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공개된 PV5 슈필라움. (기아)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기아가 LG전자와 함께 차량 공간의 개념을 다시 쓴다. 양사는 3일 개막한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PBV(차량 그 이상의 플랫폼) 기반의 신개념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PV5 슈필라움’을 공개하고, 미래형 생활차 시장을 향한 협업의 포문을 열었다.
이날 협약식에는 기아 국내사업본부장 정원정 부사장과 LG전자 HS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이 참석해, 양사 간 기술 및 비즈니스 전략을 공유했다.
2025 서울모빌리티쇼 기아관에서 진행된 ‘기아 PBV 기반 LG전자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구현 비즈니스 업무 협약’ 체결식에서 (왼쪽부터) 기아 국내사업본부 정원정 부사장, LG전자 HS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기아)
기아 전시관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된 두 종의 콘셉트카는 공간 경험 중심의 PBV 활용 가능성을 현실로 보여준다. 독일어로 ‘놀이 공간’을 뜻하는 ‘슈필라움’은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이동 중 업무·휴식·생활이 가능한 모빌리티를 지향한다.
이날 선 보인 슈필라움 스튜디오 1인 비즈니스 고객을 위한 모바일 오피스 콘셉트로, PV5 내부에 맞춤형 스타일러, 스마트미러, 커피머신 등이 탑재된다. AI가 사용자의 스케줄과 이동시간을 고려해 고려해 스타일링 코스를 제안하는 등 능동적인 비서 역할도 수행한다.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공개된 PV5 슈필라움. (기아)
슈필라움 글로우캐빈은 차크닉 수요를 겨냥한 야외 라이프 특화 모델이다. 냉장고, 광파오븐, 와인셀러를 기본 탑재하고, 가전 도어에 LED 무드 조명 기능을 더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기아와 LG전자는 내년 하반기 PV5 슈필라움의 시장 진출을 목표로 기술 협력을 본격화한다. 양사는 가전과 차량의 통합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고, 다양한 스마트 가전과 AI 기반 솔루션을 PBV에 접목해 고객 경험을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가전제품 원격 제어 기능과 함께 상황 기반 자동화 서비스도 개발해, 고객이 언제 어디서든 개인화된 모빌리티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공개된 PV5 슈필라움. (기아)
정원정 기아 국내사업본부장은 “자동차와 가전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형태의 생활공간을 선보이게 됐다”며 “LG전자와의 협력은 PBV의 본질적 가치를 구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류재철 LG전자 HS사업본부장은 “이번 협업은 LG전자의 AI 기반 공간 솔루션을 집을 넘어 모빌리티로 확장하는 계기”라며 “앞으로 고객이 머무는 모든 공간에서 새로운 일상을 창조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