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가 29일(현지 시간) 개막한 영국 상용차 전시회에서 자사의 첫 목적기반차 PV5를 공개하고 유럽 상용차 시장 공략을 위한 본격 행보에 나섰다. (기아)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기아가 독일, 프랑스에 이어 유럽 3대 상용차 시장으로 불리는 영국에서 자사의 첫 전용 목적 기반 차량(PBV) 'PV5'를 공개하고 유럽 상용차 시장 진출을 공식 선언했다. PV5는 기아의 글로벌 PBV 전략 중 첫 번째 양산 모델이다.
기아는 영국 내에서만 50개 이상의 PBV 전용 센터를 2025년 4분기부터 가동하고, 2026년까지 총 60개로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이 센터들은 판매부터 정비, 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전담하는 전용 시설로, 기아는 기존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상용차 고객 전용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현지 시간 29일 개막한 2025 영국 상용차 전시회(Commercial Vehicle Show, CV Show)에서 공개된 기아 PV5는 E-GMP.S 전기차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된 완전 전기 상용차다. 화물 중심의 'PV5 카고'와 승객 운송용 'PV5 패신저' 두 가지 형태로 출시되며, 화물용 모델은 최대 5.17㎥ 적재공간과 790㎏ 탑재 중량을 갖췄다.
(기아)
2종의 배터리 사양(51.5kWh, 71.2kWh)을 제공하며, 주행거리는 각각 최대 181마일(약 291㎞), 247마일(약 397㎞)까지 가능하다. 150kW 급속 DC 충전과 11kW AC 충전 모두 기본 탑재되며, 10~80% 충전까지 30분 이내로 완료된다.
영국 현지에서 PV5 카고의 시작가는 £2만 7645(약 5316만 원)이며 정부 전기밴 보조금 £5000(약 960만 원)을 받을 수 있다. 패신저 모델은 £3만 2995부터 시작되며, 향후 5인승 및 7인승 옵션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기아는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WAV(Wheelchair Accessible Vehicle) 버전도 공장 출고형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기아)
기아는 향후 PV5를 기반으로 한 연간 3~4000대 수준의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연간 1만 7000대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 영국 시장 진출은 단순한 신차 발표를 넘어, 유럽 상용차 시장에서 기아의 존재감을 확장하기 위한 교두보를 구축했다는 전략적 의미를 가진다.
기아는 PV5 이후 2027년에는 대형 상용 PBV 'PV7', 2029년에는 초대형 'PV9'를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모든 PBV 모델은 연간 15만 대 생산 능력을 갖춘 경기도 화성의 신공장 'Hwaseong EVO 플랜트'에서 생산된다.
(기아)
한편 기아는 1962년 3륜 트럭 'K-360'을 시작으로 상용차 분야에 진출했으며, 이후 브리사 픽업(1974), 봉고 트럭(1980)을 통해 상용차 역사를 쌓아왔다. 봉고는 전동화 모델로 진화해 현재까지도 생산되고 있으며, 이번 PV5는 기아 상용차 라인의 전동화 전환을 의미하는 상징적인 모델이다.
기아 영국 법인 폴 필폿(Paul Philpott) CEO는 “기아가 30여 년 전 영국 승용차 시장에 진출했을 때처럼, 이번 PBV 출시도 또 하나의 도약이 될 것”이라며 “전용 PBV 센터와 함께 상용차 고객 맞춤 지원을 제공하고, 영국 전역의 사업자와 파트너십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