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프리미엄 씨푸드 레스토랑 점보씨푸드가 서울 여의도 IFC몰 직영점 재오픈 1주년을 맞아 공식 기자 간담회를 열고 지난 1년간의 성과와 향후 전략을 공유했다. 이번 행사는 점보씨푸드가 한국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뿌리를 내리고 본격적인 확장에 나선다는 선언의 자리였다. 행사에는 점보그룹 앙 키암 멩 회장과 한국 점보씨푸드 크리스티나 콩 대표가 직접 참석해 브랜드 철학과 향후 비전을 설명했다.
점보씨푸드 앙 키암 멩 회장(우). 크리스티나 콩 한국 점보씨푸드 대표(좌)
칠리크랩과 함께 ‘파오판’으로 현지화 속도
점보씨푸드의 대표 메뉴인 칠리크랩은 매콤달콤한 소스와 신선한 게살의 조화로 싱가포르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요리다. 여기에 바삭한 만토우를 곁들이면 그 풍미가 완성되며, 블랙페퍼크랩은 알싸한 후추 향과 깊은 게살 맛으로 또 다른 즐거움을 제공한다. 시리얼 새우, 랍스터 파오판 등도 한국 고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며, 특히 파오판이 강조됐다. 앙 회장은 “한국에서 장기간의 시장 조사를 거쳐 내놓은 파오판은 편안하고 친숙하게 즐길 수 있는 메뉴”라며 “한국 고객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미식 경험이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랍스터 파오판.진한 랍스터 육수 국물과 바삭한 누룽지가 어우러져 다양한 식감을 내 한국인의 입맛에 잘 어울린다.
그는 이어 “말레이시아 고유 음식인 미고랭에 한국의 신라면을 접목하는 퓨전 메뉴 테스트도 진행 중”이라며 싱가포르 요리와 한식의 융합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이러한 접근은 한국 소비자에게 친숙하면서도 새로운 맛을 제안해 브랜드 차별성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시스템으로 맛과 품질을 지킨다
점보씨푸드가 강조한 또 다른 축은 ‘시스템 경영’이다. 앙 키암 멩 회장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출신답게 운영을 철저히 체계화해 ‘시스템 왕’이라는 별칭을 얻었다고 밝혔다. 그는 “첫째, 원재료의 신선함을 유지할 것, 둘째, 전 셰프의 표준 레시피 숙련, 셋째, 고유 향신료·허브의 일관 사용이라는 세 가지 원칙으로 운영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조리법을 불필요하게 복잡하게 만들지 않고 표준화된 절차로 누구나 쉽게 재현 가능한 레시피를 유지함으로써 세계 어디서나 동일한 맛을 보장한다고 강조했다.
점보씨푸드 앙 키암 멩(Ang Kiam Meng) 회장
실제로 점보씨푸드는 싱가포르에서 생산·수출되는 핵심 소스를 사용하고, FIFO·5S에 기반한 주방 관리와 정기 모니터링으로 일관된 품질을 유지한다. 이는 서울 매장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돼, 본점과 같은 맛과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국을 선택한 이유, ‘높은 미식 이해도와 해산물 선호’ 지속가능성도 병행
점보씨푸드가 한국을 중요한 시장으로 선택한 배경에는 한국인의 높은 미식 이해도와 해산물 선호가 있다. 한국은 2025년 8월 기준 약 42만 2천 명의 관광객이 싱가포르를 방문하며 방문객 순위 8위를 기록했다. 이미 싱가포르 여행 중 점보씨푸드를 경험한 한국인들이 많아 브랜드 인지도가 높다는 것도 긍정적 요인이다.
점보씨푸드 대표 음식들
또한 한국 요리와 싱가포르 요리는 모두 강렬한 풍미와 매운맛, 감칠맛을 중시하며, 발효 소스와 해산물을 활용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점보씨푸드는 이러한 공통점을 발판 삼아 한국 시장에서의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더불어 캐나다 던지네스 크랩 등 인증 자원을 활용하고 머드 크랩 과잉어획 문제에 대응하는 등 지속가능한 해산물 공급망을 유지하며, 현지 해산물 업체와 협력해 제철 식재료를 적극 반영하고 있다.
