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앤컴퍼니그룹이 빌 리 미국 테네시 주지사가 지난 24일 경기도 판교 본사 테크노플렉스를 방문해 그룹 경영진과 간담회를 가졌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서 양 측은 △비즈니스 친화적 환경 조성 △주정부 차원의 현지 진출 지원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경쟁력 있는 현지 인력 확보 등 모빌리티 산업 발전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현재 북미 자동차·부품 산업의 핵심 허브로 떠오르는 테네시 주에는 이미 한국앤컴퍼니(배터리)와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타이어)의 생산 공장이 위치해 있다.
한국앤컴퍼니그룹 측은 “테네시 주와 한국앤컴퍼니그룹의 미국 내 생산·공급망 확대 가능성에 대해 폭넓게 의견을 교환했다”며, 자동차 배터리·열관리·타이어 등 핵심 부품 연구·개발 관점에서 상호 보완 여지가 크다는 인식을 같이하고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전했다.
한국앤컴퍼니그룹은 테네시 주 클락스빌에 2017년 한국타이어 공장을 준공하고 승용차용 타이어를 생산해 왔다. 현재 공장 증설이 진행 중이며 이르면 올 연말 공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증설이 완료되면 연간 생산량 증대와 함께 트럭과 버스 등 상용차용 타이어로 생산 라인업이 확대될 전망이다. 회사 측은 이미 테네시 주의 지원이 이어져 온 상황으로, 이번 리 주지사 방문 및 협의를 통해 추가 협력 강화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국앤컴퍼니그룹 관계자는 "테네시는 인력·물류·세제 환경 모두 우수해 우리 기업의 북미 시장 진출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며 "북미 '모빌리티 허브' 테네시와의 협업으로 첨단 R&D 강화, 공급망 고도화, 고용 창출 등을 실현해 조현범 회장이 주문한 '국가 경제 기여'에 힘을 더 보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테네시 주에는 한국앤컴퍼니그룹 외에도 LG, 효성, GM, 폭스바겐, 닛산 등 글로벌 주요 기업들이 생산 거점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포드·SK온 합작 배터리 공장, GM·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이 추진 중이며 LG화학은 현지에 양극재 공장을 짓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 기업 24개사가 약 60억 달러를 투자해 4300여 개 일자리를 테네시 주에서 창출했으며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추가 진출도 잇따르고 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저작권자(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