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의 컴퓨터 구입 예정이라 M.2 소켓과 관련해서 문의합니다.
질문1) M.2 소켓 KEY 규격 및 지원이 어떻게 되나요?
이 제품 상품 설명 이미지에 보면
메인보드 소켓 2곳에 Ultra M.2 로 표시되어 있고, M.2 WiFi (Key E 슬롯) 이라고 쓰여 있습니다.
실제 보드 이미지 각 소켓 부분에는 M.2 WiFi / Ultra M.2 라고 라벨이 인쇄되어 있네요.
이 제품 영문 메뉴얼을 보니
소켓 2곳 모두에 supports M Key type 라고 쓰여 있는것 같습니다. ^^;;
M.2 소켓이 Key 타입이 여러 종류여서, 다른 타입의 제품은 꼽을 수 없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PM981 M.2 NVMe 등
PCIe3.0x4 (NVMe) 제품은 보통 M Key 타입인것 같은데요?
이 제품은 일부 M.2 소켓이 (Key E 슬롯)이라고도 쓰여있기도 하고 좀 헷갈리네요.
PCle Gen3x4 지원 한다고 쓰여 있던데 PCIe3.0x4 (NVMe) 규격과 동의어 아닌가요?
예를들어,
슬롯 2개 모두에 위의 삼성전자 PCIe3.0x4 (NVMe) 타입을 장착 & 정상지원 가능한가요?
아니면 별도의 M Key 어댑터 등을 사용해야 하는것인가요?
질문2)
이 제품 Ultra M.2 Socket 에 PCIe Gen3 x 4 & SATA M.2 모듈 지원 이라고 쓰여 있던데요.
요즘에는 M.2 슬롯 하나로 다양한 대역폭(규격)을 지원되는 것 같습니다?
AMD 쪽 칩셋 보급형 메인보드인가의 바이오스 설정 예시 동영상을 보았는데.
바이오스 상에서 M.2 Socket 의 소켓 대역폭을 PCIe3.0x4 <> PCIe3.0x2 상호간에 낮춘다든지
제품에 따라 수동으로 PCIe3.0 <> SATA 등의 설정을 하는게 가능하던데요.
이 제품도 바이오스에서 원한다면 소켓의 대역폭을 기본 최대치 PCIe3.0x4 가 아닌 PCIe3.0x2 와 같이 별도로 조정한다든지. 제품 인식이 PCIe, SATA 어느것으로 인식되었는지 등은 최소한 지원하겠죠?
질문3)
이 제품의 메뉴얼을 확인해 보면 M.2 Socket 에 PCIe 제품 등을 연결시에,
일반 하드디스크, SSD 등을 장착하는데 사용하는 SATA3 포트 일부가 비활성화 된다고 쓰여있습니다. 물론, 대역폭 때문이겠죠.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M.2 Socket 슬롯 2군데를 모두 사용시, 비활성화되는 SATA3 포트가 있을텐데.
그러면 남아있는 다른 SATA3 포트에는 정상적으로 하드디스크나 ODD 같은걸 사용은 가능하다는 의미이죠?? 2군데 모두 사용시 남아서 활용할 수 있는 SATA3 포트는 몇개가 최대인가요?
질문은 3가지 입니다. 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