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NVIDIA, CEO 젠슨 황)가 대한민국 정부와 손잡고 전국 규모의 초대형 AI 인프라 확장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클라우드와 AI 팩토리를 중심으로 25만 개 이상의 GPU를 포함하며, 자동차·제조·통신 등 주요 산업 전반의 AI 혁신을 이끌 핵심 기반으로 평가된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대한민국은 기술과 제조 강국으로, 이제는 인텔리전스를 새로운 수출품으로 삼을 준비가 되어 있다”며 “가속 컴퓨팅 인프라는 전력망과 광대역만큼 중요한 국가 기반이며, 한국이 세계 AI 산업 혁명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AI는 이제 국가의 미래 산업 인프라이며, 이번 협력은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발표는 APEC 정상회의를 위해 세계 각국 정상들이 한국을 찾은 가운데 공개됐다.
클라우드와 AI 팩토리로 전국 인프라 확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업과 산업 전반의 독자 AI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최신 엔비디아 GPU 5만 개 도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초기 단계에서는 엔비디아 클라우드 파트너인 네이버 클라우드, NHN클라우드, 카카오가 엔비디아 블랙웰(Blackwell) GPU 1만3천 개를 도입해 국가 클라우드 인프라를 확장하며, 향후 수년간 단계적으로 규모를 늘릴 계획이다.
이 인프라는 스타트업, 연구기관, 기업들이 AI 모델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이를 통해 한국은 AI 인프라를 산업 전반으로 확산시키고, 공공과 민간의 협력을 통해 독자적인 AI 생태계를 강화할 전망이다.
삼성·SK·현대차, 엔비디아와 손잡고 ‘피지컬 AI’ 혁신
삼성전자는 5만 개 이상의 엔비디아 GPU를 기반으로 ‘AI 팩토리’를 구축하고, 반도체 제조와 로보틱스 개발 전반에 AI를 접목한다. 삼성은 엔비디아의 네모트론(Nemotron), 쿠다-X(CUDA-X), cu리소(cuLitho), 옴니버스(Omniverse) 등의 기술을 활용해 반도체 제조의 디지털 트윈 환경을 구현하고 생산 효율을 극대화할 예정이다. 또한 아이작 심(Isaac Sim)과 아이작 랩(Isaac Lab)을 활용해 가정용 로봇 개발 포트폴리오도 확장한다.
SK그룹은 반도체 R&D와 생산 효율화를 위해 5만 개 이상의 GPU를 탑재할 AI 팩토리를 설계 중이다. 특히 SK텔레콤은 RTX PRO 6000 블랙웰 서버 GPU를 기반으로 한 산업용 클라우드를 제공해 중소 제조 기업들도 엔비디아 옴니버스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현대자동차그룹 역시 엔비디아와 5만 개의 블랙웰 GPU를 중심으로 한 AI 협력을 진행하며, 스마트팩토리와 온디바이스 반도체 개발, 모빌리티 AI 혁신을 가속화한다. 양사는 30억 달러 규모의 투자로 ‘AI 테크놀로지 센터’와 ‘피지컬 AI 애플리케이션 센터’, 지역 AI 데이터센터를 설립해 한국의 AI 산업 생태계를 확대할 예정이다.
네이버·LG·KISTI, 연구개발·양자컴퓨팅까지 협력 확장
네이버 클라우드는 엔비디아 블랙웰 GPU 최대 6만 개를 도입해 소버린 AI(Sovereign AI) 인프라를 강화한다. 이를 통해 산업별 특화 AI 모델 개발과 포용적 AI 서비스를 추진할 계획이다.
LG는 엔비디아와 협력해 피지컬 AI 기술을 활용한 의료·산업 AI 모델 개발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엑사원(EXAONE) 기반의 의료 진단용 모델 ‘엑사원 패스(EXAONE Path)’는 엔비디아 모나이(MONAI)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정밀 의학 연구를 지원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엔비디아와 공동으로 슈퍼컴퓨터 6호기 ‘한강’을 활용한 AI 연구를 확대하고, NVQ링크(NVQLink)와 쿠다-Q(CUDA-Q) 플랫폼을 도입해 양자-GPU 슈퍼컴퓨팅 기술을 발전시킬 예정이다. 또한 오픈소스 피직스네모(PhysicsNeMo)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물리 기반 AI 모델 개발도 병행된다.
주권형 AI 모델과 스타트업 생태계 강화
정부와 엔비디아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위한 ‘소버린 AI 프로젝트(Sovereign AI Foundation Models)’를 추진한다. 엔비디아 네모(Nemo)와 오픈 네모트론 데이터세트를 활용해 로컬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론형 모델을 개발하며, LG AI연구원, 네이버 클라우드, SK텔레콤, NC AI, 업스테이지 등이 참여한다.
이와 함께 엔비디아는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인셉션(Inception)’을 통해 SK텔레콤, IMM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파트너스, SBVA 등과 협력해 국내 스타트업 지원 얼라이언스를 구축한다. 스타트업은 엔비디아의 가속 컴퓨팅 인프라와 소프트웨어, 기술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중소벤처기업부의 ‘엔업(N-Up)’ 프로그램과도 연계된다.
이번 협력을 통해 엔비디아와 대한민국은 산업·과학·스타트업 생태계를 아우르는 초대형 AI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됐다. 젠슨 황 CEO의 표현처럼, 한국은 이제 반도체와 자동차를 넘어 ‘인텔리전스’를 수출하는 새로운 시대의 중심에 서게 될 전망이다.
김종혁 기자/news@newstap.co.kr
ⓒ 뉴스탭(https://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탭 인기 기사]
· 레이저, ‘젠레스 존 제로’ 콜라보 에디션 게이밍 기어 3종 출시
· ASUS ROG, ‘쿠가세’서 인기 게이밍 기어 대거 할인…최신 키보드·마우스 총출동
· “이젠 다이소에서도 짜먹는다!”... 딜리노쉬 프리미엄 땅콩버터 출시
· 지클릭커, 2만원대 초경량 무선 게이밍 마우스 ‘OP99 르캄프 라이트’ 출시
· 클래식 감성에 진짜 필름 질감 더했다… 니콘 Zf, 새 펌웨어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