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는 안랩입니다.
사용자가 노트북이나 휴대폰을 바꾸는 이유 중 하나가 배터리 수명 때문이다. IT 기기를 오래 사용할수록 배터리 수명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배터리 수명은 기기나 크기, 용량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2~3년 정도이다. 그런데 배터리 수명을 조금이라도 더 연장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번 글에서는 효과적인 배터리 수명 관리를 위한 노하우를 소개한다.

배터리 성능을 따지려면 배터리 사이클을 먼저 알아야 한다. 배터리 사이클은 총 용량만큼 충전한 횟수로, 방전된 배터리를 100%로 충전한 것을 1사이클이라고 한다. 이 사이클을 기반으로 배터리 수명이 얼마나 남았는지 짐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사이클이 500회 이상이면 배터리 수명이 80% 이하로 떨어질 수 있어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이 좋다.
효율적인 배터리 관리법
무엇보다도 기기의 사용 횟수를 줄이는 것이 배터리 수명을 늘리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기기를 사용하고 충전을 반복하다 보면 배터리 수명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스마트폰의 경우 백그라운드 앱(Background App)이 너무 많거나 다양한 기능을 자주 사용하면 배터리가 빠르게 닳는다. 따라서 불필요한 기능과 앱은 비활성화 또는 삭제해야 한다.
또한, 기기에 충전기를 꽂은 상태에서 게임 또는 고사양 작업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렇지 않으면 배터리 온도가 높아지고 성능이 저하된다. 배터리의 최적 온도 범위는 16~22°C로, 기기가 35°C 이상에 노출되면 배터리 용량이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한때 배터리를 냉동실에 보관하면 수명이 늘어난다는 소문도 있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배터리 잔량은 30~80% 사이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리튬 배터리의 특성상 방전과 과충전이 배터리 상태를 크게 좌우하기 때문에, 충전을 수시로 해야 한다. 다만, 기기가 꺼진 상태에서 과충전을 하면 배터리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고, 방전된 상태로 오랜 시간 동안 방치하면 배터리가 영구적으로 손상돼 용량이 줄어든다. 따라서 100% 이상으로 충전해서도, 잔량이 0%인 상태로 계속 내버려 둬서도 안 된다.
전체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