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정부가 자국 자동차 산업 보호를 위해 전기차(EV) 생산 의무를 완화하고, 하이브리드차(H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의 신차 판매 금지 시점을 2035년으로 연기하기로 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예고한 자동차 추가 관세 정책에 따른 대응 조치다.
스타머 총리는 6일 발표한 성명을 통해, “글로벌 무역 환경이 급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영국 경제 재편의 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다만 휘발유 및 디젤 차량에 대한 신차 판매 금지는 기존 계획대로 2030년부터 시행된다. 이번 조치로 영국 자동차 업계는 전동화 전환의 유연성을 확보하게 되었지만, 탈내연기관 정책에 혼선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맥라렌, 애스턴마틴 등 소규모 고급차 제조사는 EV 판매 의무 대상에서 면제되며, 영국 특유의 슈퍼카 제조 생태계를 보호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조치로 해석된다.
영국 자동차 업계는 고급차를 중심으로 미국 수출 비중이 높다. 2023년 기준 영국산 차량의 대미 수출은 약 100만 대, 금액으로는 76억 파운드(약 98억 달러)에 달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강화 움직임은 수출 주도형 제조업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영국자동차정책 #전기차의무화 #하이브리드판매금지 #스타머총리 #EV정책완화 #트럼프관세 #수출규제대응 #영국자동차수출 #맥라렌 #애스턴마틴 #영국정책변화 #2035하이브리드금지 #자동차산업재편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