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폭스바겐(VW)이 중국과 유럽 간의 반도체 갈등으로 또다시 공급망 위기를 맞고 있다. VW의 감사이자 니더작센 주지사인 오라프 리스(Olaf Lies)는 “이번 사태는 산업계만으로 해결할 수 없다”며 “유럽은 조속히 외교적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리스 주지사는 27일 독일 공영방송 ARD 인터뷰에서 “유럽이 미·중 무역 갈등의 확산에 휘말릴 위험이 있다”며 “생산이 당장 멈추지 않도록 외교적 해결이 시급하다. 동시에 공급망 의존도를 줄이는 구조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의 발단은 네덜란드 정부가 중국계 반도체 기업 넥스페리아(Nexperia)의 경영권을 지난달 강제로 인수하면서 시작됐다. 넥스페리아는 중국 윙테크(聞泰科技, Wingtech)의 자회사로, 미국 정부로부터 ‘국가안보상 위험 기업’으로 분류된 상태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중국은 넥스페리아의 완성 반도체 수출을 전면 금지했다.
문제는 넥스페리아가 유럽 내 자동차 반도체 공급망의 핵심 기업이라는 점이다. 폭스바겐을 비롯한 주요 완성차 업체와 부품사들은 대체품 확보에 나섰지만, 단기간 내 대체 공급처를 찾는 것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폭스바겐은 일부 차종의 생산이 중단될 가능성을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주요 공급사인 보쉬(Bosch)는 “해결책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일부 공장에서 일시적 인력 조정이 불가피하다”며 한시적 해고 준비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는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유럽 전역의 전기차 생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는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유럽 내 반도체 생산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중장기 전략을 검토 중이다. 그러나 이미 글로벌 시장이 고도화된 반도체 제조 생태계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단기간 내 ‘탈중국화’를 실현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저작권자(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