을 제거하고
나서야 파워전원을 켜야 듀얼부팅후에 진입하게됩니다.
진입후에는 위와같은 바이오스 설정화면으로 들어와지거나 또는 윈도우로 바로 부팅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였습니다.
관련지식이 부족하신분들께서는 바이오스업데이트부분에 있어서 신중하게
생각하시고 진입해보시길 바랍니다.
보드의 특징입니다
해당보드는 IO쉴드쪽에 CMOS CLEAR나 바이오스업데이트 관련 QFLASH버튼이 없는 모델입니다.
보드 하단쪽에보시면 PCI슬롯바로 밑에 하얀색 동그라미 버튼이 있습니다.
MULTI 키로 바이오스에서 검색하시면 해당부분에 대해서 설정하는 기능이 있으나
실제로 눌렀을때에 반응 동작하지는 않습니다 ^^
우측에 RESET버튼은 바이오스 CMOS 클리어하는기능인데 이또한 눌렀을때에 CMOS바이오스
값을 초기화 시키지 못하고 QLED부분 4곳에서 반응은 하나 정상 진입을 하지못합니다.
그앞에는 CMOS 클리어하는 2선의 숏트시키는 부분이 있습니다.
드라이버로 쇼트 시키면 CMOS 클리어 ㄷ되는 부분인데요 실제로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문제가 있었던 소지부분에 있어서 그래픽카드를 탈거하고 수은건전지를
빼내서 초기화 시켜서 정상적으로 바이오스에 진입하였습니다.
방열판부분을 아주 멋지게 잘만들어주셔서 수은건전지를 빼낼수 없게 디자인 설계를 한부분에
있어서 아쉬움이 큽니다.
( 사진에 이물질이 밑보이는데 저기 숏트된거 아님 저도 사진찍으면서 놀랬음 )
이부분은 진짜 수십차례를 해보았는데 딱한번정도 ? 바이오스상에서 CMOS CLEAR가 되었음
문구를 한번만 본적이 있습니다.
SSD는 항상 CPU가장 가까운 하단쪽에 사용시에 PCI EXPRESS 그래픽카드가 16X가 아닌
8X로 동작한다는 내용의 글들을 많이봤는데요
이는 CPUZ 두번째 MAINBOARD 항목탭에서 확인이 가능한부분입니다
이부분은 팩트적인 내용으론 8X로 변환되어져있어도 그래픽카드는 정상적으로
성능이 저하되는 부분이 없음을 HWBOT 3DMARK 벤치테스트 50종에서
확인하였습니다 제가 A사의 A모델에서 저기에꼽고 벤치후에 우측에 DIMM슬롯으로
옮기고 나서 50종테스트를 다시해봤는데 결과값은 이전기록을 갱신된 사례가 단한차레도
없었습니다
수직라이져, 직결장착부분에 있어서는 성능저하가 미세하게 발생되지만 SSD로 인하여
문제는 없습니다.
SSD 방열판 두곳은 모두 드라이버가 필요없이 EASY 렛지? 로 손으로 쉽게 만져주시면
방열판 전체가 탈거되는 신기술이 도입되어져 매우 편리합니다.
WIFI 안테나와 2개의 온도센서 케이블이 들어가져있습니다 메인보드에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기가바이트 G 컨넥터라는 아이템입니다.
다들 사용하시다보면 본체 케이스 전면 전원부 버튼,리셋버튼 관련하여 장착이 어려운데
설명서가 있어서 쉽게 장착할 수 있었고, 쉽게 실수로 건드려서 빠지지 않도록 잘설계까
되어져있습니다.
이부분은 앞으로 케이스업체와 상의하여 보다 편리하게 변경좀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테스트 환경입니다.
모니터는 Gigabyte Aorus FI27Q-X QHD 240HZ 모니터입니다. ^^
아주좋아요 이녀석은 단점이 없는 제품이며 3년 보증되는 녀석입니다.
QVL 리스트에있는 V-COLOR 8200XMP 램을 적용하여 MEMTESTPRO 100%테스트를 통과하였습니다.
P57 E46 U50 배수에서 LLC TURBO 1.280V 에서 TM5 10주기 통과하였습니다.
8200CL34 공식 첫 오버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 기존오버후기는 유투브에 8266,8000 CL36값이
등록되어져있습니다 )
P57 E47 U50 에서 8000CL34도 통과해보았습니다.
TREFI값은 최대치인 265143으로 공랭스팟쿨링 하고있는데도 온도가 매우 착합니다.
memtest 400% 통과한 오늘 아침 자료입니다.
MEMTESTPRO 100% 8200CL34 TCKE값을 8에서 4로 조여놓고 통과하였습니다.
이후 추가로 어제 새벽에 통과한 400%값은 추후에 수정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에서 문제가 발생된 부분이 있습니다.
보통은 XMP같은경우는 램관련 모든전압을 오토설정으로 특별히 건드릴부분이 없습니다.
이때에 HWINFO창에서 SA전압을 보시면 1.28V정도가 동작함을 알수가 있는데요
여기에서 통과한 모든값들은 보통 수동오버인값에서는 별도로 SA전압을 수동으로
직접 인가를 해줘야하는데 수동으로 SA전압값을 1.118V(SA이슈가 있는 CPU들에 한해서
최대 1.118V 8000CL34까지만 사용이 가능하며 ) 이후 사용값에서는 프리징현상으로
메모리 관련 벤치툴 동작시 AIDA64포함 모두다 프리징현상으로 화면이 멈추고 먹통이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시스템이 꺼지는 증상은 단한차례도 A사의 A보드에서 발생되지 않았음을
최초 인가한 부분입니다.
