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1조 달러 규모의 급여 보상 패키지가 주주총회에서 부결되면 회사를 떠날 수도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AI 생성 이미지)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테슬라가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에게 지급하기로 한 사상 최대 규모의 1조 달러(약 1400조 원) 보상안이 다시 주주들의 판단대 위에 올랐다. 핵심은 이 안이 부결될 경우 머스크가 테슬라를 떠날 수도 있다는 점이다.
테슬라 이사회 의장 로빈 데넘(Robyn Denholm)은 “이 안이 승인되지 않으면 우리는 머스크를 잃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보상안은 2018년 체결된 경영성과 연동형 스톡옵션 계약을 보완한 것으로 12개 단계별 시가총액·실적 목표를 충족할 때마다 주식이 순차적으로 부여되는 구조다. 머스크가 모든 목표를 달성하면 최대 1조 달러을 보상 받을 수 있다.
문제는 지난 1월 델라웨어 법원이 해당 패키지를 ‘이사회 승인 절차의 투명성이 부족하다’며 무효화한 데 있다. 이에 테슬라는 오는 주주총회에서 재승인 절차를 밟는다. 데넘 의장은 주주서한을 통해 “머스크는 테슬라의 성장을 이끌 유일무이한 리더이며 그의 집중력이 분산된다면 회사는 심각한 리스크에 직면할 수 있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최근 인공지능(AI), 우주항공, 뇌신경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영역에 사업을 확대하며 테슬라 경영 전념 여부가 논란이 돼 왔다. 일각에서는 그가 주주들이 보상안을 거부할 경우, 테슬라 지분을 축소하거나 경영 일선에서 물러날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테슬라 측은 “머스크의 보상은 전례 없는 성과에 대한 합당한 보상”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실제로 2018년 이후 테슬라의 시가총액은 약 1000억 달러에서 최고 1조 달러를 넘어섰고 순이익은 10배 이상 늘었다.
반면 일부 기관투자자와 주주단체는 “머스크 1인 의존 경영의 위험성과 과도한 보상 구조”를 문제 삼으며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번 표결 결과에 따라 테슬라의 거버넌스 구조와 경영 안정성, 나아가 전기차 산업의 리더십 향방까지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주주총회는 다음 달 초 예정돼 있으며 테슬라 이사회는 “주주의 신뢰 회복과 회사의 지속 성장을 위해 머스크의 리더십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