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게임산업은 2023년 정점을 맞은 이후 둔화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도 둔화하고 있으며, 질병코드 등 산업에 위기 신호가 있다. 지금은 산업에 진흥이 필요한 시점이며, 협회도 공격적으로 진흥책을 끌어내기 위해 노력할 것이며, 게임산업과 회원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일을 해 나갈 것이다."

이는 29일 조영기 한국게임산업협회 신임 협회장이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열린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꺼낸 말이다.
우리나라 게임산업은 현재 세계 4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상황이다. 세계 3위인 일본과도 격차가 적어, 세계 톱3에 등극하는 것도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그리고 잘 알려진 것처럼 우리나라 콘텐츠 수출에서는 게임이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민 10명 중 6명이 게임 이용자일 정도로 남녀노소 구분이 없는 여가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상황에도 불구하고 위기라는 신호가 산업 안팎으로 있다. 지난 30년간 고공행진해온 산업 규모는 2023년 이후 둔화되고 있고, 투자 환경도 위축됐다. 국내는 물론 글로벌 게임 시장도 둔화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질병코드 이슈도 있다.
이러한 쉽지 않은 상황에서 게임산업협회 수장으로 자리한 조영기 협회장은 크게 세 가지 키워드를 앞세워 협회를 이끌어 가겠다는 계획이다.
첫 번째 키워드는 '연결'이다. 기업과 젊은 인재를 연결하는 일을 협회가 맡는다. 또 젊은 기업과 메이저 게임사 간의 연결도 도와 젊은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젊은 기업들의 DB화 등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업 간 연결을 통해 국내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더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생각이다.
두 번째 키워드는 '소통'이다. 회원사 간 소통에 집중해 공통으로 필요한 부분을 찾고, 이용자와도 활발한 소통을 진행하며, 지스타도 명실상부한 글로벌 게임쇼로 만들어 가겠다는 의지가 있다. 지스타의 경우 해외 게임사를 많이 초청하려고 하고 있으며, G-CON에 유명 인사를 초청하는 등 지스타를 더 많은 사람들이 즐길 수 있도록 노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마지막 세 번째 키워드는 '협력'이다. 정부 기관이나 국회, 학계, 언론 등 다양한 기관이나 단체와 협력해 게임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아울러 현장에서는 게임 질병코드 이슈에 어떻게 대응할지, 현재 법적인 체계가 산업에 맞지 않는 실정 등과 관련한 이야기도 나왔다.

조 협회장은 질병코드 문제의 경우 WHO의 ICD-11에서 게임이 빠질 수 있도록 글로벌 협단체들과 협력할 계획이며, 협회 차원에서 진흥책을 공격적으로 선제안해 나아갈 예정이다. 여기에 수출 세제 지원과 개발 직군에 대한 유연 근무제 확대 등 산업에 필요한 일도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