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G 모빌리티는 25일, 2025년 상반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KGM은 별도 재무제표 기준 상반기 판매 5만 3,272대, 매출 1조 9,432억 원, 영업이익 285억 원, 당기순이익 111억 원을 기록하며 흑자를 달성했다. 이는 글로벌 신차 출시 확대와 신시장 개척, 수출 물량 증가, 생산성 향상 및 환율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이번 상반기 흑자는 2023년 상반기에 이어 3년 연속 상반기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2002~2004년 이후 21년 만의 성과다. 특히 영업이익은 지난해 CO₂ 페널티 환입 효과가 반영됐던 실적을 웃도는 수준으로, 순수 영업 실적으로만 이익을 달성하며 신차 출시와 수출 확대를 기반으로 한 지속 성장의 토대를 마련했다.

수출 증가로 11년 만에 상반기 최대 실적 달성
상반기 판매 실적은 내수 1만 8,321대, 수출 3만 4,951대를 합한 5만 3,272대로, 내수 판매가 줄며 전년 동기 대비 총판매는 다소 감소했지만, 수출 물량 증가가 이를 상쇄했다. 4월 이후 3개월 연속 판매가 증가하며 2분기 판매는 1분기 대비 4.8% 늘었다.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했으며, 2014년 상반기(4만 1,000대) 이후 11년 만에 상반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KGM은 액티언 하이브리드의 본격적인 출고가 시작되면 하반기 판매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내수 시장 전략 및 고객 접점 확대
내수 시장에서는 고객 경험 중심의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달 구독형 모빌리티 서비스 ‘KGM 모빌링’을 새롭게 론칭했으며, 이달 하순에는 부산에 ‘익스피리언스 센터’를 개관해 다양한 시승 이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브랜드 체험 기회를 넓히고 소비자 접근성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글로벌 시장 공략 강화
해외 시장에서는 수출 물량 확대와 현지 협력을 통한 전략적 접근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5월 KGM은 인도네시아 국영 방산기업 핀다드(PT Pindad)와 렉스턴 KD 공급 및 인도네시아 국민차 프로젝트 협력을 위한 주요 조건 합의서(HOA)를 체결했다. 6월에는 무쏘 EV와 토레스 하이브리드를 글로벌 시장에 선적하며 전동화 라인업의 수출 확대를 본격화했다.
KGM 관계자는 “내수 시장의 위축에도 불구하고 수출 물량 증가와 환율 효과, 수익성 개선 노력에 힘입어 2분기 연속 순수 영업 흑자를 달성했다”며, “수출 성장세를 이어가는 한편, KGM 모빌링과 익스피리언스 센터 등 고객 접점 확대 전략을 통해 하반기 판매와 수익성을 더욱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