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정부가 4차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짜면서 ‘통신비 2만원 지원’을 포함시킨 것을 두고 이동통신사 지원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통신사들이 3차 추경으로 추진되는 2100억원 규모의 학교 무선랜 구축 사업에서 지역 통신공사업체들과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중소기업 지원이라는 ‘한국판 뉴딜’ 정책의 취지를 살리려면 대기업인 통신사와 시스템통합(SI)업체들을 배제하고 지역 통신공사업체 중심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하게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통신사와 지역 통신공사업체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통신사들은 학교 무선랜 구축 사업권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 통신사는 <한겨레> 질문에 “사업 규모가 크고, 안정적인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통신사가 참여하는 게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입찰 참여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사업권을 따더라도 물량을 독식하지 않고 지역 중소기업과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른 통신사와 한 시스템통합업체 관계자도 “참여를 적극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학교 무선랜 구축사업은 전국 초·중·고에 고성능 무선랜(와이파이)을 구축해 태블릿 같은 전자교과서를 활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하는 것으로, 총사업비가 2068억원에 이른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이 교육부의 위탁을 받아 사업 진행을 주관하고 있으며, 지방조달청을 통해 11개 시·도교육청별로 사업자가 선정될 예정이다. 한국판 뉴딜 정책의 취지에 맞춰 입찰 참여자는 4개 이상의 지역 통신공사업체(솔루션 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각 업체들에 10% 이상씩 최대 40% 이상의 물량을 중소기업 쪽에 배정해야 한다. 다른 입찰 자격 조건과 시기 등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8&aid=0002512677
아무래도 이런 사업이라면 다들 군침을 흘릴만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