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 회장 최대열)가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KIAPI, 원장 서재형)과 공동으로 10월 22일 대구 엑스코(EXCO)에서 ‘자율주행 서비스의 미래와 현실’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22일부터 25일까지 열리는 ‘2025 대한민국 미래모빌리티엑스포(DIFA)’의 첫날 프로그램으로 마련됐으며, 자율주행 상용화의 전략과 기술, 제도적 과제를 폭넓게 다루었다.

심포지엄은 주제 발표와 패널 토론,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첫 번째 발표를 맡은 유민상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상무는 “자율주행 기술의 핵심은 인공지능이 주행 전 과정을 학습하는 엔드투엔드(End-to-End) 방식”이라며, “미국과 중국이 대규모 투자와 데이터 기반으로 기술 상용화를 가속하고 있지만, 한국은 공공형 서비스를 중심으로 신뢰와 안전을 우선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K-자율주행 상용화 모델은 사회적 공감대와 법적 안전망 위에서 성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발표에 나선 허재호 HL로보틱스 팀장은 “자율주행 주차로봇은 도시의 공간 효율성과 이동 편의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미래형 인프라”라며, “스마트시티와 결합해 주차 운영 방식을 혁신하고, 통합 주차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HL로보틱스는 실내외 자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 주차장 관리의 효율을 높이고, 향후 도시형 모빌리티 솔루션의 핵심 기업으로 성장할 전략을 제시했다.
패널 토론에서는 장정아 아주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두 발표자 외에도 이성훈 국토교통부 자율주행정책과 서기관, 김제석 퓨처드라이브 대표, 오종훈 한국자동차기자협회 고문(오토다이어리 대표)이 참여해 정부 정책 방향과 산업 현황, 법제도 과제, 그리고 대중 인식 문제까지 폭넓게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자율주행의 상용화는 기술 경쟁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안전·공공성·데이터 신뢰성 확보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에 의견을 모았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국내 주요 신문, 방송, 통신사, 온라인 매체 및 자동차 전문지 등 59개 매체를 회원사로 두고 있으며, 약 200여 명의 기자가 활동 중이다. 2010년 설립 이후 자동차 산업 발전을 위한 언론의 역할 강화와 올바른 자동차 문화 확산, 기자 역량 강화를 목표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협회는 매년 대한민국 최고의 자동차를 선정하는 ‘올해의 차(K-COTY)’ 시상식을 비롯해 심포지엄, 세미나, 테크 투어 등 다양한 전문 행사를 운영하며 자동차 산업 발전의 공론장을 넓혀가고 있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