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오픈AI 홈페이지
오픈AI가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과 손잡고 10기가와트(GW) 규모의 인공지능(AI) 전용 칩 개발에 나선다. 이는 AI 서비스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한 초대형 인프라 확충 전략으로, AI 산업 전반의 협력 구조가 더욱 촘촘해지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오픈AI와 브로드컴은 차세대 AI 클러스터용 맞춤형 가속기와 네트워크 시스템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오픈AI가 설계를 담당하고 브로드컴이 생산을 맡는다. 내년 하반기부터 오픈AI 데이터센터에 배치되며, 전체 구축은 2029년 완료를 목표로 한다.
10GW는 원전 10기 혹은 미국 내 800만 가구가 사용하는 전력량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번 협력을 통해 오픈AI는 엔비디아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자체 칩을 활용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브로드컴 역시 AI 칩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게 됐다.
출처 : 챗GPT 생성 이미지
샘 알트먼 오픈AI CEO는 “브로드컴과의 협력은 AI의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한 필수 인프라 구축 단계”라며 “전체 컴퓨팅 스택을 최적화하면 더 빠르고 저렴한 모델 개발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호크 탄 브로드컴 CEO도 “최고 수준의 컴퓨팅 성능 확보는 초지능으로 가는 길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1GW 규모의 AI 인프라 구축에는 약 350억달러가 필요하며, 이번 10GW 프로젝트는 총 3500억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오픈AI는 브로드컴 칩에 수백억달러 추가 투자를 계획 중이다.
이번 협력은 오픈AI의 공격적 인프라 확충 행보의 일환이다. 오픈AI는 최근 AMD와 6GW 규모 AI 가속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엔비디아로부터는 최대 1000억달러 투자를 유치했다. 또한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는 AI 메모리 공급 협력도 맺었다. 한편, 협약 발표 직후 뉴욕 증시에서 브로드컴 주가는 10% 가까이 급등하며 연초 대비 50% 이상 상승세를 이어갔다.
글 / 김지훈 news@cowave.kr
(c)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