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아산공장에서 전기차 고전압 배터리를 조립하고 있는 모습. (현대자동차)
[오토헤럴드 정호인 기자] 현대차·기아가 K-배터리를 상징하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과 전기차 배터리 안전 기술 강화를 위한 공동 행보에 나섰다. 한국을 대표하는 자동차·배터리 기업이 연합해 안전 기술 확보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는 22일 경기도 화성시 남양연구소에서 협업 성과를 공개하고 향후 협력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행사에는 양희원 현대차·기아 R&D본부장과 배터리 3사 CEO,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지난해 8월 출범한 ‘배터리 안전확보 TFT’는 안전 특허, 디지털 배터리 여권, 설계 품질, 제조 품질, 소방 기술 등 5대 과제를 중심으로 1년간 연구를 이어왔다. 이 과정에서 단락 방지 특허 기술을 공동 도출했고 배터리 전 생애주기를 추적할 수 있는 디지털 여권 체계 구축에 착수했다.
또 배터리 화재 원인을 사전 검증하는 강건화 설계, AI 기반 지능형 제조관리 시스템 개발, 국립소방연구원과의 화재 대응 가이드 개정 등 성과도 거뒀다.
협약에 따라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는 안전 신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특허 지식재산권을 공유하는 한편, 열전이 방지와 소방 기술 고도화 등 글로벌 안전 표준 수립을 위한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양희원 현대차·기아 R&D본부장은 “정부와 연구진의 헌신으로 가능했던 협력”이라며 “앞으로도 더욱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전기차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국가 대항전”이라며 “경쟁을 넘어 협력이 미래 경쟁력을 담보할 길”이라고 강조했다.
최주선 삼성SDI 사장은 “산업 안전 기준을 새롭게 정의한 진보적 협업”이라고 평가했고, 이석희 SK온 사장은 “배터리 안전 품질이 한 단계 도약할 것”이라고 기대를 밝혔다.
정호인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