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역기구가 공개한 최신 글로벌 무역 전망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세계 상품 무역이 예상을 웃도는 증가세를 보였고, 그 배경으로 AI 관련 상품 수요와 관세 리스크를 앞둔 선제 발주가 지목됐다.

WTO는 상반기 세계 상품 무역의 물량이 전년 대비 뚜렷하게 늘고, 달러 기준 가치도 상승했다고 밝혔다. 반도체와 서버, 통신장비 등 AI 관련 품목이 성장분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미국의 관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에 대응해 기업들이 조기 반입과 재고 축적에 나선 움직임이 관측됐다. 이에 따라 WTO는 2025년 연간 상품 무역 증가율 전망치를 직전치보다 상향 조정했지만, 2026년 전망은 경기와 정책 변수의 영향으로 낮춰 잡았다.
이번 결과는 AI 수요가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영역을 넘어 하드웨어와 인프라, 물리적 상품 교역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AI 데이터센터 구축과 관련된 부품과 장비, 통신 네트워크를 비롯한 공급망 전반에서 주문이 늘어나면서 신흥국 간 교역도 동반 확대되는 흐름이 확인됐다. 다만 상반기 반등이 하반기에도 같은 속도로 이어질지는 확정적이지 않다.
관세 전가, 전력과 물류 병목, 지정학 변수, 일부 품목의 가격 변동성은 무역 지표의 변동을 키울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중립기어 관점에서 보면, 상반기의 호조는 AI 생태계의 물리적 확장을 보여주는 긍정적 시그널이지만, 무역량 개선이 곧바로 모든 산업의 실적 개선으로 직결된다고 단정하긴 어렵다.
지역과 품목별로 수요 편차가 큰 만큼, 기업들은 선제 발주의 일회성 효과와 기초 수요의 지속성을 구분해 생산 계획과 재고 전략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글 / 한만수 news@cowave.kr
(c)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