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상무부는 7월 17일(현지시간), 중국산 전기차(EV) 배터리용 핵심 소재인 양극재급 흑연(anode-grade graphite)에 대해 93.5%의 잠정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중국 기업들이 미국 내 시장에서 해당 제품을 부당하게 낮은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대상 품목은 탄소 함량이 90% 이상인 양극재용 흑연으로, 합성 흑연(synthetic graphite), 천연 흑연(natural graphite), 또는 두 종류의 혼합물을 모두 포함한다.
앞서 지난 5월, 미 상무부는 중국산 양극재 흑연에 대한 보조금 지급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대부분의 생산업체에 6.55%의 잠정 상계 관세(countervailing duty)를 부과했다. 그러나 일부 기업에 대해서는 보조금 규모가 과도하다고 판단, 700%를 넘는 높은 세율을 적용하기도 했다.
이번 반덤핑 관세는 미국 내 전기차 산업 보호와 공정 경쟁을 위한 조치로 풀이되며, 2024년 12월 5일까지 최종 관세 수준이 확정될 예정이다.
이번 발표는 미국이 배터리 핵심 소재 공급망에서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북미산 또는 FTA 체결국산 부품 및 원재료 사용을 조건으로 전기차 세액공제를 제공하는 등, 전기차 제조의 지역 내 공급망 구축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조치로 인해 글로벌 배터리 산업 전반에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중국은 현재 세계 흑연 생산량의 6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용 양극재 분야에서는 압도적인 공급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세 부과로 인해 미국 내 배터리 제조 비용 상승, 공급 지연, 대체 공급처 확보 경쟁 등이 현실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단기적으로는 미국 배터리 제조업체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캐나다, 호주, 아프리카 등 친미 성향 국가와의 협력을 통한 공급망 다변화를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