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앱코는 코레일유통과 스마트폰 무인 충전 및 보조배터리 대여 자판기 '모바일타워'의 서비스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서울역과 용산역을 비롯한 전국 역사로 모바일타워 설치를 확장해나가게 되었다라고 밝혔다. 이는 역을 이용하는 승객을 대상으로 동대구역과 부산역에서 2016년 이후 1년 6개월의 시범운용 끝에 시스템 안정성과 필요성이 입증된 결과다.
앱코의 모바일타워는 간편하고 편리한 무인 키오스크 형태로, 24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다수의 이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무인 스마트폰 충전 및 보조배터리 대여 시스템이다.
이번에 신규로 앱코의 모바일타워가 설치되는 역은 고속열차 기차역인 서울역(2곳), 용산역, 청량리역(8월말), 광명역과 전철/기차역인 수원역, 평택역, 오산역, 평촌역, 금정역, 범계역, 관악역, 석수역, 안양역, 산본역까지 15개소로, 기존에 이미 설치 운영중인 동대구역(2곳), 부산역, 울산역, 광주송정역, 순천역, 여수엑스포역, 영등포역의 8개소를 포함하면 총 23개소의 기차역에서 앱코의 모바일타워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모바일타워 신설이 반가운 점은 가장 많은 여행객들이 찾는 서울역과 용산역에 모바일타워 시스템이 설치됨에 따라, 여행객들이 서울역에서'모바일타워'의 보조배터리를 대여해 열차에서 사용 후 부산역이나 광주송정역 등 도착역에서 반납하는, 말 그대로 기차 선로망을 이용한 전국규모 충전.보조배터리 공유경제서비스의 큰틀이 마련되었다는 점이다. 다가오는 추석연휴 기간 고향 방문할 때에 모바일타워의 보조배터리 대여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은 여행객들에게 큰 편리함으로 느껴질 수 있는 부분이다.
앱코의 모바일타워 시스템은 이번 추가 주요 기차역 설치외에 현재 제주를 포함 전국 각지 70여개소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역시 최근 입점된 CGV영화관 등 이용자의 주거지와 인접한 곳에의 추가적인 설치도 계속되고 있다. 즉, 중앙에서 원격통제 및 운용이 가능한 전국단위 '모바일타워'의 인프라와 전국 규모의 기차 선로망을 연계하면 다음과 같은 활용도 가능하다는 얘기가 된다. 여수엑스포역에서 배터리를 대여한 후 여행에서 돌아와 집근처 쇼핑몰에 설치된 모바일타워 시스템에 반납하거나, 부산역에서 대여한 배터리를 서울 도착지인 예술의전당 혹은, 서울대병원(분당) 등에서 반납하거나 하는 식의 이용이다.
앱코 손석우 상무는 "현대인들이 손에서 놓지 못하는 스마트폰은 늘 배터리 부족현상이 발생하므로, 장소불문하고 편리하게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으면 좋겠다"면서 "코레일유통과 협의해 전국적으로 모바일타워 설치 역사를 지속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기사 제보 및 문의 news@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