한국은 프리미엄 다이닝의 핵심 시장
한국 점보씨푸드 크리스티나 콩 대표는 점보씨푸드의 글로벌 성과와 한국 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점보씨푸드는 1987년 싱가포르 이스트코스트에서 시작해 빠르게 성장했으며, 현재는 7개국에서 4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크리스티나 콩 한국 점보씨푸드 대표
또한 콩 대표는 “점보씨푸드는 매일 전 세계 매장에서 2톤 이상의 게를 판매하고 8천 명 이상의 손님을 맞이하며, 지금까지 누적 1천만 마리 이상의 게를 판매해왔다”며 브랜드의 저력을 설명했다. 이어 “한국 소비자는 여행 경험이 풍부하고 해산물을 선호하며, 고품질 음식에 대한 안목이 높다. 특히 게는 이미 한국에서 사랑받는 재료로, 점보씨푸드의 칠리크랩과 블랙페퍼크랩은 한국 입맛에도 잘 맞는다”고 덧붙였다.
콩 대표는 마지막으로 “한국에서 점보씨푸드는 프리미엄 국제 다이닝 트렌드의 중심이 되고자 한다. 싱가포르의 독창적인 미식 정체성을 전달하고, 시그니처 메뉴와 신선한 재료를 통해 특별한 식사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점보씨푸드 대표 음식들
서울에서 아시아로 확장
점보씨푸드는 중국,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등 아시아 주요 국가에 이미 진출해 있으며, 2025년 1분기에는 인도네시아 신규 매장 오픈을 앞두고 있다. 서울 매장은 이러한 글로벌 확장의 거점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서울 여의도 IFC몰 지하 3층에 위치한 한국 매장은 최대 120석 규모와 5개의 프라이빗 룸을 갖추고 있어 가족 모임, 비즈니스 미팅, 연말 회식 등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킨다.
또한 한국 매장은 다른 해외 지점과 차별화된 전략으로 싱가포르 전통 요리를 더 폭넓게 소개하고, 바쿠테와 같은 메뉴를 한국 갈비탕 문화와 연결하는 등 현지 해석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한국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독창적 다이닝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점보씨푸드는 트립어드바이저, 테틀러, 테이스트 아틀라스 등 세계적인 플랫폼에서 인정받아온 글로벌 브랜드다. CNN 트래블은 점보씨푸드의 칠리크랩을 ‘버킷리스트 음식’으로 꼽기도 했다. 유명 셰프 고든 램지, 홍콩 가수 겸 배우 장혜심, 미국 여배우 리즈 위더스푼 등도 방문하며 브랜드 위상을 높였다.
또한 점보씨푸드는 매달 시즌별 신선한 식재료를 활용한 프로모션을 글로벌 동시 진행한다. 싱가포르 본점을 포함한 전 세계 매장에서 동시에 동일한 이벤트가 열려, 고객은 언제 어디서든 동일한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서울에서도 매달 새로운 혜택과 메뉴를 제공해 재방문을 유도하며, 글로벌 브랜드의 일관성을 강조한다.
이번 간담회를 통해 점보씨푸드가 한국 시장에서 칠리크랩을 비롯한 시그니처 메뉴와 함께, 새로운 파오판을 전면에 내세워 현지화와 확장을 동시에 추진한다는 전략을 공식화했다. 점보씨푸드는 ‘정통과 혁신’을 기반으로 한국 고객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고, 서울을 기점으로 아시아 전역에서 확장을 이어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준문 기자/jun@newstap.co.kr
ⓒ 뉴스탭(https://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탭 인기 기사]
· 학업과 창작, 게임을 한 대로… ‘MSI 사이보그 17 B2RWEKG-C7’
· “단 36g, e스포츠를 위한 최강 무기”…커세어 초경량 무선 게이밍 마우스 공개
· 소니코리아, 게이밍 기어 브랜드 ‘인존’ 첫 키보드·마우스·마우스패드 출시
· 서린씨앤아이,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한 ‘피어리스 어쌔신 140 디지털 서린’ 출시
· 남궁민과 함께한 웰메이드, 2025 가을 컬렉션 공개…품격 있는 스타일링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