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4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예측 불허한 관세 부과 조치가 글로벌 무역 구조에 거대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미국의 경제 정책은 이제 중국뿐만 아니라 동맹국에까지 전방위적인 관세 장벽을 세우며 사실상 경제적 고립으로 치닫는 모양새다.
이에 따라 세계 무역 시스템은 다시금 블록 경제라는 어두운 그림자 속으로 회귀하고 있다. 역관세라는 극단적인 조치를 취하는 나라도 있다. 미국과 가까운 일본은 자제하고 있지만, 일본 자동차 업계는 핵심 시장인 미국, 유럽, 중국 접근에 어려움을 겪으며 수출 중심 성장 모델의 근본적인 한계에 직면했다. 공급망 붕괴, 관세 인상, 국제 물류 제한이라는 삼중고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제조업체들에게 혹독한 경영 환경을 예고하고 있다.
격변하는 지정학적 환경 속에서 자동차 산업의 구조조정 속도는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진행될 전망이다. 과거의 성공 방정식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명확한 방증이다. 그 위기 국면을 타개하고 생존을 모색하기 위한 자동차 산업 재편의 핵심 규칙에 대해 니케이오토모티브는 미래차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한 투자 역량 강화, 중국 의존성 탈피 및 기술 자립, 차량 모델과 판매 지역 간의 상호보완성 극대화, 플랫폼 완전 표준화를 기반으로 한 협력 및 현지 생산 체계 강화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중 중국 의존성 탈피라는 점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 대안이 당장에는 없다는 것이다. 유럽과 미국은 성장이 정체된 상태다. 아세안과 남미도 중국이 장악해 가고 있다. 급성장하고 있는 인도는 그나마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차종이 소형에 집중되어 있어 수익성을 올리기에는 당장에는 한계가 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