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여러 국가 정부와 규제 당국, 보건 파트너 기관들이 의료 분야에서 인공지능을 안전하고 공정하게 활용하기 위한 협력을 강화하자는 공동 선언을 발표했다.

선언은 진단과 모니터링, 공중보건 감시, 재난 대응 등 다양한 의료 현장에서 AI가 이미 핵심 수단으로 자리 잡아 가는 현실을 전제로, 기술 도입 속도에 맞춘 윤리 기준과 데이터 보호 체계, 접근성 확대 방안을 동시 추진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특히 환자 안전과 효과 검증을 위한 임상 평가, 개인정보의 경계와 거버넌스, 알고리즘 편향 완화와 투명성 제고, 저자원 국가와 취약집단의 디지털 격차 해소 같은 과제를 국가 간 표준과 지침 차원에서 공동으로 풀어가자는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움직임은 각국이 서로 다른 보건 규제와 데이터 규범을 적용해 온 탓에 AI 솔루션의 국경 간 확산이 더딘 문제를 의식한 결과로도 해석된다.
선언은 데이터 형식과 인터페이스 표준화, 상호 운용 가능한 인증 절차, 공공 데이터셋의 품질 관리와 공유 규칙, 유해 사용과 오남용에 대한 신고 및 시정 메커니즘을 포함한 국제 협력 프레임을 강조했다.
한편 중립적 관점에서 보면, 공동 선언이 현장 변화를 곧바로 담보하는 것은 아니다. 의료 책임성과 규제 신속성 사이 균형, 임상 근거 축적 속도, 병원 시스템과의 통합 비용, 보건 인력의 훈련과 업무 재설계 같은 실행 과제가 적지 않다.
그럼에도 국제기구 주도의 공조가 시작됐다는 사실은 AI 보건 생태계가 실사용 단계로 더 깊게 진입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앞으로는 국가별 규제 조율과 표준의 구체화, 평가와 감시의 공동 운영이 정책 성패를 가를 관건이 될 전망이다.
글 / 한만수 news@cowave.kr
(c)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