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보자동차가 플래그십 SUV XC90 3세대 완전변경모델을 선보일 전망이다(출처: 볼보 2세대 부분변경 XC90)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이달 초 2세대 두 번째 부분변경모델로 국내 시장에도 출시된 볼보자동차의 플래그십 SUV 'XC90'이 당초 예상과 달리 3세대 완전변경모델로 진화를 거듭할 전망이다.
XC90은 전기차 버전의 EX90이 글로벌 시장에 공개되며 자연스럽게 단종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상됐으나 지난 몇 년간 전기차 수요 급감에 따라 볼보는 일부 내연기관 모델의 수명을 연장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해당 소식은 최근 투자자들과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볼보 CEO 하칸 사무엘손이 직접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르면 사무엘손 CEO는 신형 XC90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현세대 모델이 시장에 출시된 지 10년 이상 됐으며 신모델의 구체적 출시일을 밝히지 않았지만 몇 가지 단서를 제공했다.
볼보는 3세대 XC90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에 기존보다 용량을 증대한 배터리를 탑재할 전망이다(출처: 볼보 2세대 부분변경 XC90)
곧 출시될 신형 XC90은 가까운 시일 내 중국 시장에 출시 예정인 XC70과 유사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탑재할 전망으로 사무엘손은 "유럽 소비자들이 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더 긴 주행거리를 가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예상보다 몇 년 더 필요한 해결책이 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중국 시장에 출시될 XC70에는 40kWh 대용량 배터리 탑재로 CTLC 기준 최대 180km EV 주행가능거리를 제공한다. 이는 최근 출시된 XC90 T8의 18.8kWh 배터리를 통한 WLTP 기준 71km EV 주행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스펙이다.
볼보는 더욱 발전된 PHEV 모델을 통해 구매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할 뿐 아니라 XC90과 전체 라인업의 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볼보 2세대 부분변경 XC90 실내(출처: 볼보자동차)
볼보가 3세대 XC90에 어떤 플랫폼을 사용할 지는 아직 공개하지 않은 가운데 일부 외신은 기존 노후화된 SPA 플랫폼을 대체하는 지리의 SMA로 변화를 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해당 플랫폼은 이미 XC70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현재 국내 및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되는 XC90은 2002년 1세대 모델이 첫선을 보인 이후 2015년 2세대 완전변경을 거쳐 2019년 1차 부분변경모델이, 2024년 2세대 부분변경모델이 공개됐다.
당초 볼보는 2021년 발표를 통해 2030년까지 전기차 전용 브랜드로 전환을 계획했지만 예상보다 부진한 글로벌 전기차 수요를 비롯해 최근 미국의 자동차 관세 인상 등 여파로 일부 내연기관 모델의 수명을 연장하는 쪽으로 전략을 수정했다.
볼보는 부진한 글로벌 전기차 수요와 최근 미국의 수입차 관세 인상 등 여파로 전기차 전환 계획을 연장할 전망이다(출처: 볼보 2세대 부분변경 XC90)
볼보는 2027년부터 미국 찰스턴 공장에서 XC60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며, 미국 판매 라인업에서 수입 모델을 모두 뺄 계획이다. 또 유럽의 경우 EX30 생산을 올해 말 중국에서 벨기에로 이전하고 곧 출시될 EX60은 2026년부터 스웨덴에서 생산할 예정이다.
김훈기 기자/hoon149@gmail.com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