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이 글로벌 철강 및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 경쟁력 강화를 위한 포괄적 협력에 나선다.
현대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은 4월 21일 서울 강남구 현대차 강남대로 사옥에서 한석원 현대차그룹 부사장(기획조정본부장)과 이주태 포스코홀딩스 사장(미래전략본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철강 및 이차전지 소재 분야 포괄적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현대차그룹은 핵심 원자재의 안정적 공급 기반을 구축하여 글로벌 주요 시장 및 미래 신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포스코그룹은 북미 시장 진출과 함께 고품질 소재 공급기업으로서 입지를 확장할 계획이다.
양사는 철강 분야에서 급변하는 글로벌 통상 환경 대응 및 탄소저감 철강생산 전환을 위한 다양한 협력을 추진한다. 특히 포스코그룹은 현대차그룹이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건설하는 전기로 제철소에 지분 투자 및 일부 생산 물량 직접 판매를 검토하고 있다.
총 58억 달러가 투입되는 루이지애나 제철소는 원료부터 제품까지 일관 공정을 갖춘 자동차 강판 특화 설비로, 고로 대비 탄소 배출을 줄이면서 고품질 강판을 생산할 수 있다. 완공 후에는 연간 270만 톤 규모의 열연 및 냉연 강판 생산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현대차그룹은 현대차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기아 조지아 공장 등 미국 주요 생산 거점에 고품질 강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며, 포스코그룹은 북미 시장 교두보를 확보하게 된다.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도 양사는 협력을 강화한다. 현대차그룹은 2030년까지 연간 326만 대 전기차 판매를 목표로 글로벌 전동화 리더십을 확고히 다질 계획이며, 이를 위해 이차전지 핵심 소재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해외 염호 및 광산 투자 등을 통해 리튬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외에서 수산화리튬 및 양∙음극재를 생산하고 있다. 양사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는 상황에서 리튬과 음극재 등 이차전지 핵심 소재의 다변화된 공급망 확보를 모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미국 및 유럽연합의 공급망 재편과 무역 규제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양사는 차세대 소재 개발 등 시너지 창출이 가능한 분야로 협력 범위를 넓힐 예정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포스코그룹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글로벌 사업 기회를 확대하고,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지속가능한 성장 및 전동화 리더십 확보 기반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그룹 #포스코그룹 #철강산업 #이차전지소재 #전기차배터리 #루이지애나제철소 #모빌리티혁신 #글로벌공급망 #리튬확보 #전동화전략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