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에서 전기차로의 급격한 전환을 놓고 환경 단체와 자동차 제조업체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EU는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 2035년까지 모든 신차의 CO2 배출량을 '0'으로 규정하는 등 강력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자동차 업계는 막대한 비용 부담과 소비자들의 더딘 수용으로 인해 목표 달성이 불가능하다며 반발하고 있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유럽연합과 영국은 2030년까지 신차 판매의 약 80%를 전기차로 전환한다는 목표를 설정했지만, 실현 가능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투자 리서치 회사 번스타인 리서치는 최근 보고서에서 정부 보조금에도 불구하고 유럽 소비자들의 전기차 구매 의향이 낮아 판매가 정체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높은 가격, 짧은 주행 거리, 충전 편의성 부족 등이 주요 장벽으로 지적된다.
유럽연합은 자동차 제조업체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막대한 벌금을 부과할 수 있어 업계의 우려가 더욱 크다. 이에 자동차 업계와 정치권 일각에서는 기술 중립성을 강조하며 목표 완화 또는 폐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들은 급격한 전환이 실업과 경제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는 반면, 환경 단체는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한 EU의 강력한 정책 유지를 촉구하고 있다
번스타인 리서치는 2035년까지 전기차 100% 보급 목표 달성은 경제성과 인프라 부족으로 어렵다고 전망하며, 2030년 전기차 판매 비중을 49%, 2040년에는 75%로 예측했다. 다른 연구 기관들의 전망치도 이와 비슷하거나 더 낮은 수준이다.
다만, 독일 데이터포스는 EU가 규제를 완화할 경우 2030년 전기차 점유율이 50.3%에 달할 것으로 다소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반면, 중국에서는 저렴한 전기차가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으며, BYD 등 중국 업체들이 유럽 시장에도 저가 전기차 출시를 준비하고 있어 유럽 자동차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데이터포스의 애널리스트는 충전 인프라 부족을 지적하며 전기차 성공이 예상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EU가 자동차 업계의 반발과 더딘 전기차 보급 속도를 고려하여 탄소 배출 규제 목표를 완화하거나 하이브리드 차량의 역할을 확대하는 등 정책 변화를 모색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환경 단체들은 이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지만, 경제적 부담과 산업 경쟁력 약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어 EU의 향후 정책 방향에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