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리서치가 발간한 ‘OLED 디스플레이 마켓 트래커’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한국 패널 업체들의 스마트폰 및 폴더블폰 패널 출하량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통적인 스마트폰 비수기였던 2분기에 일시적으로 감소했던 출하량이, 애플의 아이폰17 시리즈와 삼성전자의 갤럭시 신제품 인기에 힘입어 빠르게 회복세로 전환한 결과다.
삼성디스플레이는 3분기 들어 아이폰17 시리즈와 갤럭시 S25 FE용 패널 출하가 급증하면서, 2분기 주춤했던 플렉서블 OLED 출하량이 크게 늘었다. 리지드 OLED 출하량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갔다.
LG디스플레이, 아이폰17 효과로 두 배 성장
LG디스플레이는 2분기 약 1,080만대에 그쳤던 스마트폰 패널 출하량이 3분기 약 2,000만대로 급증해 전망치에 부합하는 성장을 이뤘다. LG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용 패널을 애플에만 공급하는 구조로, 아이폰17 시리즈 출시가 출하량 증가의 핵심 동력이 됐다. 특히 아이폰17 프로 맥스용 패널이 전체의 약 60%를 차지하며 최대 비중을 기록했다.
중국 업체들도 성장세…BOE, 애플 핵심 고객 부상 가능성
중국 패널 업체들 역시 출하량 증가세를 보였다. BOE는 2분기 대비 약 540만대, 비저녹스(Visionox)는 약 670만대 출하량이 늘었다. BOE의 주요 고객사는 오포(Oppo)였으며, 애플과 화웨이가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애플 아이폰용 패널 공급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면서 4분기에는 애플이 BOE의 핵심 고객사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비저녹스의 경우 리퍼비시용 패널 출하가 가장 많았고, 이어 아너(Honor), 샤오미(Xiaomi), 비보(Vivo) 순으로 공급이 이뤄졌다.
유비리서치 한창욱 부사장은 “3분기 들어 한국 패널 업체들이 출하량에서 뚜렷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중국 업체들의 성장도 이어지고 있다”며 “한국 업체들에게 가장 중요한 고객사인 애플 물량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확보하느냐가 향후 핵심 과제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이미 글로벌 프리미엄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져왔기 때문에 BOE와의 경쟁 속에서도 전략적 우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준문 기자/jun@newstap.co.kr
ⓒ 뉴스탭(https://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탭 인기 기사]
· “단 36g, e스포츠를 위한 최강 무기”…커세어 초경량 무선 게이밍 마우스 공개
· DJI, 초소형 웨어러블 액션캠 ‘Osmo Nano’ 전격 출시…52g 초경량에 4K/120fps 지원
· 서린씨앤아이,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한 ‘피어리스 어쌔신 140 디지털 서린’ 출시
· 공차, 인기 밀크티 ‘1리터 대용량’ 출시…9월 30일 하루 30% 할인
· “DB 운영도 자동화 시대”... 큐브리드, 쿠버네티스용 오픈소스 오퍼레이터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