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이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해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회담을 갖고 중동 시장의 전략적 협력과 미래 성장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방문은 현대차그룹이 중동 최대 경제국과의 협력을 한층 강화하며,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가 프로젝트 ‘비전 2030’과 발맞춰 새로운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행보로 평가된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석유 중심의 경제 구조에서 제조업과 신재생 에너지, 수소 산업으로 전환을 추진하며 글로벌 투자와 기술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현지 생산·R&D·친환경 모빌리티 등 전방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의선 회장,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단독 회담
정의선 회장은 27일(현지시간) 리야드 리츠칼튼 호텔에서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를 만나 자동차 산업과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양측의 단독 회담은 이번이 처음으로, 정의선 회장은 현대차그룹이 사우디아라비아의 산업 전환과 미래 비전 실현을 위한 핵심 파트너임을 강조했다.
정의선 회장은 “사우디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에 감사드리며, 현대차그룹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산업 수요와 고객 니즈에 부합하는 현지 맞춤형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며 “향후 시장 상황에 따라 생산능력 확대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현대차그룹은 신재생에너지, 수소, SMR(소형모듈원전), 원전 등 차세대 에너지 분야에서도 다각적인 사업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며 미래 에너지 협력 의지를 전했다.
사우디 현지 생산기지 ‘HMMME’ 건설 현황 점검
정의선 회장은 26일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 내에 건설 중인 현대차 사우디아라비아 생산법인(HMMME, Hyundai Motor Manufacturing Middle East)을 방문해 현장을 점검했다.
HMMME는 현대차와 사우디 국부펀드(PIF)가 각각 30%, 70% 지분을 보유한 합작법인으로, 연간 5만 대 생산 규모를 갖춘다. 전기차와 내연기관차를 혼류 생산하며, 2026년 4분기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의선 회장은 “사우디아라비아 생산 거점은 현대차그룹이 중동 시장에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상징적 프로젝트”라며 “고온과 사막 환경 등 지역 특성에 맞춰 최고의 품질과 생산성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사우디 기후에 최적화된 생산 설비를 구축하고, 다차종 대응형 라인과 방진·냉방 시스템을 적용해 품질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비전 2030’ 맞춤형 협력 확대…네옴·RSG·Misk 등 주요 기관과 협력
현대차그룹은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가 발전 프로젝트 ‘비전 2030’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해 사우디 네옴(NEOM)과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실증 사업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수소전기버스 유니버스 FCEV의 고지대 주행 테스트에 성공했다. 향후 네옴 내 수소 모빌리티 도입 확대와 ‘비전 2030’의 탈탄소 목표 달성에 기여할 예정이다.
기아는 사우디의 기가 프로젝트 개발사인 RSG(Red Sea Global)와 함께 PV5 실증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는 사우디 서부 해안의 친환경 리조트 지역에 맞춤형 PBV(목적 기반 모빌리티)를 공급하는 프로젝트로, 기아는 차량 기술 교육과 운영 지원을 담당한다.
또한 현대차그룹은 사우디 Misk 재단과 협력해 현지 청년 인재 육성과 스마트시티 분야의 협업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Misk 재단은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2011년 설립한 비영리 기관으로, 사우디 청년층의 기술·산업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다.
중동 최대 시장 공략 강화…현대차·기아 9개월간 14만 9천 대 판매
현대차와 기아는 올해 9월까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총 14만 9,604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한 실적을 기록했다. 연말까지는 21만 대 돌파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전년 대비 5.9% 성장이 예상된다.
현대차그룹은 향후 사우디 시장 전용 스페셜 에디션 운영, SUV 라인업 확대, EV·EREV·HEV 등 다양한 친환경 모델 출시를 통해 현지 고객층을 적극 공략할 방침이다. 기아는 신형 타스만을 중심으로 플래그십 전략을 전개하고, PBV와 전동화 모델 공급을 확대한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저작권자(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