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9일(현지시간), 일부 국가 및 지역을 대상으로 한 2단계 상호 관세 인상 조치를 90일간 유예한다고 전격 발표했다. 이는 강경한 관세 정책을 유지해온 기존 기조에서 한 발 물러선 조치로, 로이터와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은 “정책 발표 13시간 만에 급선회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75개국 이상이 무역 장벽, 관세, 환율 조작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을 요구하고 있다”며 정책 변화의 배경을 설명했다.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 증시가 급락하는 상황에서, 미국 정부가 유예 조치를 통해 주요 무역 상대국에 압박을 가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번 발표로 4월 5일부터 시행된 10% 균일 관세는 그대로 유지되지만, 추가적인 관세 인상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점에서 시장은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중국은 이에 즉각 반발하며 자국의 보복 관세를 최대 125%까지 인상하겠다는 방침을 시사했다. 미중 간 갈등이 더욱 격화될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양국 간의 무역전쟁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이번 유예 조치가 일시적인 유화 제스처에 불과하며, 미국 정부가 필요 시 언제든지 다시 강경 노선으로 회귀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목재 등 핵심 산업 품목에 대한 기존 관세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어, 관련 업계의 불확실성은 지속될 전망이다.
미국의 이번 정책 변화는 글로벌 무역 질서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향후 90일간의 협상 결과에 따라 국제 통상 질서는 물론, 각국의 경제 정책 방향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관세유예 #미국무역정책 #미중무역갈등 #관세인상 #글로벌무역질서 #자동차관세 #환율조작 #철강알루미늄관세 #트럼프대통령정책전환 #90일유예조치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