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모비스가 배터리 화재 사고의 핵심 원인인 열폭주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고도화된 배터리 소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된 기술은 배터리셀에서 발화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소화 약제를 분사해 인접 셀로의 열 전이를 차단하고 화재를 즉시 진압할 수 있도록 설계된 첨단 시스템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수준의 선제적 안전기술로 평가된다.
이번 기술은 배터리시스템 통합모듈(BSA: Battery System Assembly) 내에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소화장치, ▲배터리 케이스, ▲제어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구조다. 특히, BMS는 실시간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터리 내부의 온도, 전압, 압력 등의 변화를 감지해 발화 징후를 탐지하고, 이에 따라 소화장치에 작동 명령을 내리는 역할을 한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일반 가정용 소화기(3.3kg)의 5배에 달하는 소화 약제를 내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해당 약제는 냉각 및 절연, 침투 능력이 뛰어나면서도 인체와 환경에 무해한 성분으로 구성됐다. 또한, 소화약제 분사를 위한 고압 배관 기술과 분사 설계 기술 등 핵심 기술 3건에 대해 국내외 특허 출원도 완료한 상태다.
현대모비스는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도 신뢰성을 높였다. 고신뢰성 판단 로직에 다중 안전장치와 이중화 알고리즘을 적용해 발화 시 빠르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했다.
박용준 현대모비스 배터리시스템연구실 상무는 “주행거리가 긴 대형 전기차가 확산되면서 배터리 안전 기준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며 “글로벌 기준을 상회하는 수준의 통합형 고도화 배터리시스템을 지속 개발해 시장에 공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지난해에도 ‘진동형 히트파이프’ 기반의 신소재를 개발해, 급속충전 시 발생하는 과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 관리 기술로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현대모비스 #전기차화재 #배터리열폭주 #전기차안전 #BSA #배터리소화장치 #EV배터리기술 #배터리안전기준 #열관리시스템 #친환경소화기술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