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오는 2025년 내연기관차 판매를 제한하는 방안 검토에 나섰다. (오토헤럴드)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정부가 오는 2035년부터 내연기관차 판매를 제한하는 방안을 공식 검토 한다. 환경부는 24일 기아 광명 오토랜드에서 열린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수송부문 공개 토론회’를 통해 이 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정부는 2018년 기준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9880만t을 기준으로 2035년까지 최소 55.2%(4430만t)에서 최대 67%(3260만t)까지 감축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전체 차량의 30~35% 이상을 전기차·수소차 등 무공해차로 전환하고 내연차 총 주행거리를 35~40% 줄이는 대책을 병행 추진한다. 특히 61%와 65% 감축 시나리오에서는 2035년부터 내연기관차 신차 판매 제한이 포함됐다.
무공해차 보급을 가속화하기 위해 정부는 ‘무공해차 전용’ 자동차세 및 법인세 혜택을 신설한다. 이를 통해 기업과 개인 소비자가 친환경차를 보다 적극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무공해차 대중화는 단순한 환경정책이 아니라 국가 산업 경쟁력 확보와 직결된다”며 “세제 혜택을 통해 보급 속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연합(EU) 역시 2035년부터 내연차 신차 판매를 금지하는 정책을 추진했으나 최근 주요 제조사와 일부 회원국 반발로 폐기 논의에 들어갔다. 한국은 이에 비해 단계적 판매 제한과 인센티브 병행이라는 유연한 접근 방식을 취해 산업계 충격을 최소화하려는 전략이다.
또한 철도·해운·항공 등 운송 전 분야에 걸쳐 수소연료전지 기관차, LNG·혼합연료 선박, 차세대 친환경 항공기 도입 등 탈탄소 전환 로드맵도 포함됐다.
자동차 업계는 이번 조치가 완성차 업체의 투자 전략 변화, 충전·수소 인프라 확대, 중고차 시장 재편 등 다층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소비자에게는 충전 편의성 확대와 차량 가격 안정화가 핵심 과제가 될 전망이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