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모비스가 국내 차량용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규모 민간 협력 생태계 조성에 나섰다. 29일 성남시 판교 더블트리 바이 힐튼 호텔에서 열린 제1회 ‘현대모비스 차량용 반도체 포럼(ASK, Auto Semicon Korea)’에는 완성차, 팹리스, 파운드리, 디자인하우스, 패키징, 설계툴 전문사 등 23개 기업과 연구기관이 참석해 본격적인 협력 체계 구축을 선언했다.
이번 포럼은 현대모비스 이규석 사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국내 차량용 반도체 생태계 조성 필요성 △핵심 반도체 국산화 방안 △공급망 협력 방향성 등을 주제로 논의가 이어졌다. 삼성전자, LX세미콘, SK키파운드리, DB하이텍, 한국전기연구원 등 주요 기업과 기관의 경영진 80여 명이 대거 참석해 업계의 뜨거운 관심을 반영했다.
현대모비스는 티어1 부품사로서 완성차 업체와 반도체 기업을 연결하는 전략적 위치에 있다. 팹리스의 설계 역량과 파운드리의 제조 인프라를 연결하고, 제어기 특화 사양 정의와 실차 기반 검증을 지원할 수 있는 만큼 국내 차량용 반도체 생태계의 중심 역할을 맡을 것으로 평가된다.
이규석 사장은 “독자적인 반도체 설계 능력 확보와 함께 팹리스·디자인하우스와 공동개발을 확대하고 있으며, 주요 파운드리와도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며 “IT·모바일 중심 기업들의 모빌리티 분야 진출을 적극 장려해 국내 반도체 산업 전반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전원, 구동, 통신, 센서, 데이터 처리용 등 총 16종의 차량용 반도체를 개발해 외부 파운드리를 통해 약 2천만 개를 양산하고 있다. 또한 전력 반도체와 핵심 부품을 통합 개발할 경우 연구개발 기간을 최대 2년 단축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으며 협력사와의 시너지를 기대했다.
글로벌 시장조사에 따르면 차량용 반도체 시장은 연평균 9% 이상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30년에는 약 200조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인포테인먼트, 커넥티비티, ADAS, 전동화용 반도체가 전체의 70%를 차지할 전망이다. 현대모비스가 ASK를 정례화하고 스타트업과 신규 기업 참여를 확대하기로 한 것도 이러한 시장 성장세에 발맞춘 전략으로 풀이된다.
현대모비스가 주도하는 이번 협력체는 해외 의존도가 높은 국내 반도체 공급망의 구조적 불균형을 해소하고,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