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 기아, 현대모비스가 이사회 거버넌스 강화를 위해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각 사는 이달 정기 이사회에서 제도 도입을 승인하고, 초대 선임사외이사로 심달훈 사외이사(현대차), 조화순 사외이사(기아), 김화진 사외이사(현대모비스)를 각각 선임했다.
선임사외이사 제도는 사외이사의 대표를 선출하여 권한과 역할을 강화하는 것으로, 3사는 경영 투명성을 높이고 이사회의 균형 잡힌 결정을 위해 자발적으로 도입했다. 선임사외이사는 사외이사 회의 소집 및 주재, 경영진 보고 요청, 의견 전달, 주주 소통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3사는 선임사외이사 제도의 실효성을 위해 사외이사 전원으로 구성된 ‘사외이사회’를 신설, 이사회 안건을 사전 검토하고 논의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보수위원회와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을 확대하여 위원회의 독립성을 강화했다. 보수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 체제로,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사내이사 1인을 제외한 모두 사외이사로 구성된다.
한편, 3사는 주주가치 제고 및 이사회 전문성 강화를 위해 주주추천 사외이사 선임 제도 운영, 이사회 산하 위원회 위원장 전원 사외이사 임명, 이사 선임 시 다양성 및 전문성 확보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특히 현대차는 최근 경영인 출신 3인을 신임 사외이사로 선임하여 이사회의 경영 전문성을 한층 강화했다.
이번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과 잇따른 이사회 제도 개선을 통해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더욱 투명하고 독립적인 경영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