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는 안랩입니다.
아래는 기사내용중 일부입니다.
대체 불가 토큰이라고 불리는 NFT(Non-fungible Token)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상품들이 요즘 자주 등장하고 있다. 이 세상에 원본이 하나밖에 없는 ‘디지털 원품’이라고 할 수 있는 NFT는 동영상, 음원, 디지털 예술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게임이나 메타버스, 스포츠 등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이렇게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는 NFT가 어떻게 거래가 되고 있는지, 또 어떤 분야에 적용 가능한지에 대해 살펴본다.
NFT를 얘기할 때 가장 많이 등장하는 사례가 아래의 작품이다. 디지털 아티스트 마이크 윈켈만(예명 비플)이 2007년부터 13년 넘게 만들어낸 5000개 이미지들의 모자이크 작품인 ‘매일: 첫 5000일’(Everydays: The First 5000 days)이다. 이 작품은 세계적인 경매업체인 크리스티 경매에서 무려 6930만 달러(한화 약 785억원)에 낙찰되었다.
[그림 1] 785억에 낙찰된 NFT 작품(*이미지 출처 - 크리스티 경매 홈페이지 '매일 : 첫 5000일')
이 그림이 도대체 뭐길래 엄청난 가격에 팔린 걸까? 이 작품은 단순 이미지가 아니고 NFT가 적용된 작품이었기에 가능했다. 13년간 그림을 그려 5000개의 이미지로 만든 모자이크는 그 고유성(희소성)을 가지고 있다. NFT는 이 고유성에 ‘가치’를 더하는 역할을 했다. 원본임을 증명하고 소유권을 증명하게 해준 것이다. 쉽게 말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디지털 자산의 소유주가 누구인지를 증명하고 복제할 수 없도록 한 것이다.
블록체인은 데이터들을 체인 형태로 연결된 블록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열람하면 연결된 누구나 그 결과를 알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바로 이 블록체인을 그림이나 영상 같은 디지털 파일에 적용하면 복제가 쉬운 디지털 예술 작품에도 나만의 소유권을 붙일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NFT가 적용된 그림은 실물 그림과 똑같이 대체 불가능한 작품이 되는 것이다.
NFT는 암호화폐와는 구분된다. 대표적인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은 똑같은 코인이 2000만 개 가량 발행돼 유통되고 있지만 NFT는 이 세상에 원본이 하나밖에 없는 ‘디지털 원품’이다. NFT마다 고유값을 갖고 있어 서로가 서로를 대체할 수 없다.
* 전체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