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오토에버가 개발한 차량 소프트웨어(SW) 플랫폼 ‘모빌진 클래식 2.0(mobilgene Classic 2.0)’이 글로벌 안전 인증기관 DNV로부터 자동차 안전 무결성 최고 등급인 ASIL-D 인증을 획득했다. 특히 이번 인증은 플랫폼을 구성하는 63개 모든 모듈을 대상으로 이뤄져, 차량SW 플랫폼의 전방위적 안전성을 입증한 것으로 평가된다.
ASIL(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은 자동차 전기·전자 시스템의 고장 가능성과 그에 따른 사고 발생 가능성을 기준으로 안전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국제 표준이다. ISO 26262 기준에 따라 A부터 D까지 4단계로 나뉘며, 이 중 ASIL-D는 가장 높은 등급으로 고장 발생 시 인명 피해 등 심각한 결과가 우려되는 기능에 적용된다.
현대오토에버는 2021년 모빌진 클래식 2.0의 8개 모듈을 먼저 ASIL-D 인증받은 바 있으며, 이후 나머지 전 모듈에 대해 단계적 개발을 거쳐 약 4년 만에 모든 모듈 인증을 완료했다. 이번 인증 획득은 차량SW를 구성하는 핵심 단위인 모듈이 각각 독립적으로도 최고 수준의 안정성과 무결성을 갖췄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빌진 클래식 2.0은 △통신 △시스템 △메모리 등 차량 제어에 필수적인 기능 그룹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그룹은 데이터 전송, 진단, 하드웨어 통신 등 특화된 기능을 담당하는 다수의 모듈로 구성된다. 전체 모듈이 안정적으로 작동해야 차량 전체 SW 시스템의 신뢰성과 성능이 확보된다.
이번 인증을 통해 모빌진 플랫폼은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들이 요구하는 기능안전 요건을 충족함과 동시에, 경쟁사 대비 신뢰성과 안정성 측면에서 우위를 확보하게 됐다. 현재 모빌진 클래식 플랫폼은 현대자동차그룹의 양산 차량 전 라인업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미 양산 현장에서 검증된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편, 현대오토에버는 모빌진 클래식 외에도 고성능 제어 시스템을 위한 별도 플랫폼 ‘모빌진 어댑티브(mobilgene Adaptive)’를 통해 커넥티비티, 인포테인먼트, 자율주행 등 고연산 환경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 플랫폼 또한 ASIL-D 인증을 획득해 고안전 차량SW 기술력을 재차 입증한 바 있다.
현대오토에버 SW플랫폼사업부장 류석문 전무는 “20년 넘는 차량 소프트웨어 자체 개발 역량을 기반으로 모빌진 클래식 2.0 전 모듈의 ASIL-D 인증이라는 성과를 달성했다”며, “앞으로도 고객 중심의 차량SW 기술로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