위모든 수동오버값 통과한 SA전압은 모두 AUTO설정시에만 통과가 가능하며
수동오버값은 1.120V ~ 1.13 1.14 1.15 1.16 ~ 1.30V까지 모두다 개별적으로 테스트해봤는데
정상적으로 통과가 안되며 정상으로 돌다가도 시스템이 꺼지는 현상이 100% 발생됨을
확인하였습니다.
즉 여러차례 CPU논오버상태에서도 테스트해보았으나 결과는 보드 SA전압 이상증상으로
저는 판단해보았습니다.
정상적으로 시스템이 운용이 가능한 상황에서 다음과 같이 BENCHMATE에서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7-ZIP 정상적으로 아주 점수좋게 잘동작합니다.
아래값은 CPU & 논램오버시에 측정값과 비교해보시길 바랍니다.
씨네벤치 R20 점수입니다 정상적인 범위내에서 잘 나와주었습니다.
참고로 CPU전압은 오버클럭시에 R20과 R15에서 통과되는 전압을 사용하시는게
모든 CPU관련벤치나 게임에서 팅김없이 사용가능한 전압임을 알려드립니다.
R23에서 사용하는 전압은 R15 R20대비 전압이 낮게들어가서 다른곳에서 문제가 발생됩니다.
R23 결과물은 43,059점으로 상당히 높게 잘나와주었습니다.
P57 E46 U50
싱글코어부분입니다 싱글코어는 논어보때 약 2329점보다 낮은 2249점이 나옵니다.
논오버시에는 부스트클럭이 최대 6000MHZ가 터지기때문에 차이점이 발생됩니다.
위 결과물은 8266CL34적용시 사례입니다.
10분 부하테스트시에 43,104점에서 42,426으로 하락됨을 알수 있습니다.
TDP 약 326W가 소모가 되니 1티어급 수랭쿨러에서는 충분히 사용가능한 범위내입니다.
아래는 제가 낼수 있는 최고치의 점수를 기가바이트 보드에서 측정해보았습니다.
P5900
E4700
U5300 캐쉬 1.405V에서
44,152점이 나옴을 확인하였습니다.
노뚜다 순정 CPU라서 13900KS에서는 59배수가 한계입니다.
14900K KF에서는 60배수가 순정 상태에서도 가능합니다 약 45,000점 돌파
싱글코어부분입니다 2,328점이 나옵니다.
긱벤치 3 테스트입니다 싱글 9296 , 멀티 121,395 정상적으로 나와주었으며
메모리 퍼포먼스 점수도 램클럭에 맞게 정상적으로 잘나와주었습니다.
CPU벤치 테스트중 가장 난이도가 높고 부하량이 큰 부분중 Y-CRUNCHER PI1B를 측정해보았습니다. 순정논오버상태 결과물로 약 20.724초가 기록되었습니다.
위결과물은 CPU & RAM오버클럭 결과물로 약 4초가 단축되는 결과물을 보실수 있습니다.
PASSMARK CPU~ GPU ~ MEMORY ~ SSD까지 한번에 측정이 가능한 프로그램입니다.
cpu논오버 + 8200xmp 적용시에 메모리쪽 점수를 보시면 4,121점과 38ns 레이턴시측정값을 보실수 있습니다.
cpu & ram 8200cl34적용시 값입니다.
메모리점수가 4,121 > 5,363 으로 약 30% 성능 개선이 이루어짐을 보실수 있고요
메모리 레이턴시 측정값도 38ns > 28ns 로 약 26.3% 빨라짐을 알수 있습니다.
제가 사용해본 일체형 3열수랭 1티어 수랭쿨러셋팅에선 이정도가 적당히 선택이 가능한부분이고
수랭1티어급이 아닌 제품을 사용시에는 56배수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제품에 방열판 ssd부분 이지렛지기능과 g컨넥터의 활용도가 상당히 좋았으나
아쉽게도 바이오스부분쪽은 정말 큰 개선이 이루어져야한다는 부분 많은분들이
공감하실수 있을껍니다.
그나마 유일하게 A사의 제품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8200클럭이 ( MSI Z790I EDGE가 먼저 제가 시도를 해보았지만, ) 4DIMM 슬롯부분에 있어서는 A사의 보드보다 월등한 우수성을
입증하지 않았나 생각해봅니다.
요즘은 많은 고클럭 8400, 8200XMP램들도 나와있으니 한번 구입하셔서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한부분이니 좋은 램선택하여서 사용하시면 PRO X 모델에서 큰 성능 효과를
느끼실수 있는 부부분이 될꺼 같습니다.
본 사용후기는 직접 내가주고산 제품으로 그어떠한 업체의 강요나 눈치보지 않고
작성하였음을 알려드리며
혹시 기가바이트 바이오스관련 전문 상담이 가능한 직원분께 컨택할 기회를 주시면
바이오스 개선에 좀더 이바지 할수 있는 이야기를 나누고싶습니다.
( 램오버클럭쪽 램타이밍 부분 입력란 순서좀 지켜서 나열해주셨으면 고맙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