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승용차 협회가 중국 자동차가 미국의 관세 영향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산 자동차의 미국 직접 수출량이 제한적이고, 미국 시장 내 중국 브랜드 판매가 미미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중국 자동차의 강력한 성장 잠재력을 다른 시장에서 강조하며, 특히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관련 지역 및 남반구 지역에서의 파트너십 강화를 촉구했다. 협회는 해당 시장의 열악한 인프라를 고려할 때 소형 전기차 보급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현재 BRI를 발전시키려는 중국의 노력은 결실을 맺고 있으며, 이 지역에서는 자동차 수요가 높다. 가솔린 동력 중국 자동차는 수출 증가를 통해 상당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은 비용 효율성과 에너지 효율성으로 인해 큰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4년 중국의 미국 자동차 수출량은 11만 6,138대로, 전체 수출량의 1.81%에 불과했다.
반면, 미국이 부과한 '상호 관세'는 유럽, 일본, 한국 자동차 제조업체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화타이증권은 미국의 25% 추가 관세가 2025년 일본, 한국, 독일 자동차의 대미 수출량에 각각 약 27만 대, 20만 대, 16만 대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했다. 더불어 미국의 관세 정책이 중국과 다른 국가 및 지역 간의 협력을 간접적으로 촉진하여 중국 자동차 기업들이 EU와 동남아시아에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중국과 유럽은 전기차 보조금 지급 반대 사례에 대한 가격 약속 협상을 재개하여 중국과 유럽 기업 간의 투자 및 산업 협력을 위한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하기로 합의했다.
중국 승용차협회는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의 입지가 미미하기 때문에 무역 갈등이 중국 브랜드 차량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최소화될 것"이라며 "특히 자동차 산업 기반이 취약한 국가에서는 현지화된 제품이 환영받고 있어 중국 브랜드의 해외 진출 기회가 많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