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국내 운수업체 및 관계 기관과 손잡고 수송부문 탈탄소화를 위한 수소버스 전환 사업을 본격화한다.
현대차는 11월 7일 서울 강남대로 사옥 내 UX 스튜디오에서 기후에너지환경부, K1 모빌리티 그룹, 하이넷(수소에너지네트워크), 한국자동차환경협회와 함께 ‘수도권 광역노선 수소버스 도입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현대차 국내판매사업부장 김승찬 전무, 에너지&수소정책담당 신승규 전무, 기후에너지환경부 서영태 녹색전환정책관, K1 모빌리티 오정민 전무, 하이넷 송성호 대표이사, 한국자동차환경협회 정종선 회장 등이 참석했다.
2030년까지 광역노선 300대 수소버스로 전환
이번 협약은 현대차와 K1 모빌리티가 수도권 광역노선 내 수소버스를 선제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체결됐다. 양사는 2030년까지 K1 모빌리티가 운영 중인 광역버스 300대를 수소버스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차는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를 적기에 공급하고, 운수사 정비 인력 대상의 수소버스 전문 교육을 제공해 안정적인 운행을 지원할 예정이다.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는 1회 충전으로 최대 960.4km를 주행할 수 있는 대형 고속형 버스로, 충전 시간이 짧고 긴 주행거리를 확보해 광역 운행에 최적화된 모델이다.
정부-민간 협력으로 인프라 확충
이번 협약에는 기후에너지환경부, 하이넷, 한국자동차환경협회가 공동 참여해 수소 인프라 확충을 뒷받침한다.
정부는 수소버스 보급 확대와 수소충전소 구축을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하이넷은 한국자동차환경협회와 협력해 수도권 주요 거점에 신규 충전소 건설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의 **‘제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2021~2040)’**에 포함된 목표인, 2030년까지 전체 광역버스의 25%를 수소버스로 전환하는 계획과도 맞물린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의 핵심 축
현대차는 이번 협약을 통해 수송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2018년 대비 37.8% 줄이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실현에 있어 수소버스 전환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전망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수소버스 보급 확대를 위해 정부 부처와 운수업계가 긴밀히 협력하는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특히 수소충전 인프라 구축까지 포함된 이번 협약은 지속가능한 교통 생태계 전환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저작권자(c)>



