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가 전기차 전반에 걸친 생태계를 구축하여 전치가 초기 비용 부담을 줄여 흔히 반값 전기차라고 하는 순환 체계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합니다.
전기차 가격에서 가장 영향이 큰 부분이 바로 배터리 입니다.
그래서 전기차 구매 시 초기 구매가에서 이 배터리 가격 부담을 줄여서 자동차 구매 가격을 낮추는 효과를 거두기 위해, 산자부와 여러 관련 기어블과 '배터리 대여 및 사용후 배터리 활용 실증 사업'에 대한 MOU를 맺고 추진한다고 하네요.
이게 무슨 얘기나면 택시를 전기차로 구매할 때 구매와 동시에 배터리 소유권을 리스사에 매각하고, 전기 택시 운행 기간 동안 월 단위로 배터리 리스비를 지급하는 방식이라 차량 구매 시 배터리 가격을 뺄 수 있어 그만큼 구매가를 낮추는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거기다 지자체 보조금까지 더하면 진짜 반값 전기차가 되는거죠.
여기에 전기 택시에 사용한 배터리는 새 배터리로 교체 시점에서 교체하고 나온 사용 후 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 일명 ESS로 만들어 전기차 급속 충전 시스템에 활용한다는 겁니다.
이러한 전반의 전기차 순환 체계에 대한 실증 사업을 추진한다는건데 이 전기차 순환 생태계가 좋은 성과를 거두고 그 과정에서 들어나는 문제점은 보완하고, 이런 방식이 실제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형태로 관련 법제도도 정비해서 전기차 보급과 확산에 기여할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그에 따라 택시를 넘어 민간이나 기업 업무용까지 전기차 전 부분으로 확대해 주면 좋을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