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수입차에 대한 25% 추가 관세 부과가 글로벌 자동차 산업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고율의 관세는 미국 시장에 진출한 자동차 제조업체들에게 가격 인상, 마진 축소, 생산 공장 이전 등 다양한 선택을 강요하고 있다.
관세 발효 전,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미국 내 재고를 확보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으며, 현대차를 비롯한 여러 업체들이 선적량을 늘려 관세의 충격을 최소화하려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인 방편에 불과하며, 장기적인 관세 정책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는 없다.
관세가 장기화될 경우, 자동차 업계는 가격 인상과 마진 축소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관세 비용이 소비자에게 전가될 경우,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이 최대 1만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이러한 가격 인상을 수용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이는 양산 브랜드뿐만 아니라 프리미엄 브랜드에도 영향을 미친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내 제조업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관세를 부과했지만, 이러한 정책이 실제로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될지는 의문이다. 딜로이트는 기업들이 미국 내 생산 비용과 관세 부담을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전략을 선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대차와 스텔란티스는 미국 내 공장 신설 또는 재개를 검토하고 있지만, 이는 수년이 소요될 장기적인 계획이다. 또한, 전기차 전환이라는 시대적 흐름과 함께 공급망 재편이라는 과제도 안고 있다.
유럽과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약화와 자국 내 노동력 감축이라는 이중고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딜로이트는 이들이 "트럼프의 게임에 동참하는"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자동차 업계는 불확실성 속에서 생존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효율적인 재고 관리와 가격 정책을 통해 관세 충격을 최소화하고, 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생산 확대, 공급망 재편, 전기차 전환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트럼프관세 #수입차관세 #미국자동차시장 #글로벌자동차산업 #가격인상 #마진축소 #공장이전 #미국내생산 #공급망재편 #전기차전환 #자동차업계불확실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